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시간 재난 안전 관리 솔루션 설계
Design of Real-time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lution in a Smart Environ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31 - 36  

서쌍희 (경남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김봉현 (서원대학교 IT학부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대규모의 피해를 동반하는 각종 재난, 사고 등이 증가하고 있다. 재난은 불확실성을 지닌 사고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 재산보호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다양한 재난에 대한 예방, 대응, 복구 등의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시간 재난 안전 관리 솔루션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황실과 유관기관, 전문가 등에게 1:1 또는 1:N 상황 전파를 수행하여 다자간 정보 공유 및 소통으로 신속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구성하였다. 즉, 실시간·다자간 HD 영상 송출, 모바일 형식의 보고서 관리, 음성·문자 상황 전파, 위치정보 공유, 녹화 및 이력관리, 보안 등의 기능을 적용한 솔루션을 설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increasing the variety of disasters and accidents that accompany large-scale damage. Disasters are accidents with uncertainty and have a direct impact on people's lives, safety and property prot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safety management systems suc...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시간 재난 안전 관리 솔 루션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황실과 유관기관, 전문가 등에게 1:1 또는 1:N 상황 전파를 수행하여 다자간 정보 공유 및 소통으로 신속하 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구성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시간 재난 안전 관리 솔루션을 설계하여 재난 현장을 실시간으로 파악, 분석, 대응 연계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난 사고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스마트 환경에서의 실시간 재난 안전 관리 솔 루션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상황실과 유관기관, 전문가 등에게 1:1 또는 1:N 상황 전파를 수행하여 다자간 정보 공유 및 소통으로 신속하 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 H. Jang. (2018). Disaster Ministry of the Churches for Resilient Disaster Response. Mission and Theology, 45, 411-440. DOI : 10.17778/mat.2018.6.45.411 

  2. S. G. Kim & K. T. Hwang. (2014) A Study on the Effective Command of Disaster Site: Lessons Learned from Sinking of the Sewol Fer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1-12.. 

  3. S. U. Hong & H. I. Lim. (2019).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saster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through Sensor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4), 877-883. DOI : 10.9728/dcs.2019.20.4.877 

  4. S. H. Kim & J. W. Rhee. (2019). Overcoming the Risk-Perception Model: A Discursive Model of Environmental Crisis. Communication Theories, 15(3), 46-104. DOI : 10.20879/ct.2019.15.3.046 

  5. Y. M. Kim. (2017). The Study on Local Government's Disaster Safety Governance using Big Dat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61-67. DOI : 10.14400/jdc.2017.15.1.61 

  6. S. H. Choi. (2014). The Model for Sensing of Disaster Signs Based on Big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2), . 149-157. 

  7. Ronald W. Perry. (2003). Incident management systems in disaster management.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2(5), 405-412. 

  8. Natasha G. (2019). Disaster Governance and Community Resilience: The Law and the Role of SDMA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Management, 1(2), 61-75. 

  9. W. S. Jung, S. H. Oh & Y. T. Lee. (2019). A Study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of Mega Complex Disaster Damage Evaluation and Estimation Using Disaster Bigdata.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4(7), 1433-1442. DOI : 10.7840/kics.2019.44.7.1433 

  10. K. K. Sung. (2019). Analysis of Display Color Distribution Inspection Using Image Strobing. The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3(1), 41-49. 

  11. S. M. Han. (2019). Disaster Humanities as a Multifocal Lens Viewing the World. The Journal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50, 287-308. 

  12. M. S. Jeong. (2019). Implementation of Personal Health Management Program Using GPS in Smartphone. The 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Technology Association, 4(1), 80-85. DOI : 10.33097/jncta.2020.04.01.80 

  13. S. Cho. (2019). An Analysis on Disaster Management Effectiveness of Preparedness Activities through the Survey on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Perception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ty Disaster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Security Convergence Management, 8(1), 188-198. 

  14. K. Wagh, S. Thakur, S. Yadav. (2018). Disaster Information System Using Geof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Recent Trends in Engineering and Research, 4(1), 397-402. DOI : 10.23883/ijrter.2018.4049.ziwkk 

  15. T. Bayrak. (2009). Identifying requirements for a disaster monitoring system. Disaster Prevention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18(2), 86-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