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융합적 연구를 위한 도자기 보존과학과 도자사학 언어의 접목: 『경기도 광주관요 종합분석 보고서』를 중심으로
Making a Linguistic Connection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Conservation Science and Ceramic History: The Case of 『Analytical Report of the Royal Kiln Complex at Gwangju in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o.6, 2020년, pp.578 - 590  

문지호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에서는 1960-70년대를 거치며 도자기라는 유물을 역사적으로 또는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자들이 등장하여 오늘날 각각 도자사와 보존과학이라고 불리는 분과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두 분과는 도자기라는 같은 대상을 연구함에도 독자적인 연구 스타일을 형성한 결과 서로의 연구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고는 백자를 분석한 사례들에 초점을 맞추어, 『경기도 광주관요 종합분석 보고서』와 이 보고서의 분석을 담당한 보존과학자의 다른 연구를 역사적으로 추적함으로써 두 분과가 가진 연구의 특징과 역사를 살피면서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도자기를 연구하는 두 분과의 설명 스타일이 지닌 특징과 차이는 무엇일까? 둘째, 두 분과의 소통이 점차 어려워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셋째, 두 분과가 다시 소통할 수 있는 교역지대가 있다면 그 가능 조건과 산물은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도자기를 분석하는 두 분과의 설명 스타일을 언어적 관점에서 분석한 뒤, 보존과학이 도자사와 공통언어를 공유하고 있음에도 분석기법이 세분화되고 정량화됨에 따라 그 과정에서 생산되는 과학 데이터가 점차 도자사와 무관한 것처럼 보이게 되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두 분과가 공유한 공통언어의 존재는 보존과학 데이터가 새로이 해석되어 다시 도자사 연구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the 1960-1970s, a group of ceramic conservation scientists and ceramic historians in South Korea came together and established their own disciplines. While the two disciplines share the same ceramics as the subjects of their research, there has been littl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s their...

주제어

참고문헌 (30)

  1. Cho, J.K., 2009,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kiln sites in Joseon period. Journal of Centr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5, 5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ollins, H., 2011, Language and practice. Social Studies of Science, 41(2), 271-300. 

  3.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1993, Special exhibition of excavation memoir about Choson's white porcelain kiln sites. 77-123. (in Korean), 

  4. Galison, P., 1997, Image and logic: a materical culture of microphys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781-844. 

  5. Gyeonggi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Yongin City and Yongin Culture Center, 2016, The upper plate of Goryeo White Porcelain Kiln Site in Seo-ri, Yongin. 253-293. (in Korean) 

  6. Haegang Ceramics Museum, 1995, White porcelain kiln site of Woosan-ri at Kwangju. 25-58. 

  7. Jang, N.W. and Kim, Y.J., 2007, The matter of 'Reception' in study of ceramic history. Art History, 21, 293-3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eon, S.C., 2004, A Study on the System of operation and distribution of Choson Royal Kilns. Journal of Art History, 18, 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ng, D.S., 2012, Production and Transport of White Clay from Yanggu, Gangwon in the Age of Joseon Dynasty. Studies in Humanities, 35, 257-290. 

  10. Kang, K.I., 2003, Whiteware from the official kiln of Choseon dynasty period in Beoncheon-ri, Gwang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2(1), 1-14. 

  11. Kang, K.S., 1996, Studies on Korean ceramics during the last 50 years. Journal of Korean studies, 22(2), 116-145. 

  12. Kim, H.J. and Lee, Y.E., 2014, A scientific study for celadon excavated from Kiln in Seo-ri, Gyeonggi-do. Report on the Excavation of the Ruins at Dojanggol.Sagimakgol Site in Seo-ri, Yongin, 321-350. 

  13. Kim, J.Y., 1990, Crafts (Ceramics).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 (Formerly Art and Archaeology), 188, 111-124. 

  14. Kim, K.J., 2013, A Study on the nature of the ceramic industry and the consumption of ceramics from the early to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Gangwon region. The Journal of Korean Field Archaeology, 18, 163-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Y.W., 1995, Choson ceramics during the reigns of king Sejo(1455-1468), Yejong(1468-1469) and Songjong (1469-1494). Art History Forum, 2, 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Y.W., 2001, The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porcelain production system in the Joseon Period: from the Kiln of Dogi-so and Jagi-so to the Punwon, governmental kiln.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66, 17-46. 

  17. Kim, Y.W., 2012, Ceramics of Joseon Dynast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189-335. 

  18. Koh, K.S., Choo, W.K. Ahn, S.D., Lee Y.E., Kim, G.H. and Lee, Y.S., 2011,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 Choson Whitewar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1), 61-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atour, B., 1986, Visualization and cognition: thinking with eyes and hands. In: Henrika Kuklick and Elizabeth Long (eds.), Knowledge and Society: Studies in the Sociology of Culture Past and Present(Vol.6), JAI Press, Greenwich, 1-40. 

  20. Lee, Y.E., 2013, The color of the Goryeo celadon: composition and microstructure of bi-saek celadon.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83, 221-2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im, E.K. and Lee, Y.H., 1973, Fundamental studies on celadon bodies.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9(2), 70-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Moon, J.H., 2014, From fragments to porcelain makers' stories.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3.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Gyeonggi Museum, 2000, Central government kiln in Kwangju. Explanation, 1-373. 

  24.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atage, 2012, Ethical guidelines for conservator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atage, Daejeon, 11. 

  25. The Gyeonggi Museum, 2001, The royal kilns and white porcelain. 

  26. The Gyeonggi Museum, 2004, The ceramic ruins in Yeoju Jungam-ri area. 1-510. 

  27. The Gyeonggi Museum, 2008, Analytical report of the royal kiln complex at Gwangju in Gyeonggi province. 

  28. The National Maritime Cultural Heritage Museum and Jeollabuk-do, 2004, The underwater remains of Biando, Gunsan. 

  29. The National Maritime Cultural Heritage Museum, 2003, The underwater remains of Doripo, Muan. 1-250. 

  30.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2009, Taean treasure ship: submarine excavation.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1-5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