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hondroT 투여가 FeCl3로 유발된 혈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ondroT on Thrombus in FeCl3-induced Ra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30 no.3, 2020년, pp.45 - 56  

김지훈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김선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김주일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윤창석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최지민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나창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경락경혈학회) ,  김선종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ondroT on thrombus in FeCl3-induced rats. Methods We exposed FeCl3 to rat's carotid artery to induce thrombus. Specimens were divided in 5 groups; Intact, Control, ASA10 (aspirin 10 mg/kg), CT100 (ChondroT 100 mg/kg), and CT200 (Ch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 ChondroT 투여가 FeCl3로 유발된 혈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thromboxane,platelete activating factor (PAF)의 활성도, 지질대사물질, transaminase, erythrocytes, leukocytes, thrombocytes 함량의 변화, 경동맥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 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ondroT의 구성은 무엇인가?? ChondroT는 현재 관절염 치료제로 개발 중인 한약제제로 羌活, 當歸, 威靈仙, 金銀花, 黃柏으로 구성되어 있다. Bae 등10)과 Jeong 등11)의 연구에서 ChondroT는 동물모델에서 염증 억제와 연골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고,Won 등12)의 연구에서는 ChondroT의 진통 효과 기전을 밝혔다.
ChondroT 용량별 투여가 FeCl3로 유발된 혈전에 미치는 영향을 혈소판 thromboxane, PAF와 지질대사, 경동맥 조직학적 변화, 혈청 및 혈액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얻은 결과는? 1. Thromboxane 활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CT200 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PAF 활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CT200군이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경동맥 혈관의 조직학적 변화는 대조군과 비교해보았을 때 CT200군의 혈관 내 교원섬유 부분 손상은 억제되었고, 혈전 형성은 감소를 보였다. 4. 혈청 지질 중 TCHO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CT200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혈청 transaminase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각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6. 혈액 leukocyte 중 neutrophil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CT100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7. 혈액 erythrocytes 및 thrombocytes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각 실험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골관절염의 치료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골관절염의 치료는 통증 경감 및 관절 강직의 해결을 목적으로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으며, 특히 비수술적 치료 중 약물치료는 naproxen, ibuprofen, celecoxib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를 통해 cyclooxygenase (COX)가 prostaglandin, thromboxane과 같은 prostanoids의 형성을 억제하여 통증과 염증을 줄인다19,20). 하지만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가 COX를 억제하는 효과로 인해 위장관, 심혈관, 신장의 부작용이 있어 복용량과 복용 기간에 제한이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Planas JH, Muhammad W. Trauma primary survey.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2019. 

  2. Kleinegris MC, Ten Cate-Hoek AJ, Ten Cate H, Coagulation and the vessel wall in thrombosis and atherosclerosis. Pol Arch Med Wewn. 2012;122(11):557-66. 

  3. Kasper DL, Braunwald E, Fauci AS, Hauser SL, Longo DL, Jameson JL, Loscalzo J.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8th ed. Newyork:Mcgraw-Hill Book Co. 2011:3222-3. 

  4. Xu W, Wang TY, Becker RC. Hematologic diseases: from within the heart. Revista Espanola de Cardiologia (English Edition). 2011;64(7):606-13. 

  5. Statistics Korea. 2018 Official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Statistics Korea. 2018:1-14. 

  6. Zhang W, Moskowitz RW, Nuki G, Abramson S, Altman RD, Arden N, Bierma-Zeinstra S, Brandt KD, Croft P, Doherty M, Dougados M, Hochberg M, Hunter DJ, KwohK, Lohmander LS, Tugwell P. OARSI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hip and knee osteoarthritis, part I: critical appraisal of existing treatment guidelines and systematic review of current research evidence. Osteoarthritis and Cartilage. 2007;15(9):981-1000. 

  7. Pavlidis P, Bjarnason I. Aspirin induced adverse effects on the small and large intestine.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15;21(35):5089-93. 

  8. Schror K. Aspirin and reye syndrome. Pediatric Drugs. 2007;9(3):195-204. 

  9. Harirforoosh S, Asghar W, Jamali F. Adverse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 update of gastrointestinal, cardiovascular and renal complications. J Pharm Pharm Sci. 2013;16(5):821-47. 

  10. Bae KJ, Jeong JW, Choi CH, Won JY, Kim TG, Kim YR, Na CS, Kim SJ. Antiosteoarthritic effects of ChondroT in a rat model of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steoarthriti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8;2018:8565132. 

