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치료·공급자 중심의 의료서비스에서 예방·소비자 중심의 서비스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 보건의료와 ICT융합기술의 접목은 4차 산업혁명 안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에는 건강, 영양, 운동, 및 환자관리 등이 포함되며,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는 개인 건강 및 의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기, 의료정보시스템 및 헬스케어 플랫폼 등과 관련된 의료 및 IT 산업의 융합으로 요약된다. 고령화 및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른 사회적 요구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4차 산업혁명 안에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중요한 정책으로 다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인류의 수명연장과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와 법률적 제도 정비 및 정책 마련 등이 시급하며 덧붙여 중요한 것은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을 이끌어갈 인재 육성을 위한 융합적 교육의 활성화가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동향과 정부의 연구개발 정책방향에 대해 고찰하고 미래 발전 방향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시행되었다.
As the paradigm shifts from treatment and provider-centered healthcare to prevention and consumer-centered healthcare, the integration of ICT convergence technology is calling for an era of digital healthcare industry revival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individual customized medical services utilizing various medical data,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medical services that transcend time and space through integration with other industries. Such digital healthcare includes health, nutrition, exercise, and patient care, while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includes healthcare and IT related to medical devices, medical information systems, and healthcare platforms that can provide personal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Due to the social demands of the aging and the increase of chronic diseases, digital healthcar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olic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In order for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to contribute to the prolongation of human life and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t is urgent to develop related infrastructures, legal institutions, and prepare policie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activate convergent education to foster talents who will lead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digital healthcare industr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rection of government R & D policies, and to derive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건강관리 서비스 | 디지털 헬스케어의 건강관리 서비스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
관련 서비스로는 개인 건강 검진 관리, 개인 건강기록 관리, 노인 건강관리, 건강 관리 포털 서비스, 원격 상담 및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건강관리 서비스는 하드웨어 장치를 통해 획득된 개인의 건강 및 의료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되는 건강관리 서비스 또는 원격 의료서비스 등을 말한다. 관련 서비스로는 개인 건강 검진 관리, 개인 건강기록 관리, 노인 건강관리, 건강 관리 포털 서비스, 원격 상담 및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 등이 포함된다. 진단 서비스는 유전자 및 게놈 분석과 같은 의료 진단서비스를 의미한다[5] |
ICT 기반 헬스케어산업을 차세대 신산업으로 육성 | 미국과 일본에서는 ICT 기반 헬스케어산업을 차세대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어떤 정책을 시행 중인가? |
미국은 2015년 ICT 융합 의료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밀의료계획을 발표하고 빅 데이터 및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의료가 가능한 개인화된 건강관리 플랫폼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은 2013년부터 웰니스와 메디컬이 결합된 ‘어디서나 My병원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며, 같은 해 영국은 의료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의료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통합센터를 설립하기도 했다
주요 선진국들은 ICT 기반 헬스케어산업을 차세대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시행 중이다. 미국은 2015년 ICT 융합 의료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정밀의료계획을 발표하고 빅 데이터 및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맞춤의료가 가능한 개인화된 건강관리 플랫폼을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일본은 2013년부터 웰니스와 메디컬이 결합된 ‘어디서나 My병원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며, 같은 해 영국은 의료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의료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통합센터를 설립하기도 했다[5]. |
디지털 헬스케어 | 디지털 헬스케어의 정의는? |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과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
디지털 헬스케어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ICT 기술인 IoT(Internet of Things),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을 헬스케어와 접목한 분야를 뜻한다[5]. 헬스케어 산업과 ICT가 융합되어 개인 건강과 질환을 관리하는 산업영역을 디지털 헬스케어라고 정의하며, 데이터 기반의 헬스케어 혁신은 헬스케어 데이터를 측정,통합, 분석, 활용하는 과정에서 의료와 건강관리 등 헬스케어 전반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6].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