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공격성과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Aggres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516 - 524  

박기희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박은민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과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지방에 소재한 중고등학생 66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첫째, 공격성과 스마트폰중독은 정적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공격성과 자기효능감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중독은 부적상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공격성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 예방 및 해소를 위한 자기효능감의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자아효능감 증진 교육 및 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A self-reprting survey was conducted on 665 adolescen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G광역시 소재 4개의 고등학교와 3개의 중학교를 편의 표집한 후 연구 대상자 표집 학교의 관리자와 담당 교사에게 연구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동의와 협조를 구한 후 사전 공문을 보내고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보호자 및 본인 동의가 완료된 후 자발적으로 참여한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격성이 자기효능감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매개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공격성이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공격성, 스마트폰 중독,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공격성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밝히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중독이란 무엇인가? 스마트폰 사용의 일반화는 우리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긍정적 기능을 제공하지만 일부에서는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스마트폰중독 폐해가 발생하고 있다 [1]. 스마트폰중독이란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금단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2].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악화[3], 학교생활부적응 문제[4], 스트레스[5], 대인관계 어려움[6] 등 많은 부정적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의 부정적 영향은 무엇인가? 스마트폰중독이란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따른 금단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라고 정의한다[2]. 스마트폰 중독은 청소년의 신체적 건강악화[3], 학교생활부적응 문제[4], 스트레스[5], 대인관계 어려움[6] 등 많은 부정적 영향을 야기하고 있다.
스마트폰중독과 관련된 개인의 심리적 요인인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의 특징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은 어려운 환경이나 문제에 직면하더라도 평소보다 노력을 많이 하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기술을 활용하여 과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다[29][30].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은 인터넷 가상세계 속에서 인정받는 성취경험을 통해 보상받는 경험을 한다고 보고한다[26]. 현실세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인터넷중독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이창호, 스마트미디어의 이해-스마트폰과 일상생활, 서울: 미래인, 2014. 

  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5년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 2016. 

  3. A. Schweizer, A. Berchtold, Y. Barrense-Dias, C. Akre, and J. C. Suris, "Adolescents with a smartphine sleep than their peers,"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Vol.176, No.1, pp131-136, 2017. 

  4. 최현석, 이현경, 하정철,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학교생활,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K 대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제23권, 제5호, pp.1005-1015, 2012. 

  5. J. Harwood, J. J. Dooley, A. J. Scott, and R. Joiner, "Constantly connected: The effects of smart-devices on mental healt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4, No.1, pp267-272, 2014. 

  6. 윤주영, 문지숙, 김민지, 김예지, 김현아, 허보름, 김재언, 정선이, 정지은, 정현지, 이은하, 최정혜, 홍서영, 배정이, 박현주, 홍희정,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건강문제," 국가위기관리학회보, 제3권, 제2호, pp.92-104, 2011. 

  7. 고영삼, 스마트한 사람들, 스마트폰 중독에 빠져들다-스마트 미디어의 이해, 미래인, 2014. 

  8. 김동일, 이윤희, 이주영, 김명찬, 금창민, 남지은, 강은비, 정여주, "미디어 이용 대체.보완과 중독: 청소년과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 형태를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20권, 제1호, pp.71-88, 2012. 

  9. T. E. Gladwin, B. Figner, E. A. Crone, and R. W. Wiers, "Addiction, adolescence, and the integration of control and motivation,"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Vol.1, No.4, pp.364-376, 2011. 

  10. 박채진, 서석진, 도명애, "초.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국내 연구의 동향:스마트폰 중독의 원인과 결과 요인을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제33권, 제3호, pp.271-296, 2017. 

  11. 전혜숙, 전종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9권, 제3호, pp.53-80, 2017. 

  12. 류경희, 홍혜영,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간의 관계: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57-183, 2014. 

  13. 유현주, "초기 청소년의 학대경험,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및 휴대전화의존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12호, pp.417-446, 2014. 

  14. 한희진,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휴대폰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5. 한영희, 조아미, "무단결석 청소년의 생활과 진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5권, 제3호, pp.29-53, 2008. 

  16. 박훈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7. S. R. Garrison and A. L. Stolberg, "Modification of anger in children by affective imagery training," Journal of Abnormal Child Pychology, Vol.11, No.2, pp.115-130, 1983. 

  18. 금창민,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9. 김혜민, 고등학생의 사회정신적 건강상태와 학교 적응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20. 최희정, 중학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인터넷중독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1. H. Odaci and C. B. Celik, "Who are problematic internet users?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ions between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shyness, loneliness, narcissism, aggression and self-percep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9, No.6, pp.2382-2387, 2013. 

  22. 박혜림, 아동의 학고부적응이 스마트폰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3. 박은민, 박기희, "부?모 양육태도와 스마트폰중독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효과: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놀이치료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09-224, 2014. 

  24. 류경희, 홍혜영, "중학생의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중독간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57-183, 2014. 

  25. 류미현,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여가관련변수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1호, pp.63-79, 2014. 

  26. 박영주, 장문영,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감각처리특성 및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13권, 제2호, pp.43-51, 2015. 

  27. 김정현, 정인경,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11-126, 2015. 

  28. 주현정, 전호선, 박미경,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학연구, 제17권, 제11호, pp.395-407, 2019. 

  29. A. Bandur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 Company, 1997. 

  30. 권양이,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 이수대학생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에 관한연구," 평생교육학연구, 제17권, 제1호, pp.91-118, 2011. 

  31. R. A. Davis, "A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7, No.1, pp.187-195, 2001. 

  32. 송원영,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33. 김정현, 정인경,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아버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7권, 제1호, pp.111-126, 2015. 

  34. 용상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수준, 자기효능감, 자기통제력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5. T. O. Peterson and R. B. Arnn, "Self-efficacy: The foundation of human performanc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Vol.18, No.2, pp.5-18, 2005. 

  36. 박광원, 강현욱, "스포츠클럽 활동 청소년의 공격성이 사회적지지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 관계 검증,"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97-411, 2016. 

  37. D. G. Perry, L. C. Perry, and P. Rasmussen, "Cognitive social learning mediators of aggression," Child Development, Vol.57, No.3, pp.700-711, 1986. 

  38. 신주혜, 중학생의 공격성와 학교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9. 김동일, 안현의, "NEO 청소년 성격검사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제14호, 제1권, pp.77-91, 2006. 

  40. 한현지, 대학생 스마트폰중독이 정신건강 및 신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1.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2012. 

  42.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 2009. 

  43.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ex for general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Vol.17, No.1, pp.303-316, 1990. 

  44. M. W. Browne and R. Cudeck,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CA: Sage, 1993. 

  45. 전혜숙, 전종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9권, 제3호, pp.2466-2348, 2017. 

  46. 소영호, 오지훈, "체육계 대학생들의 인터넷 게임 참가정도와 공격성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3권, 제2호, pp.1193-1206, 2008. 

  47. 이만제, "대인 커뮤니케이션 특성 및 자아성향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 회피성향, 가족커뮤니케이션 유형,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제11권, 제3호, pp.99-127, 2009. 

  48. 이현숙,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163-172, 2016. 

  49. 장정은,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50. 심미영, 이둘녀, 김은희,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관계: 우울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227-236, 2016. 

  51. 윤보영,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2. 신희덕,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3. 최순화, 김정옥, "중학생들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4권, 제4호, pp.299-33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