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접근성을 높이는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Multisensory Interactions to Improve Artwork Appreciation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3 no.1, 2020년, pp.41 - 56  

박경빈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  조성기 (성균관대학교 휴먼ICT융합학과) ,  정찬호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과) ,  최효진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홍태림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 ,  정재호 (네이버 주식회사) ,  양창준 ,  왕처우 ,  조준동 (성균관대학교 휴먼ICT융합학과) ,  이상원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시각 외의 잔존감각인 촉각, 청각, 후각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을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경험에 대한 질적 인터뷰 기반의 사용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사용자 테스트 결과, 미술 작품에 적용한 다중감각 인터랙션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미술 작품 감상 및 이해를 도왔으며, 나아가 다중감각 인터랙션을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경험이 만족스러웠다는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일부 다중감각 인터랙션 요소는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동안 전혀 인지하지 못하였거나 오히려 미술 작품 감상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했다는 부정적인 평가 결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작품 감상의 접근성을 증진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으로서 비시각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구체적인 개발 방향성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아동이나 노인과 같은 비시각장애인도 유니버설 인터랙션 기술을 통해 기존의 시각 위주의 단편적 경험을 넘어선 종합적인 감각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multisensory interaction techniques to help visually impaired people appreciate and understand artworks through non-visual senses such as tactile, auditory, and olfactory senses. A user study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a qualitative interview about the experience of apprecia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각장애인의 전시 문화 예술 관람 활동 참여율이 낮은 이유는 무엇인가? , 2010). 시각장애인이 문화예술 관람 활동 참여 기회를 충분히 누리지 못하는 이유는 문화예술 관람 공간 접근 및 이동 장해에 따른 물리적인 접근성 부족뿐만 아니라, 시각 위주의 전시문화로 인해 실질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감상하고 경험할 수 있는 전시문화 콘텐츠 자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Kim, 2019; Lee et al., 2019).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시각장애인은 시각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비시각(non-visual) 잔존감각을 활용하여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함으로써 정보습득이나 사물의 이미지를 형상화한다. 특히, 시각장애인은 전시예술작품을 감상함에 있어서 시각 외의 잔존감각 중 촉각, 청각, 후각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각장애인은 비시각 잔존감각 중 2개 이상의 감각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과 상호작용하며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것을 선호한다(Lee et al., 2019).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시각 외의 잔존감각인 촉각, 청각, 후각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을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경험에 대한 질적 인터뷰 기반의 사용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blart, D. (2017). Integration of touch and taste with interactive media. In Adjunct Publication of the 2017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ve Experiences for TV and Online Video, 109-112. ACM. DOI: 10.1145/3084289.3084294 

  2. Axel, E. S., & Levent, N. S. (2003). Art beyond sight: a resource guide to art, creativity, and visual impairment.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3. Cavazos Quero, L., Iranzo Bartolome, J., Lee, S. G., Han, E., Kim, S. H., & Cho, J. D. (2018). An interactive multimodal guide to improve art accessibility for blind people. In Proceedings of the 20th International ACM SIGACCESS Conference on Computers and Accessibility, 346-348. ACM. DOI: 10.1145/3234695.3241033 

  4. Dmitrenko, D., Maggioni, E., Vi, C. T., & Obrist, M. (2017). What did i sniff?: Mapping scents onto driving-related messages. In Proceedings of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motive User Interfaces and Interactive Vehicular Applications, 154-163. ACM. DOI: 10.1145/3122986.3122998 

  5. Gil, E, Y. (2018). Narrative exploration of art therapy teacher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for the blind (시각장애인 미술치료를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내러티브 탐구),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Qualitative Inquiry, 4(2), 235-273. DOI: 10.30940/JQI.2018.4.2.235 

  6. Holloway, L., Marriott, K., & Butler, M. (2018). Accessible maps for the blind: Comparing 3D printed models with tactile graphics. In Proceedings of the 2018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 198. ACM. DOI: 10.1145/3173574.3173772 

  7. Iranzo Bartolome, J., Cavazos Quero, L., Kim, S., Um, M. Y., & Cho, J. (2019). Exploring art with a voice controlled multimodal guide for blind people. In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angible, Embedded, and Embodied Interaction, 383-390. ACM. 

  8. Kim, Y. I. (2019). Methods to improve art museum access for the blind: Focusing on assistive tools and museum education progra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9. Lee, D. J., Kang, M. K., & Yoo, K. Y. (2010). Effects of participation of the handicapped in leisure activities upon their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disability typ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5(4), 137-155. 

  10. Lee, Y. H., Kim, S. W., Eom, M. S., An, S. M., Cho, J. D. (2019). An art exhibition needs assessment survey of persons with visual impairmen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1), 457-466. DOI: 10.21742/AJMAHS.2019.01.46 

  11. Maggioni, E., Cobden, R., Dmitrenko, D., & Obrist, M. (2018). Smell-O-Message: Integration of olfactory notifications into a messaging application to improve users' performance. In Proceedings of the 2018 o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odal Interaction, 45-54. ACM. DOI: 10.1145/3242969.3242975 

  12. Metatla, O., Maggioni, E., Cullen, C., & Obrist, M. (2019). "Like Popcorn": Crossmodal correspondences between scents, 3D shapes and emotions in children. In Proceedings of the 2019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 459, ACM. DOI: 10.1145/3290605.3300689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urvey on persons with disabilities (장애인실태조사). 

  14. Park, J. H., Ryoo, H. K., Kim, N. R., Choi, M. A., Kim, M. S., Park, B. R., Kang, D. I. (2011). Assessment of tactile acuity by two-point discrimination and grating resolution in blind and deaf human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4), 537-544. 

  15. Seo, Y. H., Yoon, J. S. (2017). Tactile Sensibility based communication art - focusing on the Exhibition, so通 for the visual impair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15(3), 41-57. DOI: 10.14728/KCP.2017.15.03.041 

  16. Shin, G. L. (2004). Research methodology on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 방법론), Ewah Womans University Press. 

  17. Stangl, A., Kim, J., & Yeh, T. (2014). 3D printed tactile picture book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 design probe. In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321-324. ACM. DOI: 10.1145/2593968.2610482 

  18. Vi, C. T., Ablart, D., Gatti, E., Velasco, C., & Obrist, M. (2017). Not just seeing, but also feeling art: Midair haptic experiences integrated in a multisensory art exhib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108, 1-14. DOI: 10.1016/j.ijhcs.2017.06.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