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온 화력 P91강 재열증기배관의 건전성 제고 방안
Schemes to enhance the integrity of P91 steel reheat steam pipe of a high-temperature thermal plant 원문보기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16 no.1, 2020년, pp.74 - 83  

이형연 (한국원자력연구원) ,  이제환 (한국원자력연구원) ,  최현선 ((주)피레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umber of so-called 'Type IV' cracking was reported to occur at the welded joints of the P91 steel or P92 steel reheat steam piping systems in Korean supercritical thermal power plants. The reheat steam piping systems are subjected to severe thermal and pressure loading conditions of coolant highe...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가동 중인 화력 재열증기 배관계통의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서 기존 배관계통의 배치에서 지지구조의 위치 변경 또는 일부 지지구조의 제거를 통해 배관계통의 건전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 또한 현재 국내에서 가동 중인 초임계압 고온화력 배관계통의 경우 과도하게 지지구조물이 설치되어 그것이 열응력 증가에 따른 구조건전성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본 연구에서는 기존 배관계통에서 불필요한 하나의 지지구조를 제거함으로써 열응력을 완화시키고, 건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SME B31.1을 따를 경우 최대응력강도(S)가 시간의존적 크리프 특성을 모사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원자력등급의 ASME-HB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간의존 응력강도(Smt)의 적용성도 검토해보았다. 즉, ASME B31.
  • 본 연구에서는 P91강 재질의 국내 초임계압 화력발전소 재열증기 배관계통에 대해 먼저 플랜트 건설 시 사용되었던 배관 설계 기술기준을 따라 건전성 평가를 수행하고, 재열증기 배관계통의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온·고압 조건에서 가동되는 국내 초임계압 화력발전소 내 P91강 재질인 재열증기배관계통에서 균열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동배관계통에 대해 배관해석을 수행하고, 설계 기술기준을 따라 평가한 후 건전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SME B31.1, 2016, ASME Code for Power Piping, ASME, New York. https://www.asme.org/codes-standards/find-codes-standards/b31-1-powerpiping 

  2. Lee, H.-Y., Son, S.-K., Won, M.-G., and Jeong, J.-Y., 2019, Risks of non-conservative design according to ASME B31.1 for high-temperature piping subjected to long-term operation in creep range," NUCL SCI TECH, Vol. 30, issue 5, pp.1-11. https://doi.org/10.1007/s41365-019-0604-4 

  3. 이형연, 손석권, 정지영, 2019"ASME B31.1을 따른 크리프 영역 장기간 가동 고온 배관의 설계 비보수성 기술 현안,"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A권, A, Vol.43 , No.7, pp. 475-482. https://doi.org/10.3795/KSME-A.2019.43.7.467 

  4. RCC-MRx, 2018, Tome 1, Section III Subsection B, Class 1 N1RX Reactor Components its Auxiliary Systems and Supports, AFCEN, Lyon. http://afcen.com/en/publications/rcc-mrx 

  5.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2019, Section III, Rules for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 Components, Division 5, High temperature reactors, ASME, New York. https://www.asme.org/codes-standards/find-codes-standards/bpvc-iii-5-bpvc-section-iii-rules-construction-nuclear-facility-components-division-5-high-temperature-reactors 

  6. Lee, H.-Y., Lee, S.-H., Kim, J.-B., Lee, J.-H, 2007"Creep-fatigue damage for a structure with dissimilar metal welds of Mod 9Cr-1Mo and 316L stainless steel," INT J FATIGUE, Vol.29, pp.1868-1879. https://doi.org/10.1016/j.ijfatigue.2007.02.009 

  7. Lee, H.-Y., Lim, D.-W., Jeong, J.-Y., 2017"Effects of Long-Time Service at High Temperature on the Material Strength and J-R Curve of Grade 91 Steel," ENG FRACT MECH, Vol.178, pp.445-456. http://dx.doi.org/10.1016/j.engfracmech.2017.02.022 

  8. Lee, H.-Y., Kim, W.-G., Kim, N.-H., 2015 "Behavior of Grade 91 material specimens with and without defect at elevated temperature," INT J PRES VES PIP, Vol.125, pp.3-12, Jan. http://dx.doi.org/10.1016/j.ijpvp.2014.10.002 

  9. Tuskamoto, S., Lie, Y., Shirane,T., Abe, F., 2013 "Improvement of microstructure stability during creep in high Cr ferritic heat resistant steel HAZ,", Trends in Welding Research,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June 4-8, Chicago, USA. 

  10. Lee, H.-Y., Won, M.-G., Huh, N.-S. 2019 "HITEP_RCC-MRX program for the support of elevated temperature design evaluation and defect assessment," J PRESS VESS-T ASME, Vol.141, October, 051205-1-13. https://doi.org/10.1115/1.4043916 

  11. ASME B&PV Code, Sec. II, Part D, 2017, "Materials,"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New York. https://www.asme.org/codesstandards/find-codes-standards/bpvc-iid-bpvc-section-ii-materials-part-d-properties 

  12. 김연수, 허남수, "내부 및 외부 원주방향 표면균열존재하는 배관의 두께효과를 고려한 소성 한계하중 계산식의 제시," Vol.14(1), pp.58-67, 한국압력기기공학회논문집. http://dx.doi.org/10.20466/KPVP.2019.15.2.0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