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논의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교사 피드백 유형 사례 연구
Teacher Feedback on Process-Centered Assessment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3, 2020년, pp.271 - 289  

김미숙 (한국교원대학교) ,  유선아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정중심평가에서 나타나는 교사 피드백 유형의 사례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과정중심평가의 실행을 위하여 과정을 시각화한 협력적 모델링-논의 활동을 실시하였고, B고등학교 교사 4명과 학생 35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논의 수업을 촬영한 영상, 협력적 모델링-논의 활동지 및 교사의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드백의 유형화는 과학적 개념에 대한 피드백과 논의 과정에 대한 피드백의 범주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각 피드백의 유형에 해당하는 사례는 교사 4명을 중심으로 추출하여 수업의 맥락과 함께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개념에 대한 피드백 중 개념 준거 제시형, 사고 촉진형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 점검을 유도하였으며, 논의 과정에 대한 피드백 중 맥락 강조형 피드백, 과정 준거 제시형 피드백, 롤모델형 피드백, 그리고 인식 탐색형 피드백이 학생의 자기 점검을 유도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과정중심 평가를 성공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피드백의 특성과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교사 피드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of teacher feedback in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for scientific argumentation.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visualizes the process of developing scientific argumentation at a group level. Four teachers and 353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주제어

표/그림 (1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정중심평가는 기존의 평가의 개념을 어떻게 확대시켰나? 기존의 평가가 학습 종료 후에 학습의 결과를 측정하 는 것에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과정중심평가에서의 평가는 수업의 일부로서 수업 도중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다. 평가 자체가 교수-학 습 활동의 일환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평가의 개념을 서열화를 위한 활동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활동으로 확대시켰다. 즉, 그동안 주로 성적 산출을 위해 이루어지는 활동을 평가라고 본 것에 비해, 과정중심평가에서의 평가는 교사가 학생의 발달 정도를 파악하고 이 를 지원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뿐 아니라, 학생이 자신의 수준을 파악 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자기 점검을 하는 활동도 포함한 다(Choi, 2018; Kim, 2018; Lee et al.
과정중심평가와 달리 기존의 평가는 어디에 초점을 두었나?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의 진행 과정에서 학생의 변화와 발달 정도를 평가하 도록 명시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수업과 평가의 연계를 강조하는 과정중심평가이다(MOE, 2015a, 2015b; MOE & DMCOE, 2016; MOE & KICE, 2017). 기존의 평가가 학습 종료 후에 학습의 결과를 측정하 는 것에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과정중심평가에서의 평가는 수업의 일부로서 수업 도중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다. 평가 자체가 교수-학 습 활동의 일환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평가의 개념을 서열화를 위한 활동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활동으로 확대시켰다.
과정중심평가에서의 평가는 무엇을 강조하는가?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 과정에서는 학습의 진행 과정에서 학생의 변화와 발달 정도를 평가하 도록 명시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수업과 평가의 연계를 강조하는 과정중심평가이다(MOE, 2015a, 2015b; MOE & DMCOE, 2016; MOE & KICE, 2017). 기존의 평가가 학습 종료 후에 학습의 결과를 측정하 는 것에 초점을 둔 것과는 달리, 과정중심평가에서의 평가는 수업의 일부로서 수업 도중 이루어지는 것을 강조한다. 평가 자체가 교수-학 습 활동의 일환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은 평가의 개념을 서열화를 위한 활동에서 학생의 성장을 위한 활동으로 확대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ell, B., Bell, N., & Cowie, B. (2001). Formative assessment and science education (Vol. 12). Berlin: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 Black, P., & Wiliam, D. (1998). Inside the black box: Raising standards through classroom assessment. Phi Delta Kappan, 80(2), 139-148. 

  3. Black, P., & Wiliam, D. (2006). Assessment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In J. Gardner (Ed.), Assessment and learning (pp. 9-25).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4. Black, P., & Wiliam, D. (2009). Developing the theory of formative assessment. Educational Assessment.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21(1), 5-31. 

  5. Brookhart, S. M. (2008). How to give effective feedback to your students. Alexandria, VA: ASCD. 

  6. Brookhart, S. M., & Moss, C. M. (2015). How to give professional feedback. Educational Leadership, 72(7), 24-30. 

  7. Chen, J., Wang, M., Grotzer, T. A., & Dede, C. (2018). Using a threedimensional thinking graph to support inquiry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9), 1239-1263. 

  8. Choi, S. K. (2018). A study on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Focusing on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application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68, 129-176. 

  9.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10. Duschl, R. A. (2008). Science education in three-part harmony: Balancing conceptual, epistemic, and social learning goals.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32(1), 268-291. 

  11. Elliott, S. N., Kettler, R. J., Beddow, P. A., & Kurz, A. (2010). Research and strategies for adapting formative assessment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H. Andrade, & G. J. Cizek (Eds.), Handbook of formative assessment (pp. 15-29). Abingdon, UK: Routledge. 

  12. Erduran, S., & Jimenez-Aleixandre, M. P. (2008).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Dordrecht: Springer. 

  13. Evans, C., & Waring, M. (2011). Exploring students' perceptions of feedback in relation to cognitive styles and culture.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6, 171-190. 

