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화나무꽃 추출물이 함유된 Cosmeceuticals의 제조: Box-Behnken 설계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Preparation of Cosmeceuticals Containing Flos Sophorae Immaturus Extracts: Optimization Using Box-Behnken Design Model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1 no.4, 2020년, pp.404 - 410  

유봉호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  줘청량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이승범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Box-Behnken 설계모델(BBD-RSM)을 사용하여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첨가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안정성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BBD-RSM의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 등을 설정하고, 반응치로는 O/W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MDS), 점도 및 유화안정도지수(ESI)를 설정하였다. BBD-RSM 최적화 분석결과 세 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부합하는 최적조건은 유화시간(17.8 min), 유화속도(5505 rpm), 유화제의 첨가량(2.28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1.05 wt.%)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조건에서의 BBD-RSM 예측결과는 MDS (1875.5 nm), 점도(1789.7 cP), ESI (93.8%)로 얻었다. 또한 이 조건에서 실제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는 이론 결과에 비래 평균오차율은 5% 이하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BBD-RSM 최적화 분석을 적용할 경우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의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tability criteria of cosmeceuticals emulsion containing Flos Sophorae Immaturus extracts was established using the Box-Behnken design model (BBD-RSM). As optimization conditions of the emulsification using the BBD-RSM, the amount of surfactant and additive, and emulsification tim...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O/W유화액의 물성 평가를 위해 평균액적크기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과정 중 coconut oil과 sugar ester 혼합된 유화액의 평균액적 크기 및 점도는 7 day 간 creaming 과정 중 배치시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creaming 과정이 끝난 날짜인 7 day차의 데이터를 채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BD-RSM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MDS, 점도, ESI를 반응치로 설정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기초실험으로부터 계량인자의 범위를 유화제의 첨가량(2~2.5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0.8~1.2 wt.%), 유화시간(15~20 min) 및 유화속도(5000~6000 rpm)로 설정하였으며 유화액의 물성 및 유화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반응치를 분석하였다. BBD-RSM은 지표와 요인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이며 일반적으로 독립변수의 비선형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는 실험에서 사용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유화공정을 통해 항산화 기능성을 갖는 cosmeceuticals을 제조하였다. 유화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중 하나인 Box-Behnken 설계모델(Box-Behnken design model, BBD)을 이용하였다.
  • 실제 유화액의 안정도에 따른 평가와 그 기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유화안정도지수(ESI)라는 유화안정도 기준을 만족하는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9]. 본 연구에도 여러 독립변수에 따른 유화안정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ESI (E)를 반응치로 설정하여 BBD-RSM에 의해 계산된 2차 회귀방정 식을 다음과 같이 산출하였다.
  • BBD-RSM은 지표와 요인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이며 일반적으로 독립변수의 비선형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는 실험에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 요인의 BBD-RSM을 통해 Table 1과 같이 27번의 실험을 수행함으로 회귀방정식을 도출하였다[16,17].
  • 본 연구에서는 4개의 독립변수에 따른 3개의 반응치를 각각 최적화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개의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BBD-RSM의 독립변수인 유화제의 첨가량(x1),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x2), 유화시간(x3), 유화속도(x4)에 따라 반응치인 O/W 유화액의 MDS (M), 점도(V)와 ESI (E)의 목표치에 부합하는 최적조건을 도출한 결과 최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2.
  • 이는 유화액의 점도가 큰 경우 액적 간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에 의해 불규칙한 운동효과가 약해져 액적 간 충돌빈도가 낮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BBD-RSM 분석에 의해 다음과 같은 점도(V)에 대한 2차 회귀방정식을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BD-RSM을 이용하여 최적화 과정을 설계하기 위해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MDS, 점도, ESI를 반응치로 설정하여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기초실험으로부터 계량인자의 범위를 유화제의 첨가량(2~2.
  • BBD-RSM은 지표와 요인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설계 방법으로 중심합성설계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CCD)과 비교하여 실험을 여러 번 시행할 필요가 없으며 같은 독립변수가 있는 경우 BBD-RSM이 더 경제적이다[11-13]. 본 연구에서는 BBD-RSM의 반응치(response)로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mean droplet size, MDS), 점도, 유화안정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 등을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 등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BD-RSM로부터 산출된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3개 반응치를 동시에 최적화시킴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oconut oil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ugar ester를 유화액계에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첨가하여 cosmeceuticals을 제조하고, BBD-RSM을 통해 유화과정을 최적화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 Ltd, Japan)을 이용하며 유화과정에 사용된 유화제는 천연유화제인 sugar ester를 수상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유화액의 총 질량을 200.0 g, 유상과 수상의 질량비(O/W ratio)를 2 : 8로 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high-speed emulsifier (Homomixer Mark Ⅱ, T.K. Primix)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이때 유화온도는 75 ℃로 고정하였으며, 유화제의 첨가량(1.
  • Primix)를 이용하여 유화시켰다. 이때 유화온도는 75 ℃로 고정하였으며, 유화제의 첨가량(1.0~3.0 wt%),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0.4~2.0 wt.%), 유화시간(10~30 min), 유화속도(3000~7000 rpm) 등을 변수로 설정하여 유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유화과정 후 유화액은 정제수로 냉각시켜 25 ℃인 incubator에 7 day 간 보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BBD-RSM의 반응치(response)로 유화액의 평균액적크기(mean droplet size, MDS), 점도, 유화안정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 등을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회화나무꽃 추출물 첨가량, 유화시간, 유화속도 등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BD-RSM로부터 산출된 회귀방정식을 이용하여 3개 반응치를 동시에 최적화시킴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측정 시 평균액적크기와 점도를 똑같이 상온(24 ± 3 ℃)에서 측정하였으며 평균액적크기의 경우는 ZETA Sizer (Zen 3600, Malvern)을 이용하여 10회로 반복 측정하고, 점도의 경우는 Brookfield 점도계(DV-II+ Pro, Brookfield Co.)를 이용하여 각 조건에서 5회 반복 측정하였다.
  • 항산화 기능성 물질로 회화나무꽃 추출물의 추출공정에 대한 최적화 결과 추출시간(2.13 h), 주정/초순수의 부피비(62.89 vol.%), 추출온도(50.42 ℃)에서 전통용매 추출공정으로 추출하였다[14]. 균일한 유화액을 제조하기 위해 식품, 제약,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O/W형 유화액을 선택하였다.

