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Food Waste at Hom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79 - 87  

전은하 (인제대학교 U디자인학과) ,  양승호 (인제대학교 디자인엔지니어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식물류 폐기물이 야기하는 환경오염 문제는 오랫동안 사회적인 문제였으나 2013년 런던협약 가입으로 인해 음·폐수 해양배출이 금지되면서 한층 심각해졌다. 최근 정부의 음식물류 폐기물 관련 종합 대책의 실시는 감량 성과와 자원화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시행되지 못하였고 폐기물의 발생 분야별로 적절하게 대응하는 전략의 부족이 지적되었다. 많은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감량 정책 시행을 위해서 무엇보다 시민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사용자 경험 분석을 기초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를 디자인하여 시민의 참여를 높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다각적인 조사·분석, 표적 집단 인터뷰 및 사용자 여정지도를 포함한 사용자 경험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처리기는 폐기물의 수시 배출이 용이해지며 가정 내에서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 과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사용자와 폐기물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순간은 처리기에 배출하는 시점으로 제한하여 사용자가 겪었던 부정적인 경험을 최소화함으로써 폐기물 감량을 위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food waste have been a steady social issue, and the severity of the problem emerged as the 2013 London Convention banned the marine emissions of waste water. The government implemented measures related to food waste, but prior studies showed that it lacked conti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때문에 사회시설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다시 건조하고 처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에 있어 개인의 역할과 참여가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배출해 본 경험이 있고,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화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울산 및 경남, 부산에 거주하는 사용자 7명을 대상으로 표적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인터뷰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가정 내 배출단계 이해와 사용자 여정 지도 작성을 위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 배출량에 따라 수거·처리비용을 배출자가 부담하는 원인자 부담원칙을 기본원칙이다. 생활 폐기물과 더불어 환경 분야의 대표적인 경제적 유인제도이며,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게 하는 소비 행태 및 습관을 변환시키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9].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제 시행 방식은 납부필증, 전용봉투 방식, 알에프아이디(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 방식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배출해 본 경험이 있고, 음식물류 폐기물 감량화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울산 및 경남, 부산에 거주하는 사용자 7명을 대상으로 표적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인터뷰는 음식물류 폐기물의 가정 내 배출단계 이해와 사용자 여정 지도 작성을 위한 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참여자들의 특성은 다음 Table 1과 같다.
  •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있어 주요 배출원인 가정에서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과정에 집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방식은 개인이 감량화 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채 배출하여도 수거 시 집하장에서 한 곳에 모여 다른 가정에서 배출한 젖은 폐기물과 섞인다.
  • 앞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Table 4와 같은 디자인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다. 위생적인 처리과정, 간단한 배출 과정, 효율적인 처리, 일회용 비닐 사용 억제를 디자인 개발 방향으로 설정하여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있어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위한 처리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는 환경오염의 주요 발생원인 가정의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과정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토대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과정의 분석을 위하여 폐기물의 발생에서 처리까지의 전 과정에서 사용자의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성과 편이성이 향상된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 디자인을 제안한다.
  • 현 시행중인 종량제의 불편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주요 민원을 살펴보았다. 환경연구회(2015)와 환경부(2015)[12,13]의 연구에 따라 종량제 방식별 중점 민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현황은? 환경부(2016)에서 발표한 전국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 현황을 보면 배출된 폐기물의 90%이상 재활용 되고 있다. 재활용되는 음식물류 폐기물 대부분은 퇴비화, 사료화 되고 있으며 그 외 바이오가스, 기타처리 되고 있다.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기가 필요한 이유는? 사용자 조사 결과, 배출원자들은 음식물류 폐기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순간 부정적 감정이 크게 나타나며, 이는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악취, 미관상 문제, 버리는 과정에서의 손 오염의 이유가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 폐기물을 처리할 때 손 오염과 같은 문제 때문에 일회용 비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회용 비닐의 사용은 수거 시 혼입 및 2차 환경오염 문제가 있다. 이에 연구에서는 디자인 개발 방향 1)위생적인 처리과정, 2)간단한 배출 과정, 3)효율적인 처리, 4)일회용 비닐 사용 억제를 설정하였다.
음식물쓰레기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음식물쓰레기란 농, 축, 수산물 유통과정에서 버려지는 쓰레기, 가정, 음식점 등에서 조리과정 중 식품을 다듬고 버리는 식품 쓰레기, 먹고 남긴 음식물 찌꺼기 및 보관하였다가 그냥 버려지는 식품 폐기물을 말한다[3]. 버려진 음식물을 ‘음식물쓰레기’, ‘남은 음식물’,‘음식쓰레기’외 ‘젖은 쓰레기’ 등 여러 가지 조건과 상황에따라 다르게 불러지고 있으나 2000년 이후 관계법규 제정과 법률용어적 명칭으로 ‘음식물류 폐기물’로 칭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J Seo. (2017). A Study on Improvement of Emission Methods for Improving Food Waste Emission Convenience.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2. J. H. Tang. (2015). A Study on Improving Food Waste Recycling Industry. Master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3. K. D. Park. (2008). School-meal Analysis and Food-preference Survey on the No Leftovers Day in Some Middle Schools of Gwangju Area. Master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Naju. 

  4.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National Waste Statistics Survey. Sejong : Ministry of Environment. 

  5. J. I. Oh, H. J. Lee & H. J. Seok. (2010). An Analysis of Food Waste Generation of Residents and Food Waste Resources in Multifamily Hous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10), 905-915. 

  6.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Food Waste Disposal. Sejong : Ministry of Environment. 

  7. J. S. Park, D. W. Cha & S. J. Seo. (2009). An Overview of Food Waste Treatment Metho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427-432. 

  8. Sewerage law Article 33 & Article 23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same Act. 

  9. G. C. Boo. (2017). The Efficiency Assessment through the B/C Analysis According to the Food Waste Disposal Method: Case Study of Jeju Region. Master di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Food Waste Quantification System and Reduction Policy. Sejong : Ministry of Environment.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ay-as-you-go system, including food waste emissions and commissions. Sejong : Ministry of Environment. 

  12.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Research Council.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od Waste Management Policy and the Overseas Outstanding Management Government. KAPA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Research Council.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ood Waste Management Policy and the Foreign Excellence Management Policy. Sejong : Ministry of Environment. 

  14. S. H. Hong. (2015). The Impact of Unit Pricing System on the Demand for Solid Waste Disposal, Food Waste Disposal, and Recyclable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4(4), 747-761. 

  15. KRICT. (2019.04.04). Solving the biodegradable plastic bag 'easy to tea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