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elf-Reliance of Unmarried Mothers on their Life Satisfaction - Focus on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478 - 490  

김지혜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조성희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혼모들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 대한 사회자본조절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총 207명의 미혼모를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의지와 사회자본,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높을수록, 사회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이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혼모들이 같은 수준의 자립의지를 가지고 있더라도 높은 수준의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 더 큰 삶의 만족 수준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혼모의 삶의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self-reliance of unmarried mothers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is relationship. For the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married mothers living in the community. A total of 207 responses were used. The results are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립의지’가 삶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인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및 서비스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다양한 가족의 유형 중 그 어려움의 수준이 높은 미혼모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삶의 만족을 살펴보았다. 미혼모들이 경험하는 삶의 만족을 검토하면서 이들의 삶에 중요한 과업인 자립과 관련된 자립의지와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미혼모의 삶 만족과 자립의지, 사회자본의 단편적 영향 관계를 넘어서서 자립 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혼모의 삶 만족을 증진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미혼모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경제적 자립뿐 아니라 자립의 심리정서적 요소들에 대한 고려를 기반으로 한 개입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미혼모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자립 의지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미혼모의 심리적 자원을 구축하고, 삶의 만족을 증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삶의 만족과 사회자본의 직접적인 관계에 초점을 두었던 기존의 연구에서 더 나아가,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미혼모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련 요인들 간의 관계를 고려한 보다 다각적인 사회복지적 개입의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다양한 가족의 유형 중 그 어려움의 수준이 높은 미혼모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삶의 만족을 살펴보았다. 미혼모들이 경험하는 삶의 만족을 검토하면서 이들의 삶에 중요한 과업인 자립과 관련된 자립의지와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혼모 2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동안 진행된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연구의 목적의 영향 이외에도 조사의 여건으로 인하여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모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 이후 각 기관을 통해 연구와 설문 조사에 대한 홍보를 통해 연구참여자를 확보하였으며, 설문 조사의 활성화를 위하여 전화와 문자메시지, 이메일을 통해 연구 참여를 독려하였다. 설문 조사를 수행함에 있어서는 인쇄된 설문지를 통한 조사 방법과 미혼모들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조사 반응성을 줄이고, 조사 접근성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온라인 설문을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립의지’를 미혼모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으로 구성된 종합적인 개념으로 고려하고자 한다.
  • 그러나 세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각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성을 고려한 연구와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자립의지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실질적으로 검토하고자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원가족과 단절되어 사적 자원이 부족하고, 사회적 편견 등으로 고립되기 쉬운 미혼모들에게 사회자본은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의 자립의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조절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미혼모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를 보다 심도 있게 검증하고자 한다.
  • 미혼모들이 경험하는 삶의 만족을 검토하면서 이들의 삶에 중요한 과업인 자립과 관련된 자립의지와 사회자본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미혼모의 삶 만족과 자립의지, 사회자본의 단편적 영향 관계를 넘어서서 자립 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207명의 미혼모를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 그동안 진행된 미혼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연구의 목적의 영향 이외에도 조사의 여건으로 인하여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모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미혼모들의 자립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특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사회자본의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미혼모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립의지의 정의는? 자립의지는 자립을 하기 위한 적극적인 마음을 말하는데 자립의 정의와 연결해 보면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삶을 유지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심리상태’라 고 정의할 수 있다. 자립의지 자체가 추상적인 심리적 구성개념이기에, 많은 연구에서는 실제로 높은 수준의 자립을 이룬 사람들의 공통된 특성을 추출하여 자립의 자기를 측정하고 있다[16 재인용].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것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의지와 사회자본,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높을수록, 사회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만족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혼모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미혼모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에서는 친부모의 생존 여부, 주관적 건강 인식, 타인과 가족으로부터 인식되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과 부모지지, 자녀 아버지 지지가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13][18]. 또한,, 미혼모에 대한 지역사회의 편견과 차별 역시 양육미혼모들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9][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김혜영, 이미정, 이택면, 김은지, 선보영, 장연진, 박은정, 이재경, 미혼모의 양육 및 자립실태조사, 서울:여성가족부, 2010. 

  2. 이미정, 미혼모 자녀 양육 및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3. 허남순, "미혼모 발생의 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8호, pp.107-121, 1986. 

  4. 윤미현, 이재연, "10대 미혼모의 임신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제21권, 제4호, pp.105-121, 2000. 

  5. 배영미, "청소년 미혼모의 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 개인.가정.사회적 특성을 중심으로," 국제여성연구소 연구논총, 제10권, 제1호, pp.51-80. 2001. 

  6.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 경험: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 제26권, 제4호, pp.101-131, 2010. 

  7. 남미애,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3호, pp.141-170, 2011. 

  8. 이현주, 송진아, "10대 미혼모가 경험한 학업중단과 의미," 사회복지학연구, 제42권, 제3호, pp.57-83, 2011. 

  9. 김희주, 권종회, 최형숙,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6권, pp.121-155, 2012. 

  10. 임해영, 이혁구,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사회복지연구, 제45권, 제3호, pp.35-69, 2014. 

  11. 김지혜, 조성희, "양육미혼모의 자립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8권, 제2호, pp.149-180, 2016. 

  12. 이용우, 양호정, "양육미혼모의 자립과정에 대한 탐색-자립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70집, pp.111-138, 2019. 

  13. 박화옥, "영유아 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49-155, 2017. 

