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 불만족 요인이 불평행동과 중재제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net Shopping Mall Dissatisfaction Factors on Complaint Behavior and Intention to Use Arbitration System 원문보기

중재연구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v.30 no.2, 2020년, pp.145 - 164  

이재학 (남서울대학교 국제유통학과) ,  박철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유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e-commerce is rapidly developing, and e-commerce through the Internet has become a major distribution channel for selling products and services to consumers and buyers. However, as Internet shopping develops, consumer dissatisfaction and conflict are increa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효신은 국내 인터넷 쇼핑몰과 해외직구를 모두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각 구매경험에 따른 소비자 불만족 수준, 불만족 귀인유형, 불평행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불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9).
  • . 박선정은 백화점과 비교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일어나는 소비자 불만족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을 통해 위기를 예방하는 위기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인터넷 쇼핑몰에 있어서 위기관리는 단순한 이미지 관리 차원을 넘어서 매출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일이기에 사업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사업의 주 고객인 소비자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8).
  • 본 연구는 인터넷쇼핑몰에서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중 불만족 경험이 높은 20대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인터넷쇼핑몰 불만족요인이 불평등행동과 중재제도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석광현은 한국 소비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한 해외 직접구매가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분쟁도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소비자보호의 문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해외직구에 대한 분쟁시 소송의 경우는 소비자보호를 위한 법적 기초를 구비하고 있으나 중재의 경우에는 그런 법제를 구비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33).
  •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상거래활동의 핵심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하면서 발생한 소비자 불만족이 어떻게 소비자 불평으로 이어지는지, 이러한 불평이 중재제도의 필요성과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장현선은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패션상품을 구매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피해 경험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대응행동 및 원일 조사하여 소비자들의 피해확산을 방지하고 패션 인터넷쇼핑몰 문화가 정착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 쇼핑이란? 인터넷 사용자가 전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우리의 상거래 방식에도 그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이 소비자가 온라인을 통한 가상공간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를 통칭하는 인터넷 쇼핑이다. 인터넷 쇼핑의 발전에 따라 그동안 관련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그 동안의 인터넷 쇼핑몰관련 연구는 주로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 서비스품질, 고객충성도 등과 관련하여 진행되어 왔다.
최근 국내를 넘어 소비자의 불만족과 분쟁의 증가 추세는? 한편, 2013년부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집계된 인터넷쇼핑 관련 신고 건수가 4만 건을 돌파하여 최근 5년 새 2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쇼핑이 발전하는 만큼 소비자의 불만족과 분쟁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최근에는 국내를 넘어선 해외직구가 확대되면서 국내에서의 분쟁해결을 넘어서 국제법에 의한 분쟁해결이 필요해 지고 있다. 소비자 관련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중재관련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으나 아직도 소비자 분쟁관련 중재제도 및 관련연구는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인터넷 쇼핑몰에 있어서 위기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박선정은 백화점과 비교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일어나는 소비자 불만족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을 통해 위기를 예방하는 위기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인터넷 쇼핑몰에 있어서 위기관리는 단순한 이미지 관리 차원을 넘어서 매출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일이기에 사업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사업의 주 고객인 소비자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 인터넷이용실태조사결과, 보도자료, 2020.2.27. 

  2. 김도년.이동하, "소비자피해구제제도로서 소비자중재에 관한 연구," 중재연구, 제28권 제2호, 한국중재학회, 2018. 

  3. 김보람, 인터넷 의류 점포에서 불평행동을 유발하는 소비자 불만족 요인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4. 김선우, 청소년이 인터넷쇼핑에서 경험하는 소비자문제에 대항 대응행동과 관련 변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5. 김효선, 소셜네트워크 활용정도에 따른 소셜커머스 구매행동 및 불평행동 연구, 이화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6. 김효신, 해외직구와 국내 인터넷 쇼핑몰 이용시 소비자의 불만족 귀인과 불평행동에 대한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7. 박선정, 인터넷쇼핑몰의 소비자 불만족 해결을 위한 위기관리에 관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8. 박종필, "인터넷쇼핑 피해, 5년간 두배 상승, 소비자 신고 올 상반기만 4925건", 한국경제, 2018. 9. 9.자, 접속일 2020. 4. 20,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8090957281 

  9. 석광현, "해외직접구매에서 발생하는 분쟁과 소비자의 보호:국제사법, 중재법과 약관규제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제57권 제3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10. 안효영, 소셜커머스 서비스 실패로 인한 소비자 불만, 불평행동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1. 이강빈, "항공서비스 소비자 분쟁해결제도의 개선방안," 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제33권 제2호,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18. 

  12. 이선옥, 인터넷 쇼핑몰의 소비자 불만족 및 불평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2001. 

  13. 장현선, "인터넷쇼핑몰 관련 소비자 피해에 관한 대응행동-패션상품 구매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0 제3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06. 

  14. 정선주, "소비자중재에서 소비자보호의 문제," 서울대학교 법학, 제49 제1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15. 지혜경.이은영, "의류제품의 구매과정에 나타난 소비자 불만족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제19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5. 

  16. 하충룡, "소비자 중재합의의 부합계약성에 관한 검토-미국법을 중심으로-," 중재연구, 제22권 제3호, 한국중재연구, 2012. 

  17. Day, R. L., Research perspectives on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In C. Lamb., P. Dunne(Eds.), Theoretical Perspectives in Marketing,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Chicago, IL., 1980. 

  18. Day, R, L. & Landon. E., Toward of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Consumer and Industrial Buying Behavior, Woodside, Sheth and Bennett, New York : North-Holland, 1977. 

  19. Engel, J. F. & Blackwell, R. D., Consumer Behavior: 4th ed., Dryden Press, Chicago, IL, 1982. 

  20. Fornell, C., & Westbrook, R. A., "An exploratory study of assertiveness and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6, 1979. 

  21. Krishnan, S. & Valle, V. A., "Dissatisfaction attribution and Consumer Complaint Behavior."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6, 1979. 

  22. Olier, R. L., & Desarbo, W. S., "Response determinants in satisfaction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4. Issue 4, 1988. 

  23. Singh, J., "Consumer complaint intention and behavior : Definitional and Taxonomical Issues," Journal of Marketing, Vol 52, 1988. 

  24. Wesbrook. R. A. & Reilly, M. D., "Value Percept Disparity: An Alternatives to the Disconfirmation of Expectation Theory of Satisfac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0,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