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에 관한 연구 : '로버트 카파'의 D-DAY 사진을 중심으로
A Study on War Documentary Photography : Focusing on the D-DAY Photo of 'Robert Cap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368 - 378  

임상욱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양종훈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  이상은 (상명대학교 디지털이미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이 가진 푼크툼(punctum)과 스투디움(studium)의 특성이 수용자에게 어떻게 작용되는지 로버트 카파와 미군 사진병이 촬영한 'D-DAY' 사진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수용자들과의 인터뷰를 수행하여 푼크툼과 스투디움 경험의 표출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수용자들은 미군 사진병의 사진 보다 로버트 카파의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에서 푼크툼적 경험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장소에서 같은 상황을 촬영해도 촬영한 사진가에 따라 푼크툼과 스투디움을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하며 사진이 현실을 그대로 보여 주지 못해 왜곡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수용자 측면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한 수용자의 경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이 가진 왜곡성과 수용자의 푼크툼적 경험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punctum' and 'studium' in war documentary photography work on the audience through 'D-DAY' photographs taken by Robert Kappa and a U.S. army photographer. As a method of research,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audience to examine the process of expr...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을 어떠한 과정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 푼쿠툼과 스투디움적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다큐멘터리 사진에서 푼크툼적 경험의 전환점이된 로버트 카파의 사진과 같은 장소에서 군인들이 촬영한 사진에 대한 수용자들의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D-DAY는 상륙작전이라는 특성상 제한된 지역과 조건에서만 촬영이 가능했기 때문에 외부의 변수를 최소화해서 객관적인 분석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록적이며 선전적인 측면에서 촬영된 미군 사진병의 사진과 그렇지 않은 로버트 카파 사진과의 비교를 통해 로버트 카파의 다큐멘터리 전쟁사진이 푼크툼 측면에서 기존 사진과 어떻게 다른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로버트 카파가 D-DAY에 참여하여 촬영한 사진과 미군 촬영 부대 사진병이 촬영한 사진 중 유사한 사진을 각 2장씩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푼크툼과 스투디움의 특성을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을 본 수용자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로버트 카파의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이 푼크툼적 경험에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논의하도록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D-DAY이라는 역사적 순간에 촬영된 로버트 카파의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과 미군 사진병이 촬영한 사진과의 비교를 통해 수용자들이 푼크툼과 스투디움 경험을 어떻게 느꼈는지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 특히, 질적 연구는 현상을 개념화, 범주화, 계량화, 이론화 이전의 자연 상태로 환원하여 최대한 ‘있는 그대로’ 혹은 ‘그 본래 입장에서’ 접근하는 연구 방법이기 때문에 수십 년 전에 찍힌 사진을 현상적 인 측면 그대로 볼 수 있는 특징이 있다[24].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의 여러 방법 중 인터뷰를 활용하여 사진 촬영자의 의도를 이해하고 전쟁사진의 주관적 해석과 경험인 푼크툼과 사회적으로 공통된 경험을 체험하는 스투디움을 알아보고자 한다. 인터뷰는 개인의 언어 를 자료 분석의 기본 단위로 사용하고, 그 개인이 현실을 어떻게 해석하고 부여하는지 알아보자 할 때 유용한 도구이기 때문이다[25].
  • 각 인터뷰 실시 전에 연구 목적, 연구과정 등을 설명하였다. 비밀이 명시된 사전 동의서를 작성하여 연구 목적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였다.
  • 그리고 이 사진 중 로버트 파의 사진과 구도, 구성원의 유사성 등에 근거하여 사진 2장(사진 6)을 선택하였다. 사진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사진 전문가(사진관련학과 교수 A), 군 관계자(육군 B 소령, 해군 C 중 령)의 자문(Expert Debriefing)으로 유사성에 대한 논문 작성자의 편행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 이런 이유로 다큐멘터리 사진을 수용자들이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에 대한 폭넓은 탐색, 즉 수용자의 입장에서 푼크툼과 스투디움을 탐색하는 연구는 부족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언어를 분석하여 깊이 있는 현상에 대한 탐색이 가능한 질적 연구의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사진 을 보는 관객들이 갖는 경험의 다양성이나 깊이를 탐색 하기위해서는 양적 연구 보다는 질적 연구가 적절하기 때문이다[24].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용자들이 전쟁 다큐멘터리 사진을 어떠한 과정으로 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는지 푼쿠툼과 스투디움적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다큐멘터리 사진에서 푼크툼적 경험의 전환점이된 로버트 카파의 사진과 같은 장소에서 군인들이 촬영한 사진에 대한 수용자들의 경험을 인터뷰를 통해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푼크툼의 뜻은 무엇인가? 특히, 사진에는 공존하는 두 가지 요소가 있는데 이를 푼크툼(punctum)과 스투디움(studium)으로 구분하였다. 푼크툼은 ‘찌름’의 라틴어 ‘punctionem'에서 비롯되어  화살같이 뾰족한 도구에 찔릴 때 만들어지는 상처나 그 흔적, 무엇이라고 명쾌하게 설명될 수 없는 돌발적 아픔이다. 사진가의 의도와 상관없이 자신의 개인 경험에 비추어 작품을 받아들이는 경험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경험이 없는 사람도 느낄 수 있는 보편적 감정을 스투디움이라고 한다.
사진의 이중적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통념 때문에 사람들은 사진의 진실성에 대한 권위를 받아들이고 자신이 그 장소에 있었다면 사진 속의 광경이나 대상을 정확히 본 것이라고 믿게 되었다[2].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사진의 이중적 특징을 ‘푼크툼(punctum)’과 ‘스투디움(studium)’으로 구분한 바 있다.
왜 사진의 진실성을 받아들이게 됐는가? ”고 말하여 사진의 효율성을 거론한 바 있다[1]. 그러나 사진이 등장한 후 초반의 많은 시간 동안 사람들은 사진이 현실을 거짓 없이 옮겨놓는 장치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통념 때문에 사람들은 사진의 진실성에 대한 권위를 받아들이고 자신이 그 장소에 있었다면 사진 속의 광경이나 대상을 정확히 본 것이라고 믿게 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성민, 포토저널리즘의 몇 가지 단상, 사진강좌, 2006. 