대상 데이터

  • 42 ℃)에서 전통용매 추출공정으로 추출하였다[14]. 균일한 유화액을 제조하기 위해 식품, 제약,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O/W형 유화액을 선택하였다. 수상과 유상으로는 각각 초순수(Vivagenen EXL-III)와 coconut oil (Junsei Chemical Co.
  • 균일한 유화액을 제조하기 위해 식품, 제약,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O/W형 유화액을 선택하였다. 수상과 유상으로는 각각 초순수(Vivagenen EXL-III)와 coconut oil (Junsei Chemical Co., Ltd, Japan)을 이용하며 유화과정에 사용된 유화제는 천연유화제인 sugar ester를 수상에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유화액의 총 질량을 200.
  • O/W유화액의 물성 평가를 위해 평균액적크기 및 점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과정 중 coconut oil과 sugar ester 혼합된 유화액의 평균액적 크기 및 점도는 7 day 간 creaming 과정 중 배치시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creaming 과정이 끝난 날짜인 7 day차의 데이터를 채용하였다. 측정 시 평균액적크기와 점도를 똑같이 상온(24 ± 3 ℃)에서 측정하였으며 평균액적크기의 경우는 ZETA Sizer (Zen 3600, Malvern)을 이용하여 10회로 반복 측정하고, 점도의 경우는 Brookfield 점도계(DV-II+ Pro, Brookfield Co.

