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외상사건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외상후스트레스증상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raumatic Ev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2 no.2, 2015년, pp.55 - 62  

이정현 (국립서울병원 심리적외상관리팀) ,  김지애 (국립서울병원 심리적외상관리팀) ,  심민영 (국립서울병원 심리적외상관리팀) ,  전경선 (국립서울병원 심리적외상관리팀) ,  오승아 (국립서울병원 심리적외상관리팀) ,  양정일 (국립서울병원 심리적외상관리팀) ,  이영렬 (국립부곡병원 정신건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ocial workers can suffer from occupational stress resulting from dealing with clients, which might lead to metal health problem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duty-related traumatic experience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with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mong social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서 업무 관련 외상사건의 특징과 이 사건들이 외상후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외상후스트레스증상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스트레스 완화 및 PTSD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서 업무 관련 외상사건의 특징과 이 사건들이 외상후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외상후스트레스증상 간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의 스트레스 완화 및 PTSD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에서 업무와 관련된 외상사건 경험, 외상후스트레스증상을 포함한 정신병리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참여한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중 41.
  • 국내에서는 Lee와 Kim22)에 의해 신뢰도 및 타당도가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적극적 대처방식의 평균 점수와 소극적 대처방식 평균점수를 비교하여 더 높은 점수를 보이는 방식을 대상자의 주요 대처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국가의 사회복지사업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이다. 이들은 민원인을 직접 방문하여 시행하는 업무 과정에서 사망 현장 등 끔찍한 장면을 목격하거나 서비스에 불만을 갖는 민원인의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 되는 등 직/간접적인 외상사건을 경험한다.
업무 관련 외상사건은 무엇을 야기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업무 관련 외상사건은 직업적 소진을 야기하며, 외상후스트레스증상, 우울감 등 심각한 정신병리로 이어질 수 있다.2)6) 특히, 업무상 외상사건에 빈번히 노출되는 소방공무원과 경찰공무원에서 외상 기억이 악몽, 수면장애, 정서적 불안과 예민함, 무력감으로 이어진다고 보고되었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특징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은 국가의 사회복지사업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사이다. 이들은 민원인을 직접 방문하여 시행하는 업무 과정에서 사망 현장 등 끔찍한 장면을 목격하거나 서비스에 불만을 갖는 민원인의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 되는 등 직/간접적인 외상사건을 경험한다.1)2) 영국의 경우 사회복지 관련 직업이 보안 관련 직업군(경찰 등)에 이어 폭력 노출 위험이 두 번째로 높은 직종이며,3) 호주에서는 사회복지사의 67%가 대상자로부터 폭력 등 불쾌한 경험을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Park M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lient Violence toward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oc Sci Res Rev 2007;23:349-371. 

  2. Adams RE, Boscarino JA, Figley CR. Compassion fatigue and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social workers: a validation study. Am J Orthopsychiatry 2006;76:103-108. 

  3. Buckley P, Cookson H. Violence at work: Findings from the 2010/11 British Crime Survey. HSE;2011. 

  4. Koritsas S, Coles J, Boyle M. Workplace volence towards social workers: The Australian experience. Br J Soc Work 2010;40:257-271. 

  5. Cho SC. Survey of client violence and safety scheme in social workers.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2012. p.35-218. 

  6. Liberman AM, Best SR, Metzler TJ, Fagan JA, Weiss DS, Marmar CR. Routine occupati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olice. Policing 2002;25:421-439. 

  7. Corneil W, Beaton R, Murphy S, Johnson C, Pike K.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fighters in two countries. J Occup Health Psychol 1999;4:131-141. 

  8. Robinson HM, Sigman MR, Wilson JP. Duty-related stressors and PTSD symptoms in suburban police officers. Psychol Rep 1997;81(3 Pt 1):835-845. 

  9. Chong HS. Shin EH, Rhee OJ. Influence of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client violence on child protection workers' emotional reactions and attitudes to the violence. J Korean Soc Welf Adm 2012;14:227-251. 

  10. Park H. A study on a client violence experienced social worker's post traumatic stress: focused on severity of violence, coping skills, and social support [disseration]. Seoul: Sogang University;2010. 

  11. Yoon MS.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exposur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social workers. Ment Health Soc Work 2013;41:174-200. 

  12. Aldwin CM.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an integrative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Press;2007. 

  13. Folkman S, Lazarus RS.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 Health Soc Behav 1980;21:219-239. 

  14. Chang CM, Lee LC, Connor KM, Davidson JR, Lai TJ. Modification effects of coping on post-traumatic morbidity among earthquake rescuers. Psychiatry Res 2008;158:164-171. 

