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유형 분석
Analyz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Quality Computer Clas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3, 2020년, pp.225 - 232  

김두규 (부산 광일초등학교) ,  이재무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함이다. 대학생들의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한 인식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대학생들의 주관적 생각을 추출하기 위하여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먼저 면담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진술문을 추출한 후 54개의 Q 표본을 선정하였다. 대학생 50명을 남녀 동수로 나누어 P 표본을 구성하고 Q 분류를 하게 하였다. Q 분류는 QUANL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한 유형은 네 가지로 추출되었다. 그리고 유형별 남녀 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대학과 교육대학 학생들은 유형의 차이가 확실히 나타났다.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하여 <유형 1>은 '창의적 문제해결을 통한 가치관 변화 지향 수업'이며, <유형 2>는 '학습자간 경쟁을 통한 컴퓨터 활용 능력 향상 수업'이고, <유형 3>은 '프로그래밍 능력과 함께 최신 컴퓨터 기술 습득 수업'이고, 그리고 <유형 4>는 '학습자 중심의 즐거운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college students think about quality computer classes. Q methodology is applied to extract the subjective thinking of college students. After extracting the statements through students' interviews and advanced study, the 54 Q samples were selected. The P sample consis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Q 모집단 구성을 위하여 개방형 설문과 문헌분석을 하였다. 개방형 설문은 공동연구자들이 수업하는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받았다.
  • 개방형 설문은 공동연구자들이 수업하는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받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들에서 언급된 좋은 수업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 분류 절차는 먼저 좋은 컴퓨터 수업에 관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54장의 카드를 읽으면서 동의, 비동의, 중립 등 세 그룹으로 나누도록 하였다. 다음은 동의하는 카드 중에서 가장 동의하는 순서대로 +5점에서부터 -5점까지 순서대로 정해진 카드 숫자대로 강제분류하도록 하였으며, 비동의, 중립 카드들도 순서대로 같은 방식으로 강제분류하도록 하였다. 분류가 끝난 후 양극단에 놓인 2개의 진술문을 선택한 이유에 대하여는 개방형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 연구절차는 좋은 컴퓨터 수업이 무엇인가? 를 알아보기 위하여 Q 방법의 5단계[10][11] 절차에 따라 ① Q 모집단 구성, ② Q 표본 선정, ③ P 표본 선정, ④ Q 분류, ⑤ 자료처리 및 분석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 본 연구는 Q 방법을 이용하여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하여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밝힌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하여 Q 방법을 통해 인식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좋은 컴퓨터 수업에 대하여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 Q 분류는 P 표본으로 선정된 참여자들이 특정 조건에 따라 Q 표본을 개인의 관점에 따라 중요한 순서대로 배치한다[12][13]. 분류 절차는 먼저 좋은 컴퓨터 수업에 관한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54장의 카드를 읽으면서 동의, 비동의, 중립 등 세 그룹으로 나누도록 하였다. 다음은 동의하는 카드 중에서 가장 동의하는 순서대로 +5점에서부터 -5점까지 순서대로 정해진 카드 숫자대로 강제분류하도록 하였으며, 비동의, 중립 카드들도 순서대로 같은 방식으로 강제분류하도록 하였다.
  • 다음은 동의하는 카드 중에서 가장 동의하는 순서대로 +5점에서부터 -5점까지 순서대로 정해진 카드 숫자대로 강제분류하도록 하였으며, 비동의, 중립 카드들도 순서대로 같은 방식으로 강제분류하도록 하였다. 분류가 끝난 후 양극단에 놓인 2개의 진술문을 선택한 이유에 대하여는 개방형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 Q 분류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Q 표본 분류도에 배열된 위치에 따라 1점에서 11점의 점수로 환산하여 QUANL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요인의 개수 결정은 요인수를 3에서 6까지 다양하게 입력하여 산출된 결과 중 아이겐 값이 1.00 이상이며, 요인의 설명변량, 각 요인 간 상관계수를 기준으로 합리적이고 가장 유형 간의 주관성이 분명하다고 판단된 4개의 요인(유형)으로 결정하였다.
  • 이 과정에서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진술문 54개를 정하였다. 이 내용들을 유사성을 고려하여 6개 구조를 중심으로 나누고, 이에 속하는 대표적인 진술문을 부정 진술문과 긍정 진술문으로 나누어 재문장화한 다음, 최종적으로 54개의 Q 진술문을 확정하였다. 6개의 구조는 1)학습 목표, 2)학습 내용, 3)교수방법, 4)평가, 5)교수 학습자, 6)학습환경이다.

