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대 청년세대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Investigating the Trends of Research for the Age of Youth at 20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223 - 232  

방미현 (숙명여자대학교 인력개발정책학과) ,  이영민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픽 모델링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20대 청년세대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난 10년간 국내에서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발표한 학술논문 530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핵심 주제어는 '소득', '프로그램', '창업', '문화'였고, 6개의 토픽(취업 지원 서비스, 가치관, 불안정한 삶, 정부 지원 정책, 종교관, 창업 지원 서비스)이 도출되었다. 또한, 연구를 통해 20대 청년세대는 높은 디지털 기술 효용감, 효율적인 디지털 정보의 소비 추구, 의미 전복적이고 심미적인 소비패턴, 자신의 정체성을 온라인 세계에서 찾고, 현실을 지향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대 간 가치관 격차, 지역간 발전의 불균형 문제, 소득 불평등의 주요 양극화 문제를 제기하였고, 향후 대안적 정책으로 단편적이고 일회성에 그치는 미봉책이 아닌, 장기적으로 지속성 있는 20대 청년세대 문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articles for the age of youth at 20s during 10 years through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In results, 'incomes', 'program', 'business start-up', and 'culture' were selected as main keywords, and the research articles were classified i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은 성장하면서 디지털 환경을 경험한 문화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사고방식을 갖고 있다[17]. 또한, 발전된 기술과 플랫폼을 이용하여 자율적인 노동과 네트워크화 된 인간관계 형성하면서 서로의 참된 자아를 존중하고 자아를 실현하고자 한다[18].
  • 본 연구에서는 토픽 모델링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 등을 통해 20대 청년세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주제어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핵심 주제어로 ‘소득’, ‘프로그램’, ‘창업’, ‘문화’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토픽 모델링과 주제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해 20대 청년세대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학문영역별 20대 청년세대의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가치관 차이로 야기될 수 있는 가족, 조직, 사회에서의 다양한 문제와 장기적인 관점의 후속 사항의 영향을 예측, 설명하지 못하고 있고, 현실 의 제도와 정책에서도 이를 제대로 고려하여 반영하지 못한채 단시안적 시각에서의 금전적 수당 지급과 한시적 일자리 창출에만 주안점을 두어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주원인의 동인인 가치관을 중심으로 핵심 주제를 살펴보아 다양한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예지은, 진현, "신세대 직장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제12권, 제2호, pp.67-86, 2009. 

  2. 지승학, "Z세대를 위한 주체성 담론 고찰," 영상문화, 제33호, pp.127-148, 2018. 

  3. 최재붕,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포노사피엔스, 쌤앤파커스, 2019. 

  4. 김나경, 2011년 대한민국 20대의 가치관과 라이프 스타일, LGERI리포트, 2011. 

  5. 김영선, "연령집단구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8호, pp.279-305, 1999. 

  6. stdict.korean.go.kr 

  7. Wohl, Robert, The generation of 1914,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8. 주경희, 김주현, 정순둘, 임병우, "연령집단에 대한 태도와 연령통합 인식에 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72권, 제3호, pp.71-93, 2017. 

  9. 홍일선, "세대간 정의와 평등," 憲法學硏究, 제16권, 제2호, pp.453-484, 2010. 

  10. 이호영, 조성은, 오주현, 김석호, 이윤석, 디지털세대와 기성세대의 사고 및 행동 양식 비교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2. 

  11. 박재흥, "세대명칭과 세대갈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경제와 사회, 제1권, 제31호, pp.10-34, 2009. 

  12. 최인영, 최혜경, "한국 중년세대의 가치관 특성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1호, pp.81-109, 2009. 

  13. 유계숙, 강민지, 윤지은,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관. 가족과 문화," 제30권, 제3호, pp.42-69, 2018. 

  14. 정수남, 김정환, "잠재적 청년실업자'들의 방황과 계급적 실천," 문화와 사회, 제23호, pp.195-264, 2017. 

  15. 왕정하, 청년층 좋은 일자리와 삶의 질,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6. 안정임, 서윤경,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격차의 세부요인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p.69-78, 2014. 

  17. 임홍택, 90년생이 온다, 웨일즈북스, 2018. 

  18. 김가영, "밀레니얼(Millennial)만들기와 청년성의 전유," 인문사회과학연구, 제20권, 제1호, pp.209-230, 2019. 

  19. 이종원, 한국사회 20대 청년의 생활인식 실태와 정책과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16. 

  20. 고민좌, 김혜숙, "20대 성인이 지각한 부모의 행복도, 배경변인과 가족관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제21권, 제2호, pp.301-322, 2016. 

  21. 진미정, 한준, 노신애, "20-30대 청년세대의 결혼?출산 가치관의 잠재유형과 한국사회 인식 및 개인적 미래 전망의 관련성," 가족과 문화, 제31권, 제1호, pp.166-188, 2019. 

  22. 사이람, NetMiner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교육 자료, 2020. 

  23. 강범일, 송민, 조화순,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신문자료의 오피니언 마이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7권, 제4호, pp.315-334, 2013. 

  24. 안정은, 한국의 세대투표와 미디어의 영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5. 성동규, 김인경, "다중매체 이용실태에 따른 광고전략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1권, 제2호, pp.247-284, 2011. 

  26. 이혜경, 고은영, "인스턴트 메신저 이모티콘 사용에있어 20대와 장년층의 특성비교연구-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45-156, 2015. 

  27. 황성원, 일상화된 연예인 소비 행위의 문화 정치,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8. 김슬기, 전범수, "20대 문화 소비의 다양성 결정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762-771, 2016. 

  29. 대학내일 20대연구소, 밀레니얼-Z세대 트렌드 2020, 위즈덤하우스, 2019. 

  30. 이영민, "20대의 정치의식 특성과 정치성향의 형성경로," 사회연구, 제11권, 제1호, pp.9-43, 2010. 

  31. 이주영, 통일의식의 세대분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32. 이근 외 7인, 디지털사회 2.0, 21세기 북스, 2019. 

  33. 이지은, "에듀테크로 촉발되는 고등교육의 위기와 기회," Korea Business Review, 제24호, pp.151-171, 2020. 

  34. 구교준, 이용숙, "뉴노멀 시대의 경제환경과 다양성," 정부학연구, 제22권, 제2호, pp.27-50, 2016. 

  35. 이찬영, 조세형, 류재준, "광주지역 청년층 인재유출원인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지역개발연구, 제48권, 제1호, pp.117-142, 2016. 

  36. 김재홍, "대졸자의 취업이동과 지역인재유출," 힌국지방자치연구, 제19권, 제4호, pp.69-90, 2018. 

  37. 이호건, "한국 에듀테크 산업의 육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논총, 제12권, 제1호, pp.99-116,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