  14. 박윤아, 이영호, "양육미혼모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성격강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22권, 제2호, pp.143-171, 2017. 

  15. 김지혜, 김희주, "여성 한부모의 자립 경험과 강점 자원에 대한 연구: 사별, 이혼, 미혼모 가족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9권, 제4호, pp.159-193, 2018. 

  16. 송지현, 정소희,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7집, pp.31-57, 2014. 

  17. 박영란, 강철희,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3호, pp.91-116, 1999. 

  18. 남미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우울과 전반적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요인," 한국아동복지학, 제44호, pp.91-125, 2013. 

  19. 홍봉선, "양육경험이 있는 청소년미혼모의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2호, pp.43-72, 2013. 

  20. 이인숙, "한부모 여성의 사회자본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양부모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4권, 제4호, pp.199-227, 2013. 

  21. 김은령, "만성 관절염 노인환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 간의 관계에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상호작용 효과," 보건과 사회과학, 제33호, pp.59-83, 2013. 

  22. 김수린, 주경희, 정순둘, "소득이 고령층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65집, pp.103-136, 2018. 

  23. 강유진, "가족 소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과 학교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3호, pp.323-339, 2010. 

  24. 손성철, 정범구,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사회 자본의 조절효과," 경영경제연구, 제33권, 제1호, pp.85-108, 2010. 

  25. 이현기, "노인자원봉사활동과 사회자본 :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0호, pp.263-290, 2010. 

  26. 김현옥, 김경호, "아동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연구," 아동영유아보육학, 제67집, pp.219-243, 2011. 

  27. 배경희, 김석준, "여성결혼이민자의 가구소득과 직업유무가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자본 조절효과 검증," 한구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5-27, 2012. 

  28. 김계숙, 김진욱, "암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 돌봄 시간, 만성질환 여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4호, pp.57-97, 2018. 

  29. 간우선, 조성재, 조주현, 김희영, "장애발생시기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장애수용도와의 관계," 직업재활연구, 제20권, 제2호, pp.87-117, 2010. 

  30. 박명숙, "장애여성들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제1호, pp.139-156, 2012. 

  31. 지수연, "보호시설 청소년미혼모의 학습된 무기력 감소를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상담평가연구, 제5권, 제1호, pp.13-20, 2012. 

  32. 성정현, 박영미, 김희주, 이미정, 미혼모 당사자 Empowering 및 전문가 집단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보델 개발, 서울:한국여성재단, 2015. 

  33. 이성원, 미혼양육모의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4. 김근식, 윤옥화, "기혼취업여성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3권, 제2호, pp.167-188, 2009. 

  35. 차경호, "대학생들의 성격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상담연구, 제9호, pp.7-26, 2001. 

  36. 이지수,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제52권, 제2호, pp.89-114, 2007. 

  37. 조상은, 강상경, "지체장애인의 스트레스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처자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4권, pp.371-398, 2010. 

  38. 문무현, 한진환,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제16권, 제47호, pp.165-175, 2018. 

  39. 김미숙, 원영희, "저소득층 한부모의 자아통제감이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여성연구, 제71권, pp.75-105, 2006. 

  40. 유선자,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41. 서재복, 임명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참여, 사회적지지, 임파워먼트 및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국제이해교육연구, 제13권, 제2호, pp.157-181, 2018. 

  42. 김은선, 빈곤여성 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활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43. 최윤정, "한부모 가족 여성가장의 정신건강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9권, 제4호, pp.1835-1850, 2008. 

  44. 박성우, 김용욱, "특수한 학습요구를 가진 학생들의 장애 유형과 연령에 따른 자기결정력과 삶의 질 비교,"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제5권, 제4호, pp.251-270, 2004. 

  45. J. U. Siebert, R. E. Kunz, and P. Rolf, "Effects of proactive decision making on life satisfaction,"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280, pp.1171-1187, 2020. 

  46. 박희봉, 이희창, 김동욱,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분석: 경제?사회적 요인인가? 사회자본 요인인가?,"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3호, pp.709-728, 2005. 

  47. 이정규, "삶의 만족감과 사회적 자본: 시민적 참여, 신뢰, 사회적 자원의 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호남대학교), 제22호, pp.5-40, 2009. 

  48. 이경준, 정명선, "장애인의 인적 및 사회문화적 자본이 경제적 자립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8권, 제6호, pp.337-348, 2017. 

  49. 박태정, "노인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제8권, 제4호, pp.429-443, 2017. 

  50. 정순둘, 성민현,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 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249-272, 2012. 

  51. 최은숙, 이태연, "시설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7호, pp.445-468, 2015. 

  52. 안경천, 김현진,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23권, 제1호, pp.101-118, 2018. 

  53. 변규란, 이정은, 최수찬, "모자보호시설 가구주의 심리사회적 요인이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공식/비공식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21호, pp.139-166, 2007. 

  54. 천보경, 금명자, 박찬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학습된 무기력과 자립의지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8권, 제11호, pp.449-457, 2018. 

  55. 신지혜, 강현아, "가정외보호청소년의 사회적자본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제58호, pp.77-102, 2017. 

  56. 이형하, "자활근로사업과 자활공동체 사업 참여자의 자립의지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3권, 제1호, pp.107-110, 2015. 

  57.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58. 임은주, 여성장애인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59. 안병일, 청소년단체 참여활동이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