  2. 이영준, 사진의 담론과 역사의 담론,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1999(12). 

  3. 박상원, 다큐멘터리사진에서 푼크툼 스투디움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4. 전갑생, "한국전쟁 포로와 사진 : '동양공산주의자' 인종 프레임과 폭력성 재현," 이화사학연구, 제56권, 제56호, pp145146, 2018. 

  5. 한현석,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로 본 천황가의 이미지와 제국주의 선전," 일본문화연구, 동아시아일본학회, 제67호, pp.9093, 2018. 

  6. 정의진, "정근식,강성현 저,한국전쟁 사진의 역사사회학: 미군 사진부대의 활동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한국전쟁 연구의 국제비교학적.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국제비교한국학회, 제24권, 제2호, pp.275276, 2016. 

  7. 심진호, "'가드너의 남북전쟁 사진집' 에 나타난 이미지와 텍스트의 상호매체성," 한국사상과 문화, 제79권, 제79호, pp. 510512, 2015. 

  8. 김화자, "사진에서 응시와 푼크툼(punctum)의 광기적진실: 현상학적.정신분석적 이해, 철학과 현상학 연구," 한국현상학회, 제70권, 제70호, pp.2628, 2016. 

  9. 송수정, "전쟁의 속도에 반(反)하는 전쟁사진의 스펙터클화," 한국영상문화학회, No.25, p.143, 2014. 

  10. 김지현, 조재경, "디지털 이미지시대의 푼크툼(punctum) 표현방법 연구," 한국디지인문화학회지, Vol.23, No.1, p.139, 2017. 

  11. 이광수, 사진인문학, 알렙, 2015. 

  12. 그레이엄 앨런, 문제적 텍스트 롤랑 바르트, 송인영(역), 앨피, 2006. 

  13. 최윤필, 종군 사진작가 로저 펜튼의 전장, 한국일보, 2019. 8. 8. 

  14. J. Paul Getty Museum, https://www.getty.edu/museum/, 2020. 6. 21검색 

  15. 이재구, 예술로서 다큐멘터리사진 미학에 관한 연구: 워커 에반스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8). 

  16. 박상수, 포토저널리즘의 이해, 나남, 2001. 

  17. 김영철, 로버트 카파와 카파이즘, 교수신문, 2013. 9. 30. 

  18. C. Brothers. War and Photography, New York, Routledge, 1997. 

  19.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https://www.marines.mil/Photos/2020. 6. 21검색 

  20. Magnum Photos website, https://www.magnumphotos.com/, 2020. 6. 21검색 

  21. 장 다비드 모르방 등, 로버트 카파 : 살아 남은 열한장의 증언, 2018. 

  22. http://165spc-ww2pr65ir.weebly.com/ 

  23.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https://www.archives.gov/research/military/ww2/photos, 2019. 10. 26 검색 

  24. 조용환, 교육평가용어사전, 한국교육평가학회, 2004. 

  25. Guba & Lincoln,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1994. 최욱 회, 질적연구 핸드북, 아카데미프레스,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