  11. Jeong JW, Bae KJ, Kim SG, Kwak DW, Moon YJ, Choi CH, Kim YR, Na CS, Kim SJ. Anti-osteoarthritic effects of ChondroT in a rat model of collagenase-induced osteoarthritis.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8;18(1):131. 

  12. Won JY, Jeong JW, Na CS, Kim SJ. Analgesic effects of ChondroT in collagenase-induced osteoarthritis rat model. J Korean Med Rehabil. 2016;26(3):17-30. 

  13. Lim YH, Jeong JW, Kim SG, Kim JH, Kim SJ. DRF and single dose oral toxicity study of ChondroT in rat. J Korean Med Rehabil. 2018;28(2):61-72. 

  14. Jeong JW. Repeated dose 13-week oral toxicity study of ChondroT in Sprague-Dawley rats [dissertation]. Naju: Dongshin University; 2018. 

  15. Kim SG, Jeong JW, Lim YH, Kim JH, Na CS, Kim SJ. A study on the anti-condensing effect of ChondroT components. J Korean Med Rehabil. 2018;28(2):47-60. 

  16. Kurz KD, Main BW, Sandusky GE. Rat model of arterial thrombosis induced by ferric chloride. Thromb Res. 1990;60(4):269-80. 

  17. Zhu Y, Carmeliet P, Fay WP.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s a major determinant of arterial thrombolysis resistance. Circulation. 1999;99(23):3050-5. 

  18. Schoendorf TH, Rosenberg M, Beller FK. Endotoxin-induced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n nonpregnant rats. Am J Pathol. 1971;65(1):51-8. 

  19. Hawkey CJ. COX-1 and COX-2 inhibitor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01;15(5):801-20. 

  20. Honda T, Kabashima K. Prostanoids in allergy. Allergol Int. 2015;64(1):11-6. 

  21. Korean Stroke Society. Stroke. 2nd rev. ed. Seoul: Panmuneducation. 2017:265. 

  22. Mubarak KK. A review of prostaglandin analog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Respir Med. 2010;104(1):9-21. 

  23. Korean Medicine University Herbology Editing Commission. Herbology. Seoul:Younglimsa. 2011:159, 221, 241, 305, 631. 

  24. Bjorkman DJ. The effect of aspiri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prostaglandins. Am J Med. 1998;105(1B):8S-12S. 

  25. Pluchart H, Khouri C, Blaise S, Roustit M, Cracowski JL. Targeting the prostacyclin pathway: beyond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Trends Pharmacol Sci. 2017;38(6):512-23. 

  26. Koltai M. Platelet activating factor (PAF). Drugs 1991;42(1):9-29. 

  27. Prescott SM, Zimmerman GA, McIntyre TM. Platelet-activating factor.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90;265(29):17381-4. 

  28. Wallace JP, Johnson B, Padilla J, Mather K. Postprandial lipaemia, oxidative stress and endothelial function: a review. Int J Clin Pract. 2010;64(3):389-403. 

  29. Alipour A, Elte JW, van Zaanen HC, Rietveld AP, Cabezas MC. Postprandial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ction. Biochem Soc Trans. 2007;35(Pt 3):466-9. 

  30. Navab M, Berliner JA, Watson AD, Hama SY, Territo MC, Lusis AJ, Shih DM, Van Lenten BJ, Frank JS, Demer LL, Edwards PA, Fogelman AM. The Yin and Yang of oxid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fatty streak. A review based on the 1994 George Lyman Duff memorial lecture.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1996;16(7):831-42. 

  31. Tietge UJ. Hyperlipidemia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flammation, dyslipidemia, and atherosclerosis. Curr Opin Lipidol. 2014;25(1):94-5. 

  32. Isselbacher KJ, Braunwald E, Wilson JD, Martin JB, Fauci AS, Kasper DL. Harrison's principle of international medicine. 13th ed. Newyork:Mcgraw-Hill Book Co. 1997:1189-93. 

  33. Monreal M, Lafoz E, Salvador R, Roncales J, Navarro A. Adverse effects of three different forms of heparin therapy: thrombocytopenia, increased transaminases, and hyperkalaemia. Eur J Clin Pharmacol. 1989;37(4):415-8. 

  34. Harker LA, Harlan JM, Ross R. Effect of sulfinpyrazone on homocysteine-induced endothelial injury and arteriosclerosis in baboons. Circ Res. 1983;53(6):7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