이론/모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이용하여 유화공정을 통해 항산화 기능성을 갖는 cosmeceuticals을 제조하였다. 유화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중 하나인 Box-Behnken 설계모델(Box-Behnken design model, BBD)을 이용하였다. BBD-RSM은 지표와 요인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설계 방법으로 중심합성설계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CCD)과 비교하여 실험을 여러 번 시행할 필요가 없으며 같은 독립변수가 있는 경우 BBD-RSM이 더 경제적이다[11-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화안정도지수란 무엇인가? 유화액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화안정도지수(emulsion stability index, ESI)는 유화액의 creaming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유화액 제조 후 7 day 간 25 ℃의 incubator에서 밀폐된 glass cell로 보관하여 creaming 과정이 끝난 7 day차 이후의 데이터를 채용하였다.
회화나무 꽃망울의 특징은 무엇인가?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의 꽃망울(Flos Sophorae Immaturus)은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소염, 항균, 피부노화 예방 등에 효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회화나무는 강한 생명력으로 생장성이 우수하며, 예로부터 해열, 해독 등의 효능으로 약차로 음용되고 있다.
sugar ester가 다양한 지방산과 결합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천연 유화제인 sugar ester는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sucrose fatty acid esters)인 sugar substituent를 가지고 있는 비이온성 유화제이다[7-10]. 유화제 성분중 하나인 sucrose 안에 유리상태의 free hydroxyl groups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지방산과 결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 C. Zouboulis and E. Makrantonaki, Clinical aspects and molecular diagnostics of skin aging, Clin. Dermatol., 29, 3-14 (2011). 

  2. B. Polijsak, R. G. Dahmane, and A. Godic, Intrinsic skin aging: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Acta Dermatovenerol. Alp. Pannonica Adriat., 21, 33-36 (2012). 

  3. M. A. Farage, K. W. Miller, P. Elsner, and H. I, Maibach, Intrinsic and extrinsic fators in skin ageing: A review, Int. J. Cosmet. Sci., 30, 87-95 (2008). 

  4. A. Alberti, A. A. F. Zelinski, D. M. Zardo, I. M. Demiate, A. Nogueira, and L. I. Mafra, Optimisation of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appl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Chem., 149, 151-158 (2014). 

  5. P. E. Ohale, C. F. Uzoh, and A. A. Shamsuddee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ptimization of adsorptive desulfurization on nickel/activated carbon, Chem. Eng. J., 313, 993-1003 (2017). 

  6. Y. Lu and L. Y. Foo,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apple pomace, Food Chem., 68, 81-85 (2000). 

  7. S. Intahphuak, P. Khonsung, and A. Panthong,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of virgin coconut oil, Pharm. Biol., 48(2), 151-157 (2010). 

  8. A. M. Marina, Y. B. Cheman, S. A. H. Nazimah, and I. Amin,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acids of virgin coconut oil, Int. J. Food Sci. Nutr,, 60(2), 114-123 (2009). 

  9. G. Csoka, S. Marton, R. Zelko, N. Otomo, and I. Antal, Application of sucrose fatty acid esters in transdermal therapeutic systems, Eur. J. Pharm. Biopharm., 65(2), 233-237 (2007). 

  10. N. S. Neta, J. A. Teixeira, and L. R. Rodrigues, Sugar ester surfactants: Enzymatic synthesis and applications in food industry, Crit. Rev. Food Sci. Nutr., 55(5), 595-610 (2015). 

  11. S. S. Garud, I. A. Karimi, and M. Kraft, Design of computer experiments: A review, Comput. Chem. Eng., 106, 71-95 (2017). 

  12. H. Toyota, T. Asai, and N. Oku, Process optimization by use of design of experiments: Application for liposomalization of FK506, Eur. J. Pharm. Sci., 102, 196-202 (2017). 

  13. S. B. Lee, H. S. Jang, and B. H. Yoo, Preparation of waste cooking oil-based biodiesel using microwave energy: Optimization by box-behnken design model, Appl. Chem. Eng., 29(6), 746-752 (2018). 

  14. K. Han, C. