$\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고용유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loyment Effects of the Digital Bio-healthcare Industry 원문보기

한국IT서비스학회지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19 no.2, 2020년, pp.23 - 35  

장필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김용환 (차의과학대학교) ,  전성규 (산업통상자원부) ,  이창운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정명진 (파이낸셜뉴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healthcare industry to preventive and consumer-oriented. The combination of the ICT industry and the bio-healthcare industry is emerging as a core industr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Korean government has ...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어 5월에는 신성장산업 중 하나인 바이오헬스케어산업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6%, 수출 500억 달러 달성, 신규일자리 30만 명을 창출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5) 이 같은 시기성에 맞추어,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이 결합된 바이오헬스케어산업이 고용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한민국의 표준산업분류체계나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에서도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은 별도로 분류되어 있지 않다.
  • 13) 이 같은 디지털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의 생태계 변화는 고용시장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산업연관표는 5년마다 발표하는 국가산업경제흐름 즉 투입산출을 설명하는 경제지표인데, 한국은행이 2019년 8월에 공개한 <2015년기준 산업연관표>는 가장 최근에 실측된 데이터로서 실물경제를 정확히 반영한 자료이다.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을 상품분류 기초부문에서 해체한 후 융합바이오산업과 디지털헬스케어산업으로 재조립하여 35개의 통합대분류로 조정한 후 34개의 산업으로 재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바이오헬스 케어산업군의 고용유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하나의 산업으로 재조정하였다. 효율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유사한 산업군인 제조업군과 서비스업군을 대통합하여 8개의 산업으로 재조정하였다.
  • 산업연관표는 5년마다 발표하는 국가산업경제흐름 즉 투입산출을 설명하는 경제지표인데, 한국은행이 2019년 8월에 공개한 <2015년기준 산업연관표>는 가장 최근에 실측된 데이터로서 실물경제를 정확히 반영한 자료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고용효과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산업 및 산업기술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대한민국은 보건의료 정보의 디지털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디지털헬스케어산업의 토대가 구축되어 있으며 스타트업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다.11) 둘째, 네트워크 서비스의 강화이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네트워크의 기술 발전으로 의료진 코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온타임(On-Time)관리체계가 형성되었다.
  • 스마트폰의 보급과 네트워크의 기술 발전으로 의료진 코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온타임(On-Time)관리체계가 형성되었다.12) 셋째, 통합플랫폼의 구축이다. 의료데이터와 기기, 서비스가 수요자와 공급자들을 연결, 통합하는 새로운 가치플랫폼으로 구축되고 있다.
  • 15) 본 연구에서는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가설 A의 (a1) ‘디지털바이오 헬스케어산업은 산업전체의 평균보다 높다’에 대해 검증하고, (a2) ‘자체산업이 타산업보다 투자효과가 높다’를 검증하려고 한다.
  •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어떤 품목부문의 국내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경우 국민경제 전체에서 직간접적으로 유발되는 부가가치 단위를 나타낸다.16) 산업연관표에서는 노동력이나 공급능력 등은 충분하다는 전제 하에 생산활동에 의해 부가가치가 창출된다고 가정 하기 때문에 최종수요의 변동이 부가가치 변동의 원천이라고 간주한다.17) 부가가치유발계수의 도출방법은 부가가치율에 대한 대각계수행렬와 생산유발계수행렬과의 곱으로 산출할 수 있다.
  • 최종수요항목별로 수요가 한 단위 증가할 때 각 부문에서 고용이직, 간접적으로 얼마나 유발되는가를 나타내는 계수이다.18) 고용유발계수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용계수를 구해야 한다. 피용자수를 총투입액으로 나누어 고용계수를 얻을 수 있다.
  • 피용자수를 총투입액으로 나누어 고용계수를 얻을 수 있다.19) 고용계수의 대각행렬을 생산유발계수 행렬과 곱하면 고용유발계수가 도출된다. 고용유발계수의 산식은 아래와 같다.
  • 8)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케어산업의 패러다임이 예방과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9) 헬스케어산업에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다는 것은 웨어러블 기기들의 결합을 의미하는것 이상이다. 한 개인이 평생 만들어내는 헬스케어데이터의 수준은 약 1,100TB라고 한다.
  • 인간이 일할 기회가 박탈되고 그에 따른소득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 둘째, 일자리의 형태가 변화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자원의 희소성과 거래의 복잡성을 감소시켜 정규직을 통한 기업 경영방식에 변화를 가져온다.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의 고용 유발효과가 산업전체의 평균보다 높다는 가설(a1) 과 투자시 자체산업효과가 높다는 가설(a2)을 수립하여 검정한다. 고용유발계수만으로 특정산업에 대한 유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생산 부문(b1, b2), 부가가치부문(b4, b5), 전후방산업 파급부문(b3)에 대한 유발효과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지능과 디지털기술이 발달하면서 나타난 새로운 노동방식은? 개인용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단순 반복 업무 일자리는 감소되었다. 인공지능과 디지털기술이 발달하면서 긱이코노믹스(GigEconomics)1)와 크라우드워킹(Crowdworking)2)과 같은 새로운 노동방식도 출현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의 변화는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은 무엇인가? 둘째, 디지털헬스케어는 헬스케어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여러 센서를 통해 개인의 건강상태와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분야이다.7) 따라서 디지털바이오헬스케어산업은 인간의 생명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의료정보를 빅데이터화하고, ICT기술을 활용하여 각종 센서를 통해 건강상태를 관리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 분야로 정의한다.8)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케어산업의 패러다임이 예방과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일어나는 일자리 변화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의 변화는 3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3) 첫째, 일자리 수요의 양극화가 심화된다. 기술숙련도에 따라 중숙련 정형화된 업무 수행자들은 임시직이나 저숙련 직종으로 밀려나고, AI, 빅데이터 등 첨단 고숙련 인력에 대한 수요는 증가한다. 인간이 일할 기회가 박탈되고 그에 따른소득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 둘째, 일자리의 형태가 변화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자원의 희소성과 거래의 복잡성을 감소시켜 정규직을 통한 기업 경영방식에 변화를 가져온다. 프로젝트 단위로 임시직, 파견, 프리랜서, 파트타임 등 공유경제 서비스와 맞물려 새로운 고용형태들이 보편화된다. 셋째, 일자리 변화에 대한 정책과 제도의 도입이다. 고용시장의 변화와 고용형태의 변화에서 총량 문제와 함께 양질의 일자리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관계부처 합동,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 2019, 1-28. 