  15. Weinberg M, Gil S, Gilbar O. Forgiveness, coping, and terrorism: do tendency to forgive and coping strategies associate with the level of posttraumatic symptoms of injured victims of terror attacks? J Clin Psychol 2014;70:693-703. 

  16. Chang CM, Lee LC, Connor KM, Davidson JR, Jeffries K, Lai TJ. Posttraumatic di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mong rescue workers after an earthquake. J Nerv Ment Dis 2003;191:391-398. 

  17. Kwon Y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TSD symptoms among police officers. Cheong-ju: Chungbuk National University;2012. 

  18. Choi HK. Effects of traumatic event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urnout, physical symptoms,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s in Korean firefighters. Suwon: Ajou University;2010. 

  19. Weiss DS, Marmar CR.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1st ed. New York: Guilford Press;1997. p.399-411. 

  20. Eun HJ, Kwon TW, Lee SM, Kim TH, Choi MR, Cho SJ.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5;44:303-310. 

  21. Lim HK, Woo JM, Kim TS, Kim TH, Choi KS, Chung SK,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 Psychiatry 2009;50:385-390. 

  22. Lee CH, Kim JH.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d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experiences. Korean J Couns Psychol 1988;1:25-45. 

  23. Beck AT, Steer RA, Brown GK. Manual for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1996. 

  24. Sung H, Kim J, Park Y, Bai D, Lee S, Ahn H.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BDI-II).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8;14: 201-212. 

  25. Shin MS, Park KB, Oh KJ, Kim ZS. A study of suicidal ide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depression, hopelessness, and suicidal ideation. Korean J Clin Psychol 1990;9:1-19. 

  26. Seong JH, Lee CH, Do HJ, Oh SW, Lym YL, Choi JK, et al. Performance of the AUDIT Alcohol Consumption Questions (AUDIT-C) and AUDIT-K question 3 alone in screening for problem drinking. Korean J Fam Med 2009;30:695-702. 

  27. Sung HJ, Gweon HS. The Relationships among Job-Related Tens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of community Welfare Employees. J Vocat Educ Train 2011;14:177-200. 

  28. van der Kolk BA. The psychobiolog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Clin Psychiatry 1997;58 Suppl 9:16-24. 

  29. Pitman RK, Gilbertson MW, Gurvits TV, May FS, Lasko NB, Metzger LJ, et al. Clarifying the origin of biological abnormalities in PTSD through the study of identical twins discordant for combat exposure. Ann N Y Acad Sci 2006;1071:242-254. 

  30. van der Kolk BA. Clinical implications of neuroscience research in PTSD. Ann N Y Acad Sci 2006;1071:277-293. 

  31. Mol SS, Arntz A, Metsemakers JF, Dinant GJ, Vilters-van Montfort PA, Knottnerus JA.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non-traumatic events: evidence from an open population study. Br J Psychiatry 2005;186:494-499. 

  32. de Bruijn C, Denys 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fter life events. Br J Psychiatry 2006;188:394-395; author reply 395. 

  3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34. Shen AC. Dating viol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Taiwanese college students: the roles of cultural beliefs. J Interpers Violence 2014;29:635-658. 

  35. Christiansen DM, Elklit A, Olff M. Parents bereaved by infant death: PTSD symptoms up to 18 years after the loss. Gen Hosp Psychiatry 2013;35:605-611. 

  36. Kim BM, Pan SH, Chae JH.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coping style, and dissociation in Korean firefighters. Anxiety and Mood 2011;7:29-33. 

  37. Zeidner M, Klingman A, Itskowitz R. Children's affective reactions and coping under threat of missile attack: a semiprojective assessment procedure. J Pers Assess 1993;60:435-457. 

  38. Krause ED, Kaltman S, Goodman LA, Dutton MA. Avoidant coping and PTSD symptoms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exposure: a longitudinal study. J Trauma Stress 2008;21:83-90. 

  39. Mikulincer M, Florian V, Weller A. Attachment styles,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psychological distress: the impact of the Gulf War in Israel. J Pers Soc Psychol 1993;64:817-826. 

  40. Spurrell MT, McFarlane A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coping after a natural disaster.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1993;28:194-200. 

  41. Charlton PF, Thompson JA. Ways of coping with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trauma. Br J Clin Psychol 1996;35(Pt 4):517-530. 

  42. Folkman S, Lazarus RS, Dunkel-Schetter C, DeLongis A, Gruen RJ. Dynamics of a stressful encounter: cognitive appraisal, coping, and encounter outcomes. J Pers Soc Psychol 1986;50:992-1003. 

  43. Pruchno RA, Resch NL. Mental health of caregiving spouses: coping as mediator, moderator, or main effect? Psychol Aging 1989;4: 454-463. 

  44. Lazarus RS. Emotion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ward a person-centered conceptualization of emotions and coping. J Pers 2006; 74:9-4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