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평가 도구 및 평가 현황 탐색
An Investigation on the Assessment Tool and Status of Assessment in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5, 2020년, pp.515 - 529  

백종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변태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이동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심현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신설된 과학탐구실험은 과학적 실천을 통한 과학의 학습과 핵심역량의 함양 등의 측면에서 기대를 받고 있는 과목이다. 특히, 변화하는 평가의 맥락에 기초하여 실천중심의 교과목인 과학탐구실험에서의 다각화된 평가가 운영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과 한계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탐구실험의 평가 현황을 살피고, 이로부터 평가의 운영과 지원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5명의 현직 과학교사로부터 과학탐구실험 수업에서 사용되었던 평가 도구와 이에 대한 설명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도구의 분석은 평가 요소, 평가 기준, 평가 방법의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평가 결과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도 살펴보았다. 결과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해 과학교육 전문가와 교사들로부터 점검을 받았고, 추가적으로 분석 결과에 대한 의견도 청취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탐구 기능요소 중 특정 요소만을 중점적으로 평가하고 있었고, 일부 기능 요소는 특정한 주제 및 맥락과 연계하여 평가되었으나 활용 빈도는 낮았다. 또한,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지기는 했으나, 각 영역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한계점도 관찰할 수 있었다. 평가 기준의 측면에서 평가 목표는 대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평가 목표에 대한 세부 평가 요소의 구분 및 각 요소별 행동 특성을 단계적으로 진술하는 등의 구체적 기준 수립이 이루어진 사례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평가 방법에서 평가의 시점과 주체는 각각 '수업 후 평가'와 '교사 평가'가 주로 사용되었고, 다른 방법은 특정 내용, 특정 상황으로 한정되어 활용되었다. 평가 결과는 모든 사례에서 성적 산출을 위해서 활용되었고, 일부만이 수업 개선과 학생 피드백을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탐구실험에서의 학생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which was newly created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expected in the aspect of learning science and developing core competences through science practices. Based on changed view of evaluation, assessments of a practice-centered subject 'Scientific inq...

주제어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교육에서 평가란? 학교 교육에서 평가는 학생들이 교과 수업에서 설정한 목표에 얼마만큼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평가는 성적이나 등급을 산출하는 기능 또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평가 본래의 목적이 희석되기 쉽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과학 교육은 과학 탐구의 실천을 통해 무엇을 이해하고 신장시켜 나갈 수 있는가? , 2014). 과학 탐구의 실천을 통해서 학생들은 과학 개념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Fogleman, McNeill, & Krajcik, 2011), 과학적 사고 및 탐구 능력을 신장시켜 나갈 수 있다. 학생들의 과학 탐구 과정에서의 평가는 이러한 성장의 촉진제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적절한 평가가 무엇이고 평가 실천의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은 과학 교육 연구의 핵심적인 과제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평가는 어떤 기능 또는 담당을 하고 있는가? 학교 교육에서 평가는 학생들이 교과 수업에서 설정한 목표에 얼마만큼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어떠한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평가는 성적이나 등급을 산출하는 기능 또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 평가 본래의 목적이 희석되기 쉽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교사들의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과학 교육에서 과학 탐구는 오랫동안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왔으며,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의 관점에서 과학적 소양을 기르고 과학을 수행하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Song, 2006; Leder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ek, J., Koh, E., Cho, Y. H., & Jeong, D. H. (2015). Authentic thinking with argumentation: putting on the thinking caps of scientists and designers. In Cho, Y. H., Caleon, I. S., & Kapur, M. (Eds.). Authentic Problem Solving and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Perspectives from Singapore and Beyond (pp. 173-191). Springer. 

  2. Byun, T., Baek, J., Shim, H.-P., & Lee, D. (2019). An investig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5), 669-679. 

  3. de Vries, E., Lund, K., & Baker, M. (2002). Computer mediated epistemic dialogue: Explanation and argumentation as vehicles for understanding scientific notion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1 (1), 63-103. 

  4. Fogleman, J., McNeill, K. L., & Krajcik, J. (2011). Examining the effect of teachers’ adaptations of a middle school science inquiry-oriented curriculum unit on student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2), 149-169. 

  5. Ha, M., Park, H., Kim, Y.-J., Kang, N.-H., Oh, P. S., Kim, M.-J., Min, J.-S., Lee, Y., Han, H.-J., Kim, M., Ko, S.-W., & Son, M.-H. (2018). Developing and applying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science core competencie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4), 495-504. 

  6. Jang, Y-R., Kang, N-H., Kang, S., Ko, S., Kwak, Y., Kwon, H., Kim, K., Kim, M., Kim, S., Kim, Y., Kim, J., Kim, H., Kim, H-K., Kim, H., Na, J., Min, B., Park, K., Park, B., Park, S., Park, S., Park, C., Park, H., Bang, D., Byun, T., Son, J., Song, J., Shin, Y., Sim, K., Ahn, J., Ahn, P., Oh, S., Oh, W., Yoon, H., Lee, K., Lee, M., Lee, M., Lee, M., Lee, Y., Lee, Y., Lee, I., Lee, J., Lee, H., Lee, H., Lim, H., Jang, S., Jeon, H., Jeong, W., Jwa, Y., Choi, I., Cho, J., Choi, H., Choi, H., Hyeon, J., Hong, J., Hwang, U., & Hwang, I. (2015). A study on development prototype of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BD15070002,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7. Jho, H. (2018). An analysis of elements of scientific inquiry presented in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2(3), 208-218. 