  2. 김성국, "제4차 산업혁명과 독일의 Arbeit 4.0의 과제와 전망", 유라시아 연구, 제15권, 제1호, 2018, 117-135. 

  3. 김수범, "디지털 헬스케어 융합산업동향", 보건산업브리프, 제162권, 2016, 1-8. 

  4. 김완중, "대중국 교역이 한국 고용에 미치는 효과-산업연관분석", 동북아 경제연구, 제25권, 제1호, 2013, 61-91. 

  5. 김요은, "국내의료서비스산업의 고용창출 제고방안과 정책과제", 한국병원경영연구원 연구보고서, 2014, 1-165. 

  6. 김윤경, "태양광발전설비산업의 부가가치, 피용자보수 및 고용에 대한 유발효과 비교분석", 경제연구, 제31권, 제4호, 2013, 179-199. 

  7. 문혜선, "신산업분야 중점이슈 및 동향", 미래전략산업브리프, 제5호, 2019. 

  8. 박재운, 김기홍, "한국 ICT제조업의 고용유발효과 변화추이 분석 산업연관표 부속 고용표를 중심으로", 국제경제연구, 제16권, 제3호, 2010, 157-189. 

  9. 박재운, 진정환, 한현옥, "한국의료 및 측정기기산업의 고용구조와 고용유발효과 변화추이 분석-산업연관표 부속 고용표를 중심으로",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16권, 제1호, 2010, 85-110. 

  10. 안정민, 서정교, "S-헬스케어산업의 고용유발효과 분석", 무역연구, 제14권, 제6호, 2018, 499-509. 

  11. 이다은, 김석관, "디지털헬스케어 혁신동향과 정책 시사점", 동향과 이슈, 제48호, 2018. 

  12. 이정희, 주아름, 황성혁,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중소유통의 고용유발 효과분석", 유통경영학회지, 제17권, 제6호, 2014, 43-55. 

  13. 이준영, "디지털헬스케어 동향 및 시사점", 이슈리포트, 2019-03호, 2019. 

  14. 이춘근, 김호언, "세계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미.일간 전자산업의 생산유발효과 분해", 경제연구, 제36권, 제3호, 2018, 165-193. 

  15. 최윤희, "융합바이오스마트헬스케어의 미래포지셔닝", 산업경제, 2016-04호, 2016. 

  16. 최윤희, 황원식, "스마트헬스케어산업의 사회경제적 효과와 정책적 시사점", Issue Paper 2016-408호, 2016. 

  17. 한국바이오협회, 한국통산산업부, 2016년 기준 국내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2018. 

  18. 한국산업기술진흥원,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주요국의 혁신인력 수요변화 전망과 대응전략", 산업기술정책동향 리서치, 2017-7호, 2017. 

  19.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바이오헬스 산업동향 및 기술전략", 산업기술브리프, 2017-06호, 2017. 

  20. 한국은행, 2015년 산업연관표, 2019. 

  21. 한국은행, 산업연관분석해설, 2014. 

  22. 한국은행, 알기 쉬운 경제지표해설, 2019. 

  23. 홍선경, 김윤경, "2011년 싱가포르 산업연관표의 작성을 통한 카지노산업과 타산업의 생산, 고용유발효과 비교 분석", 여성경제연구, 제9권, 제2호, 2012, 75-99. 

  24. Leontief, W.W., "Quantitative Input and Output Relations in the Economic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18, No.3, 1936, 105-125 

  25. Timmer et al., "An Illustrated User Guide to the World Input-Output Database : the case of Global Automative Production", Review of International Economics, Vol.23, No.3, 2015, 575-605. 

  26. World Input-output Database, "WIOT tables in STATA format", WIOT 2016, http://www.wiod.org/database/wiots16, 201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