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천식 환자 발생 예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sthmatic Occurrence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7, 2020년, pp.674 - 682  

성태응 (연세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산업화 및 인구과밀화로 인해 대기오염에 대한 문제가 세계적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다. 대기 오염은 인간의 건강에 다양한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는데, 그 중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둔 천식과 같은 호흡계 질환은 직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임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표본을 기반으로 천식과 같은 질환에 대기 오염 인자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는 수집 표본 별 일관성이 없는 결과를 초래할 소지가 다분하며, 의료계 종사자 이외에는 연구의 시도가 어렵다는 점에서 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에서 공개하는 대기 환경 데이터와 천식 발병 빈도 수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천식 발병 빈도를 예측하는 것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시차를 적용한 피어슨 상관계수를 통해 각 대기오염 인자가 천식 발병에 어느 정도의 시차를 가지고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를 기반으로 구축된 학습데이터딥러닝 알고리즘에 활용되며, 천식 발병 빈도의 예측에 최적화 된 모델을 설계하였다. 모델의 평균 대비 오차율은 약 11.86%로 타 머신러닝 기반의 알고리즘 대비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모델은 국가 보험 체계 및 보건 예산 관리에서의 효율화 및 병원에서의 의료 인력 배치 및 수급에의 효율성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만성 천식 질환자에 대한 대기 환경별 발병 위험에 대한 조기 경보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has become a global concern due to industrialization and overcrowding. Air pollution can cause various adverse effects on human health, among which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which have been of interest in this study, can be directly affected. Previou...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성된 변수 중 2015년∼2017년 동안의 데이터는 모형의 구축에 활용될 학습데이터로, 2018년도의 데이터는 모형의 성능 검증을 위한 검증 데이터로 구분하여추후 모형 성능의 신뢰성 있는 검증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복합적 영향력은 일반적으로 결과값에 비선형적 관계를 가질것이라 판단, 회귀분석 등 선형적 영향관계 기반의 통계적 모델은 예측 모형에의 활용성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자 단일 영향력에 대한 반영 및 인자 간 복합적 영향력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DeepNeural Networks(DNN) 모델을 활용하여 인자 간 비선형적 패턴을 예측 모형에 복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조성된 대기 환경에 대해 발생할 수 있는 명확한 환자 수의 예측이 가능하다면, 국가적 차원에서의 보건 정책 전개 및 예산분배, 병원 내 응급의료인력 양성 및 배치 효율화를 이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임상 사례 데이터를 활용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대기 환경에 대한장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천식 발병을 유발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을 도출한 후 실제 천식 발병 환자의 수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는 것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 앞서 본 연구에 활용될 데이터에 대한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실제 인자가 천식 발병 빈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시계를 파악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 선정한 연구의 목표는 과거의 대기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의 천식 발병 빈도를 예측하는 것이므로, 모형에학습시킬 변수의 구성에 실제 영향력이 가장 높은 시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표 2]의 대기 환경 인자 별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토대로 파악한 시차 p는SO2, CO, NO2가 3이며 03가 5, PM10 및 PM2.