  14. Gonzalez-Howard, M., & McNeill, K. L. (2019). Teachers' framing of argumentation goals: Working together to develop individual versus communal understan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6(6), 821-844. 

  15. Ha, H., & Kim, H.-B. (2017). Exploring responsive teaching's effect on students' epistemological framing in small group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63-75. 

  16. Ha, H., Lee, Y., & Kim, H.-B. (2018). Exploring the teachers'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and epistemological framing in whole class discussion after small group argumentation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1), 11-26. 

  17. Hattie, J., & Gan, M. (2011). Instruction based on feedback. In R. E. Mayer, & P. A. Alexander (Eds.), Handbook of research on learning and instruction (pp. 263-285). Abingdon, UK: Routledge. 

  18. Hattie, J., & Timperley, H. (2007). The power of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7(1), 81-112. 

  19. Heritage, M. (2007). Formative assessment: What do teachers need to know and do? Phi Delta Kappan, 89(2), 140-145. 

  20. Hong, S. H., Chang, I., & Kim, T. S. (2017).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process-centered evaluat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4), 47-69. 

  21. Jimenez-Aleixandre, M. P. (2008). Designing argumentation learning environments. In S. Erduran, & M. P. Jimenez-Aleixandre (Eds.),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Perspectives from classroombased research (pp. 91-116). Dordrecht: Springer. 

  22. Kim, J. (2018). The concept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0), 839-859. 

  23. Kim, M., & Ryu, S. (2019).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process-centered assessment that visualizes the proces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5), 637-654. 

  24. Kim, S. S., Kim, H. K., Seo, M. H., & Seong, T. J. (2015). Formative assessment for classroom practice. Seoul: Hakjisa. 

  25. Kim, Y.-J., Lee, G.-G., & Hong, H.-G. (2019). A Case Study on Teacher's Process-centered Evaluation Competency(T-PEC): Focused on the Case of a Meddle-School/a High School Science Teach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6), 695-706. 

  26. Kwak, H. S., Kang, O. R., & Kim, K. S. (2016). Research trends on dynamic assessment studies in Republic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7(2), 1-18. 

  27. LeCompte, M. D., & Schensul, J. J. (1999). Analysis from the bottom up: the item level of analysis. In M. D. LeCompte, & J. J. Schensul (Eds.), Analyzing and interpreting ethnographic data (pp. 67-83). Lanham, MD: AltaMira Press. 

  28. Lee, B., & Sohn, W. (2017). The effects of formative feedback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classroom engagement: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a moderator.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30(1), 123-143. 

  29. Lee, H. (2015). Dynamization measure of feedback structure for improving learner's particip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3), 377-400. 

  30. Lee, K.-H., Kang, H. Y., Ko, E.-S., Lee, D.-H., Shin, B., Lee, H. C., & Kim, S. H. (2016).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6(4), 819-834. 

  31. McMillan, J. H. (2017).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that enhance student learning and motivation. London: Pearson. 

  32. McNeill, K. L., & Pimentel, D. S. (2010). Scientific discourse in three urban classrooms: The role of the teacher in engaging high school students in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4(2), 203-229. 

  33. MOE (Ministry of Education) (2015a). Overview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1]). Sejong: Author. 

  34. MOE (Ministry of Education) (2015b). Science curriculum (MOE Notification No. 2015-74 [supplement 9]). Sejong: Author. 

  35. MOE & DMCOE (Ministry of Education & Daej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16).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integrated science & science inquiry and experiment. Sejong: Author. 

  36. MOE & KICE (Ministry of Educ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7). How do you assess the process? (KICE ORM 2017-19-1). Sejong: Author. 

  37. Nam, J., Choi, J., Ko, M., Kim, J., Kang, S., Lim, J., & Kong, Y. (2005). The effects of formative assessment-bas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on the students' science concept understanding, motivation and metacognitive ability in middle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9(3), 311-320. 

  38. Nicol, D. J., & Macfarlane-Dick, D. (2006). Formative assessment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model and seven principles of good feedback practice. Studies in Higher Education, 31(2), 199-218. 

  39. Ruiz-Primo, M. A., & Li, M. (2013). Analyzing teachers' feedback practices in response to students' work in science classroom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26(3), 163-175. 

  40. Ryu, S., Kwak, Y., & Yang, S. H. (2018). Theoretical exploration of a process-centered assessment model for STEAM competency based on learning progression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2(2), 132-147. 

  41. Ryu, S., & Sandoval, W. A. (2015). The influence of group dynamics on collaborative scientific argumentation.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2), 335-351. 

  42. Sadler, D. R. (1989). Formative assessment and the design of instructional systems. Instructional Science, 18(2), 119-144. 

  43. Shepard, L. A. (2000). The role of assessment in a learning culture. Educational Researcher, 29(7), 4-14. 

  44. Shepard, L. A. (2009). Commentary: Evaluating the validity of formative and interim assessment.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28(3), 32-37. 

  45. Von Aufschnaiter, C., Erduran, S., Osborne, J., & Simon, S. (2008). Arguing to learn and learning to argue: Case studies of how students' argumentation relates to their scientific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1), 101-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