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dazolam은 단기 작용 benzodiazepine 계열의 약물로서 소아치과 영역의 진정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아환자의 치과치료시 정주진정법으로서의 midazolam의 임상적인 효과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의 치과치료시 midazolam 정주진정법 및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해 후향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Midazolam 정주 및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 하 치과치료를 시행한 115명(11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소, 환자의 전신상태, 진정시간, midazolam 및 아산화질소의 용량, 진정법의 성공률에 대해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조사하였다. 진정법은 행동조절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평균 진정 시간은 수술 치료의 경우 56.7분, 수복 치료의 경우 74.4분이었다. 정맥 내 midazolam의 초기 투여량은 0.051 ± 0.019 mg/kg이었다. 34건(28.8%)에서 치료 중 0.036 ± 0.057 mg/kg의 추가적인 midazolam의 투여를 시행하였다. 아산화질소의 농도는 40 - 50%로 유지되었다. 진정법의 성공률은 99%(n = 117)였다. 1 건의 증례에서 후두 경련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한 치료 중단 후 환자는 benzodiazepine 길항제인 flumazenil으로 가역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아산화질소 흡입진정을 동반한 midazolam 정주진정법이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진정법을 위해서 모든 과정이 훈련받은 전문인력에 의해 시행되어야 하고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한 적절한 환자 선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dazolam is a short-acting benzodiazepine that is widely used in pediatric dental sedation. However, its clinical effectiveness as an intravenous sedative agent in children has not been widely documented.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enous midaz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소아환자의 행동조절을 위한 진정법으로서 midazolam 정주진정법과 아산화질소 흡입진정법을 사용한 치과 치료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성별 및 연령의 분포, 진정시 간, 사용된 약물의 용량, 환자의 전신건강 상태, 진정법의 성공률을 조사하여 진정법 선택 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ier K, Milgrom P, Yoshida T, et al.: Children's fear and behavior in private pediatric dentistry practices. Pediatr Dent , 26:316-321, 2004. 

  2. Wogelius P, Poulsen S, Sorensen HT : Prevalence of dental anxiety and behavior management problems among six to eight years old Danish children. Acta Odontol Scand , 61:178-183, 2003. 

  3. Klingberg G, Broberg AG : Dental fear/anxiety and dental behaviour management problem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view of prevalence and concomitant psychological factors. Int J Paediatr Dent , 17:391-406, 2007. 

  4. Choi YS, Shim YS : Sedation practices in dental office: A survey of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J Korean Acad Pediatr Dent , 26:579-588, 1999. 

  5. An SY, Choi BJ, Lee JH, et al.: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pediatric dental office. J Korean Acad Pediatr Dent , 32:444-453, 2005. 

  6. Bae CH, Kim H, Kim HJ, et al.: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dentistry. J Korean Dent Soc Anesthesiol , 14:29-39, 2014. 

  7. Wilson S, Houpt M : Project USAP 2010: Use of sedative agents in pediatric dentistry-a 25-year follow-up survey. Pediatr Dent , 38:127-133, 2016. 

  8. Wilson S, Alcaino EA : Survey on sedation in paediatric dentistry: a global perspective. Int J Paediatr Dent , 21:321-332, 2011. 

  9. Yang YM, Shin TJ, Jeong TS, et al.: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1:257-265, 2014. 

  10. Locker D, Shapiro D, Liddell A : Negative dental experi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dental anxiety. Community Dent Health , 13:86-92, 1996. 

  11. Chellappah NK, Vignehsa H, Milgrom P, Lam LG : Prevalence of dental anxiety and fear in children in Singapor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 18:269-271, 1990. 

  12. Kim SD, Lee SH, Lee NY, Jeon SY :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impacted mesiodens using dent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0:149-158, 2013. 

  13. Kim YH, Jeong TS, Kim S, et al.: Effects of mesiodens on adjacent permanent teeth: a retrospective study in Korean children based o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nt J Paediatr Dent , 28:161-169, 2018. 

  14. Krauss B, Green SM : Sedation and analgesia for procedures in children. N Engl J Med , 342:938-945, 2000. 

  15. Wilson K, Amin K, Girdler N : Evaluation of clinical effectiveness in the provision of intravenous midazolam sedation for anxious dental patients. Fac Dent J, 8:144-149, 2017. 

  16. Krauss B, Green SM : Procedural sedation and analgesia in children. Lancet , 367:766-780, 2006. 

  17. Wilson KE, Girdler NM, Welbury RR : Randomized, controlled, cross-over clinical trial comparing intravenous mid azolam sedation with nitrous oxide sedation in children undergoing dental extractions. Br J Anaesth , 91:850-856, 2003. 

  18. Averley PA, Girdler NM, Steele J, et al.: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paediatric conscious sedation for dental treatment using intravenous midazolam combined with inhaled nitrous oxide or nitrous oxide/sevoflurane. Anaesthesia , 59:844-852, 2004. 

  19. Becker DE, Rosenberg M : Nitrous oxide and the inhalation anesthetics. Anesth Prog , 55:124-130, 2008. 

  20. ADA Council on Clinical Affairs : Use of nitrous oxide for pediatric dental patients. Available from URL: https://www.aapd.org/media/Policies_Guidelines/BP_UseofNitrous.pdf (Accessed on June 20, 2019). 

  21. Lee KE, Song JS, Choi HJ, et al.: The changes of sedation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J Korean Acad Pediatr Dent , 45:154-161, 2018. 

  22. Davies CA, Sealey CM, Lawson JI, Grant IS : Reversal of midazolam sedation with flumazenii following conservative dentistry. J Dent , 18:113-118, 1990. 

  23. Kupietzky A, Houpt MI : Midazolam: a review of its use for conscious sedation in children. Pediatr Dent , 15:237-241, 1993. 

  24. Aun C, Flynn PJ, Richards J, Major E : A comparison of midazolam and diazepam for intravenous sedation in dentistry. Anaesthesia , 39:589-593,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