대상 데이터

  • P표본인 대학생들의 면담 및 설문은 2019년 11월11일부터 12월 3일까지 이루어졌다. 교육대학 학생들은 공동연구자가 강의하는 2학년 3개의 심화 과정 학생 중에서 선정하였으며 이들의 이전 수강 과목은 교육학 개론, 교육심리, 유아교육 등의 교육학 과목과 컴퓨터 교수법을 비롯한 사회과, 과학과, 미술과, 영어과, 체육과 등 6개 교과의 교수법을 수강한 학생들이었다.
  • Q 모집단 구성을 위하여 개방형 설문과 문헌분석을 하였다. 개방형 설문은 공동연구자들이 수업하는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받았다. 그리고 선행 연구들에서 언급된 좋은 수업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 <유형 1>은 교육대학 학생들의 40명의 P 표본 중 31명이 속하였다. 그리고 4가지 유형중 가장 많은 응답자 32명이 포함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대학과 교육대 학생 중 무작위로 추출하여 [Table 1]처럼 50명을 P 표본으로 구성하였다. 일반대학 학생은 면담 학생을 구하기 쉽지 않아 남녀 5명씩 총 10명을 선정하였고, 교육대학 학생은 남녀 20명씩 총 40명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대학과 교육대 학생 중 무작위로 추출하여 [Table 1]처럼 50명을 P 표본으로 구성하였다. 일반대학 학생은 면담 학생을 구하기 쉽지 않아 남녀 5명씩 총 10명을 선정하였고, 교육대학 학생은 남녀 20명씩 총 40명을 선정하였다.

데이터처리

  • Q 분류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Q 표본 분류도에 배열된 위치에 따라 1점에서 11점의 점수로 환산하여 QUANL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요인의 개수 결정은 요인수를 3에서 6까지 다양하게 입력하여 산출된 결과 중 아이겐 값이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anghoon Im and Yeong-Mahn You (2018).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n the ‘Quality College Class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4(4), 1079-1112. 

  2. Mija Oh (2019).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Good Lecture Component Factors” at College and Educational Need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7(1), 1-22. 

  3. Bongwoo Lee (2016).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ncepts of Goo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1), 103-112. 

  4. DaeHyung Lee (2012). Searching for the Ability and Role of a Teacher for the Excellent Physical Education Clas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4), 281-307. 

  5. JeongSuk Pang (2012).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n Good Mathematics I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51(2), 145-160. 

  6. William Stephenson (1967). The Play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7. William Stephenson (1953).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8. Linda J. Collins and Xin Liang (2014). In the Design of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ELLs: A Q Methodology Study. Turkish Online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5(3), 268-282. 

  9. YongJae Lee and Jaemu Lee (2019). A Study on the Brand Attitude Types of College Students.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7(4), 175-184. 

  10. Bruce McKeown and Dan B. Thomas (2013). Q Methodology. SAGE Publications, Inc. 

  11. Jaemu Lee and TaeChul Jung (2017). The Type Classif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Role of Pre-service Teachers at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Journal of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Systems, 12(6), 857-867. 

  12. HeungKyu Kim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Communication Books. 

  13. Simon Watts and Paul Stenner (2012). Doing Q Methodological Research: Theory, Method & Interpretation. SAGE Publications, Inc. 

  14. TaYoon, Cho (2019). A Examination on the Curriculum in ‘Allgemeine Padagogik’ in Herbart.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3(1), 123-141. 

  15. Daeho Park(2019). The Significance of Herbart’s Concept of Taste for Mor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65, 31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