  8. Kim, H.-K., Lee-M., Lee, J., Lee, S., Lee, Y-.R., Shin, Y., Ahn, J., Lee, S., Cho, S., Ji, J., J, H., Ihm, H., Park, C., & Ko, S. (2017).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s. CRC 2017-5-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9. Kim, M. & Kang, N-H. (2018).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science inquiry laboratory textbooks. Chungram Science Education Journal, 24(2), 60-69. 

  10. Kim, M., & Ha, S. (2020). 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inquiry-based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 and application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New Physics: Sae Mulli, 70(5), 454-465. 

  11. Kim, M., Kim, S., Hoh, T., & Choi, S. (2019). The influences of integrated science and science inquiry experiment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n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scientific attitude,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 relationship, and views on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9(6), 791-797. 

  12. Kim, Y.-J., Jang, W., & Hong, H.-G. (2019). The analy sis and implication of student evaluation in 2015 science curriculum using text network analysis (TNA) method: focused on the connection with process centered evalu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2(3), 225-250. 

  13. Kwak, Y. (2020). Trend analysis of curriculum application status of 2015 revised integrated science and scientific laboratory experiment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3(1), 53-63. 

  14. Lederman, J. S., Lederman, N. G., Bartos, S. A., Bartels, S. L., Meyer, A. A., & Schwartz, R. S. (2014).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inquiry: 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VASI)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1), 65-83. 

  15. Lee, H.-N., Lee, Y.-J., & Lee, H.-D.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ubric for assessing scientific inquiry proces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5(1), 145-171. 

  16. Lee, I., Park, S., Shim, H.-P., & Lee, J.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ssessment procedure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focusing on communication and social competencies. RRE 2017-7,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17. Lee, J., Lee, K., & An, J. (2019). An analysis of the authentic inquiry components in science inquiry experiments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3(3), 183-195 

  18.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a). The general explan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issue 1].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19.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b). Science curriculum. Notification No. 2015-74 [issue 9].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1. OECD (2017). Pisa 2015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science, reading, mathematic, financial litera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OECD Publishing. 

  22. Oh, P. S. (2020). A critical review of the skill-based approach to scientific inquiry in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40(2), 141-150. 

  23. Osborne J., Simon, S., & Collins, S.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24. Park, H., Sim, J-H., Choi, H., Lim, H., Park, J., Ahn, H., & Yang, S. (2019). Study on the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BD19030006,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5. Park, J., Jin, K.-A., Kin, S., & Lee, S.-A. (2018). A Study for enhancing the teacher' expertise in student assessment for stabilizing process-fortified assessment policy. RRE 2018-5,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6. Sampson, V., Enderle, P. J., & Walker, J. P. (2011).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the classroom (asac) observation protocol: a tool for evaluating how students participate in scientific argumentation. Perspectives on Scientific Argumentation, 235-264. 

  27. Shin, S., Park, C., Lee, C. & Hong, H.-G. (2018). A case study on the practice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 understanding in the perspective of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6), 885-899. 

  28. Shin, Y., Kwak, Y., Sung, J., Lee, J., & Lim, E. (2018). Research on the quality control for the implementation of new course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9. Song, J. (2006). J. J. Schwab's life and his ideas of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7), 856-869. 

  30. Song, J., Kang, S.-J., Kwak, Y., Kim, D., Na, J., Do, J.-H., Park, S. C., Son, Y.-A, Son, J. W., Oh, P. S., Lee, J.-K., Lee, H. J., Ihm, H., Jeong, D. H., Joung, Y. J., & Kim, J. (2019). Developing performance expectations, school implementation strategies,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kses) for the next generation. BD19080002,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31. Song, S., & Shim, K. (2019). Analysis of key competencies in inquiry activity of science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2), 363-383. 

  32. Victoria, A. S. C., & Lee, R. J. (2017). Timss 2019 science framework, In I. V. S., Mullis & M. O. Martin (Eds.). Timss 2019 assessment frameworks. Retrieved from Boston College, IEA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Retrieved 2020. 10. 5. from http://timssandpirls.bc.edu/timss2019/frameworks/ 

  33. Yang, I.-H, Lee, H.-J,, Lee, H., Cho, H. (2009). The development of rubrics to assess scientific argu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2), 203-220. 

  34. Yun, D., & Choi, A. (2019).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grade 7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science core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3(3), 196-208. 

  35. Yun, D., Ko, E., & Choi, A. (2018). Identifying and applying components of five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4), 1301-13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