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치과의사는 감염, 알레르기, 시력장애 등 다양한 직업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비교적 최근 들어 새롭게 제기된 문제가 청력손상이다. 치과 진료실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작업장 소음 기준을 초과한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된 바 있고, 특히 소아치과 의사는 각종 치과 소음에 더하여 어린이의 울음소리라는 부가적 소음원에도 일상적으로 노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아치과 의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음 환경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청력 손상 가능성을 고찰해 볼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휴대용 소음계를 이용하여, 각종 치과용 기구, 어린이의 울음소리, 양자가 동시에 발생할 때의 소음 크기를 각각 측정하고, 소아치과 의사가 소음 환경에 노출되는 시간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 결과를 National Institute for Safety and Health(NIOSH) 및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SHA)의 소음 역치 기준, CRA News letter의 청력 손상을 유발하는 소음 기준과 각각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아치과 의사가 노출된 소음 환경은, 강도와 노출 시간을 고려했을 때 허용된 작업장 소음 기준을 초과하며, 어린이의 울음소리는 한 번의 노출로도 영구적 청력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치과의사와 비교하여 소아치과 의사는 직업적 청력 손상의 위험성이 더 높으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tal professionals are exposed to various occupational risks, among which the problem of hearing damage has been newly revealed. There have been some researches reporting that noise occurring in a dental office exceeds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SHA) Standards. Especially, the pedi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소아치과 의사라는 특수 집단이 처한 소음 환경에 대한 조사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치과 의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음 환경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따른 청력 손상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치과의사는 청력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1) 치과용 기구 구입시 제품의 소음 정도를 비교하여 결정한다. 2) 소음을 발생시키는 장비는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전원을 꺼둔다. 3) 소음을 발생시키는 장비는 정기적인 유지관리를 통하여 적절한 기능을 유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음은 무엇인가? 소음은 괴롭고 원치 않는 대단히 큰 소리로 정의되며, 기계문명의 발달에 따라 생활환경의 소음이 증가되면서, 소음으로 인한 청력 손상이 산업화 사회에서 중요한 장애 중 하나가 되었다1). 문헌에 따르면 전 인구의 약 1.
소음으로 인한 청력 손상의 위험도는 무엇에 따라 결정되는가? 소음으로 인한 청력 손상의 위험도는 소음의 크기, 노출기간과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소음에 대한 노출기간은 시간으로 측정되는데, 소리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청력 소실의 위험이 높아진다.
음향외상, 일시역치변동, 영구역치 변동은 각각 무엇인가? 소음성 청력 손상은 크게 음향외상, 일시역치변동, 영구역치 변동의 세 유형으로 분류된다. 먼저 음향외상은 폭발음과 같은 매우 강력한 정도의 소리에 단기간 노출되었을 때 즉각적으로 발생한다. 일시역치변동은 소음 노출 후 휴식기간을 가지면 청력이 회복되는 가역적 청력 손상을 말한다. 반면, 영구역치변동은 장기간의 소음 노출 후에 발생하는 비가역적 청력 손상을 말하며, 수년간에 걸친 반복적인 소음 노출 축적의 결과이다. 그런데 의사소통에는 청각 이외에도 보조적 수단이 존재하기 때문에, 역치변동이 심각한 정도로 진행되기 전까지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2nd). Ilchokak, Seoul, 690-697, 2002. 

  2. Phaneuf R, H tu R : An epidemiological perspective of the cuases of hearing loss among industrial workers. J Otolaryngol, 19:31-40, 1990. 

  3. Suter AH, Von Gierke HE : Noise and public policy. Ear Hear, 8:188-191, 1987. 

  4. Kim KC : Difficulty in managing the behavior and time required for treating the pedodontic patients in association with their age. J Korean Acad Pediatr Dent, 21:469-485, 1994. 

  5. Hyson, J M : The air turbine and hearing loss. Are dentists at risk?. J Am Dent Assoc, 133:1639-1642, 2002. 

  6. Garner, Federman J, Johnson A : Noise induced hearing loss in the dental environment : An audiologist's perspective. J Georgia Dent Assoc, 17-19, 2002. 

  7. Lehto T U, Laurikainen, E T, et al. : Hearing of dentists in the long run: A 15-year follow-up study. Comm Dent and Oral Epidemol, 17:207-211, 1989. 

  8. Merrell, H B, Claggett K : Noise pollution and hearing loss in the dental office. The Dental Assistant, 61:6-9, 1992. 

  9. The Korean Academy of Conservative Dentistry : Operative Dentistry 3rd Edition. shin-heung international, Seoul, 163, 2006. 

  10. Noise in dental environment & its relationship to hearing loss. CRA Newsletter, 27:2-4, 2003. 

  11. Choi NK, Jeong BC , Yang KH : Effects of sedative drugs for management in children. J Korean Acad Pediatr Dent, 29:304-312, 2002. 

  12. Gullikson J S : Tinnitus and the dentist. J Oregon Dent, 47:8-9, 1978. 

  13. Dobie RA : Head and Neck surgery-Otolaryngology. Lippincott-Raven Publ, Philadelphia, 2153-2163, 1998. 

  14. Saunders JC, Dear SP, Schneider ME : The anatomical consequences of acoustic injury: a review and tutorial. J Acoust Soc Am, 78:833-860, 1985. 

  15. Feuerstein J F :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 (5t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569, 2002. 

  16. Melnick W : Handbook of Clinical Audiology(3r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726, 1985. 

  17. Morarasu C, Burlui V, Borta C, et al. : The evaluation of sound level in dental practice. Rev Med Chir Soc Med Nat IASi, 105:785-9, 2001. 

  18. Coles RRA, Hoare NH :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the dentist. Brit Dent J, 159:209-218,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