  • 그 중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은 이러한 문제에 즉각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고위험군 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질병 관리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산업 시대에 발맞추어 활용성이 증대되고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대기 환경 인자에 대한 천식 발병 빈도를 예측하는 모델 구축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 앞선 임상 자료 기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활용된 대기 환경 인자들은 천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자료 기반이 아닌, 실제 당일의 대기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기질의 변화가 천식 발병 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표로 삼은 일별 천식 발생 빈도 예측을위해 구축된 DNN 모형은 4개의 Hidden Layer에 각Hidden Layer 별 64개의 노드를 포함, 인자 간 복잡한 패턴을 모형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외 HyperParameter는 최대 200 Epochs, 0.
  • 각 은닉층의 노드는 출력층까지 단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단계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이를 토대로 최종 결과값을 도출한다. 상기의 과정은 최종 출력층에서 산출된 오차를 기반으로 각 층 사이의 가중치를 갱신, 모형의 예측 성능에 대한 향상을 목표로 최적화된다.
  • 이때 p는 각 대기 환경 인자의 시차를 의미하며, 본연구에서는 p의 상한을 일주일, 즉 주말을 제외한 1~5의 범위로 한정하여 단기 시계에서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 이를 종합하여, 본 논문에서는 추출된 대기 환경 인자는 자기상관성을 가지는 시계열(Time-Series) 데이터이며 당일의 대기 환경이 천식 환자에 즉각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일정 기간의 누적 시차를 두고 그 영향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모형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 시차 p를 가지는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을 수행, 실제 천식 발병에유의성을 나타내는 시차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피어슨 상관관계의 산식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앞선 임상 자료 기반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활용된 대기 환경 인자들은 천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 자료 기반이 아닌, 실제 당일의 대기 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기질의 변화가 천식 발병 빈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를 종합하여, 본 논문에서는 추출된 대기 환경 인자는 자기상관성을 가지는 시계열(Time-Series) 데이터이며 당일의 대기 환경이 천식 환자에 즉각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일정 기간의 누적 시차를 두고 그 영향력이 극대화 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를 모형에 적절히 반영하기 위해 시차 p를 가지는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을 수행, 실제 천식 발병에유의성을 나타내는 시차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는 무엇으로 구성돼있는가? 마지막으로 산업화가 유발한 최악의 부산물이자,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기도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고체 상태와 입자와 액체 상태 입자의 혼합물로 구성된 물질이다. 미세먼지는 입자의 직경에 따라 지름이 10μm 미만인 경우 PM10으로, 지름이 2.
SO2는 무엇인가? 기체성 물질은 대기의 조성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주로 화석 연료의 연소 등 인간의 경제활동에 의한 부산물에 기인한다. 기체성 물질 중 SO2는 석유를 연소할 때 원유에 함유되어 있는 황이산화되면서 발생하는 물질이다. 다량의 SO2에 대한 노출은 기도수축을 유발, 타 대기 오염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천식의 유병률을 높일 수 있는 물질로 확인되었다[9][10].
이전의 모델이 아닌 DeepNeural Networks(DNN) 모델을 활용하여 대기 환경을 분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기 환경 인자는 천식에 단일 영향력을 미칠 수도있으나, 인자 간 복합적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영향력이 증대 혹은 감소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복합적 영향력은 일반적으로 결과값에 비선형적 관계를 가질것이라 판단, 회귀분석 등 선형적 영향관계 기반의 통계적 모델은 예측 모형에의 활용성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자 단일 영향력에 대한 반영 및 인자 간 복합적 영향력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DeepNeural Networks(DNN) 모델을 활용하여 인자 간 비선형적 패턴을 예측 모형에 복합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권호장, 조수헌, 김선민, 하미나, 한상환, "설문지에 의한 대기오염의 호흡기계 증상 발현에 관한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제27권, 제2호, pp.313-325, 1994. 

  2. B. Bert and T. H. Stephen, "Air pollution and health," The Lancet, Vol.360, pp.1233-1242, 2002. 

  3. J. G. Andrew and B. D. Robert, "Inflammatory Lung Injury after Bronchial Instillation of Air Pollution Particl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Vol.164, pp.704-708, 2001. 

  4. N. Fredrik, G. Per, J. Lars, B. Tom, B. Niklas, J. Robert, and P. Goran, "Urban Air Pollution and Lung Cancer in Stockholm," Epidemiology, Vol.11, pp.487-495, 2000. 

  5. P. Laura, D. Christophe, I. Carmen, A. Inmaculada, B. Chiara, B. Ferran, B. Catherine, C. Oliver, C. B. Francisco, F. Francesco, F. Bertil, H. Daniela, H. Britta, C. Koldo, L. Marina, M. Hanns, O. Peter, R. B. Miguel, M. Sylvia, and K. Nino, "Chronic burden of near-roadway traffic pollution in 10 European cities,"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Vol.42, pp.594-605, 2013. 

  6. 최기운, 백도명, "우리나라에서의 천식과 대기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역학회지, 제17권, 제1호, pp.64-75, 1995. 

  7. 김상헌, 손지영, 이종태, 김태범, 박흥우, 이재형, 김태형, 손장원, 신동호, 박성수, 윤호주, "서울지역 대기오염이 성인 천식 급성 악화에 미치는 영향: 환자교차연구," 대한내과학회지, 제78권, 제4호, pp.450-456, 2010. 

  8. O. C. Piotr, D. Piotr, O. J. Aneta, B. Michalina, C. Ernest, O. Tomasz, R. K. Patrycja, and B. Artur, "A Preliminary Attempt at the Identification and Financial Estimation of the Native Health Effects of Urban and Industrial Air Pollution Based on Agglomeration of Gdansk," Sustainability, Vol.12, No.42, pp.1-28, 2020. 

  9. 진영주, 박남규, 이현숙, 김대수, 엄재호, 조명찬, 윤세진, 정화숙, 송형근, 성노현, 이상도, "급성 아황산가스 폭로후 흰쥐의 폐에 유발된 염증반응에 관한 연구," 결핵 및 호흡기질환, 제41권, 제4호, pp.328-338, 1994. 

  10. G. Henry Jr., S. L. William, L. T. Sheryl, R. A. Karen, and W. C. Kenneth, "Anti-inflammatory and Lung Function Effects of Montelukast in Asthmatic Volunteers Exposed to Sulfur Dioxide," CHEST, Vol.119, pp.402-408, 2001. 

  11. 홍수종, 서주희, "기후변화와 건강영향," 대한의사협회지, 제52권, 제2호, pp.149-155, 2011. 

  12. Q. K. Jane, "Air pollution and asthma,"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104, pp.717-722, 1999. 

  13. J. S. Matthew, A. D. Lyndsey, K. Mitchel, W. D. Flanders, A. S. Jeremy, A. W. Lance, E. S. Stefanie, A. M. James, and E. T. Paige, "Short-term Associations between Ambient Air Pollutants and Pediatric Asthma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merican J.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Vol.182, pp.307-316, 2010. 

  14. A. S. Robert and K. Ito, "Age-related association of fine particles and ozone with severe acute asthma in New York City," J.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125, pp.367-373, 2010. 

  15. 임형준, 이상윤, 윤기정, 주영수, 강대희, 조수현, "대기오염과 천식증상에 의한 응급실내원과의 연관성에 관한 환자교차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49-257, 2000. 

  16. Y. Hao and X. Linyu, "Comparative study of PM10/PM2.5 - bound PAHs in downtown Beijing, China: Concentrations, sources and health risk," J. of Cleaner Production, Vol.177, pp.674-683, 2018. 

  17. K. M. Jennifer, R. B. John, A. B. Tim, M. M. Kathleen, G. M. Helene, P. Boriana, S. H. Katharine, W. L. Frederick, and B. T. Ira, "Short-Term Effects of Air Pollution on Wheeze in Asthmatic Children in Fresno, California,"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Vol.118, pp.1497-1502, 2010. 

  18. B. Katayoun, D. W. Mary, M. Carlo, L. Larry, A. Kadria, S. John, and J. F. Mark, "Economic burden of asthma: a systematic review," BMC Pulmonary Medicine, Vol.9, pp.1-16, 2009. 

  19. M. Matthew, F. Denise, H. Shaun, and B. Richard, "The global burden of asthma: executive summary of GINA Dissemination Committee Report," Allergy, Vol.59, pp.469-478, 2004. 

  20. I. G. McKendry, "Evalu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for fine particulate pollution(PM10 and PM2.5) forecasting," J. of the Air&Waste Management Association, Vol.52, No.9, pp.1096-1101, 2002. 

  21. H. T. Shahraiyni and S. Sodoudi, "Statistical Modeling Approaches for PM10 Prediction in Urban Areas; A Review of 21st-Century Studies," Atmosphere, Vol.7, No.2, pp.1-2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