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길 탐색을 위한 대화형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개발
A Conversational Interactive Tactile Map for the Visually Impaired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3 no.1, 2020년, pp.29 - 40  

이예린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  이동명 (성균관대학교 휴먼ICT융합학과) ,  루이스 카바조스 케로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  호르헤 이란조 바르톨로메 (성균관대학교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  조준동 (성균관대학교 휴먼ICT융합학과) ,  이상원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각장애인들에게는 길 찾기 및 탐색이 어려운 과제이기 때문에, 이들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이동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점자 촉각 지도는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촉각 지도에 다른 인터랙션 방식을 더하려는 시도들이 존재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새로운 대화형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촉각 탐색을 하는 동안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음성 피드백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음성 에이전트와 대화를 나눌 수 있고 이를 통해 관심 지점에 대한 정보나 경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실제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프로토타입 사용 후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점자를 사용한 기존 촉각 지도보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인터랙티브 촉각 지도 프로토타입이 시각장애인들에게 더욱 높은 사용성을 제공하였다. 시각장애인들은 본 연구의 프로토타입을 사용했을 때 더 빨리 시작 지점 및 관심 지점을 찾을 수 있었고 더 높은 독립성 및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지도 이용 및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촉각 지도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실험에서 프로토타입의 개선 방향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아직 개발 단계에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더욱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sually impaired people use tactile maps to get spatial information about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find their way, and improve their independent mobility. However, classical tactile maps that make use of braille to describe the location within the map hav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the la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길 찾기 및 이동은 무엇인가? 길 찾기 및 이동은 시각장애인에게 어려운 과업 중하나인데 (Gaunet & Briffault, 2005), 때문에 촉각 지도가 시각장애인이 낯선 공간에서도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탐색할 수 있도록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Espinosa et al., 1998).
촉각 지도의 한계는 무엇인가? 촉각 지도는 시각장애인에게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제공하지만, 사용자가 스스로 촉각 정보를 통합해야 한다 (Jacobson, 1996). 또한 촉각을 통한 물체 인식은 분할되어 있고 순차적이기 때문에 많은 인지 자원을 필요로 한다 (Hatwell et al.
음성 인터 랙션을 이용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더욱 자연스러운 음성 인터 랙션을 위해 단순히 음성으로 정보를 듣는 것을 넘어 대화가 가능한 음성 에이전트를 이용하고자 한다. 촉각 지도에 기술적으로 청각을 결합한 선행 연구들은 대부분 아웃풋을 음성으로 대체하는데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되었듯, 촉각을 이용한 탐색은 많은 인지 자원을 필요로 하고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 (Hatwell et al.,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ock, A., Truillet, P., Oriola, B., Picard, D., & Jouffrais, C. (2012). Design and user satisfaction of interactive map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for Handicapped Persons, 544-551. 

  2. Brock, A. M., Truillet, P., Oriola, B., Picard, D., & Jouffrais, C. (2015). Interactivity improves usability of geographic map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Human-Computer Interaction, 30(2), 156-194. DOI: 10.1080/07370024.2014.924412 

  3. Brooke, J. (1996). SUS-A quick and dirty usability scale. Usability Evaluation in Industry, 189(194), 4-7. 

  4. Espinosa, M. A., Ungar, S., Ochaita, E., Blades, M., & Spencer, C. (1998). Comparing methods for introducing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to unfamiliar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3), 277-287. DOI: 10.1006/jevp.1998.0097 

  5. Gaunet, F., & Briffault, X. (2005). Exploring the functional specifications of a localized wayfinding verbal aid for blind pedestrians: Simple and structured urban areas. Human-Computer Interaction, 20(3), 267-314. 

  6. Gotzelmann, T. (2016). LucentMaps: 3D printed audiovisual tactile map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In Proceedings of the 18th International ACM Sigaccess Conference on Computers and Accessibility, 81-90. DOI: 10.1145/2982142.2982163 

  7. Hatwell, Y., & Martinez-Sarrochi, F. (2003). The tactile reading of maps and drawings, and the access of blind people to works of art. Touching for Knowing: Cognitive Psychology of Haptic Manual Perception, 53, 255. 

  8. Hatwell, Y., Streri, A., & Gentaz, E. (2003). Touching for knowing: cognitive psychology of haptic manual perception (Vol. 53). John Benjamins Publishing. 

  9. Holloway, L., Marriott, K., & Butler, M. (2018). Accessible maps for the blind: Comparing 3D printed models with tactile graphics. In Proceedings of the 2018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198. DOI: 10.1145/3173574.3173772 

  10. Jacobson, R. D. (1996). Talking tactile maps and environmental audio beacons: An orientation and mobility development tool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Proceedings of the ICA Commission on Maps and Graphic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96, 1-22. 

  11. Kim, M. J., & Chung, H. S. (2018). A study on differences and improvement of mobility and spatial cognition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21(2), 75-92. 

  12. Lee, M. J., & Hwang, J. E. (2014). Preliminary study on haptic information representation of tactile map elements for spatial cognition. In Proceedings of the HCI Korea 2015, 266-271. 

  13. Lee, K. W., Kim, J. H., Kim, J. H., Kim, J. E., Lee, I. A., & Kim, J. Y. (2015) 3D Finger map for all: Design and research challenges. In Proceedings of the HCI Korea 2016, 164-169. 

  14. Oh, C. W. (2013). A Study on Tactile maps for blind people.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7(4), 465-476. 

  15. Park, J. H., & Ryoo, H. Y. (2008). Emotion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y for enhancing web accessibility.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1(4), 589-598. 

  16. Rice, M., Jacobson, R. D., Golledge, R. G., & Jones, D. (2005). Design considerations for haptic and auditory map interfaces. Cartograph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32(4), 381-391. DOI: 10.1559/152304005775194656 

  17. Rossetti, V., Furfari, F., Leporini, B., Pelagatti, S., & Quarta, A. (2018). Enabling access to cultural herit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An interactive 3D model of a cultural site. Procedia Computer Science, 130, 383-391. DOI: 10.1016/j.procs.2018.04.057 

  18. Ungar, S., Blades, M., & Spencer, C. (1993). The role of tactile maps in mobility training. British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11(2), 59-61. DOI: 10.1177/026461969301100205 

  19. Welch, B. L. (1947). The generalization of student's problem when several different population variances are involved. Biometrika, 34(1/2), 28-35. 

  20. Yatani, K., Banovic, N., & Truong, K. (2012). SpaceSense: representing geographical information to visually impaired people using spatial tactile feedback.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415-424. DOI: 10.1145/2207676.2207734 

  21. Zeng, L., & Weber, G. (2011). Accessible map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Proceedings of the IFIP INTERACT 2011 Workshop on ADDW, CEUR, 792, 54-60 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