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진에 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Post Traumatic Stress Level Caused by Earthquake on Post Traumatic Growth: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4 = no.50, 2020년, pp.658 - 669  

박형준 (Prevention Safety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포항 지진피해를 경험한 포항시민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외상 후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과 외상 후 성장간의 인과 관계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포항지진을 경험한 시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문제해결중심과 사회적지지 추구방식은 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회피중심 방식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진과 같은 재난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은 대처 방식이 문제해결중심이고 사회적지지 추구 방식일수록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Pohang citizens who experienced Pohang earthquake da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se post-traumatic stress level affect post-traumatic growth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16)

  1. Aldwin, C.M., Levenson, M.R., Kelly, L. (2009). Life Span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Stress-Related Growth.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Pub. 

  3. Amirkhan, J. H. (1990). "A factor analytically derived measure of coping: The coping strategy indicat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9, No. 5, pp. 1066-1074. 

  4. Bellizzi, K.M., Blank, T.O. (2006). "Predicting post 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ogy, Vol. 25, No. 1, p. 47. 

  5. Calhoun, L.G., Tedeschi, R.G. (2006). Handbook of Post Traumatic Growth.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6. Horowitz, M., Wilner, N., Alvarez, W. (1979).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 Medicine, Vol. 41, pp. 209-218. 

  7.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2005).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Vol. 44, No. 3, pp. 303-310. 

  8. McFarlane, A.C., Yehuda, R., Clark, C.R. (2002). "Biologic models of traumatic memorie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ole of neural network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25, No. 2, pp. 253-270. 

  9.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2017 Pohang Earthquake Whitepaper.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11. Shin, H.J., Kim, C.D. (2002). "A validation study of coping strategy indicator (CSI)."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 14, No. 4, pp. 919-935. 

  12. Shin, H.Y., Hwang, S.T., Shin, Y.T.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and PTSD symptomes of urban fire fight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ype D personality and coping style."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 11, No. 6, pp. 97-120. 

  13. Song, S. H., Lee, H. S., Park, J. H., Kim, K. H.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 14, No. 1, pp. 193-214. 

  14. Taylor, S.E., Armor, D.A. (1996). "Positive illusions and coping with adversity." Journal of personality, Vol. 64, No. 4, pp. 873-898. 

  15. Tedeschi, R.G., Calhoun. L.G. (2004). "Post 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 15, No. 1, pp. 1-18. 

  16. Yoo, H.J., Lee, J.E. (2010), "Quality of life in taean community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from the viewpoint of job."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6, No. 3, pp. 63-8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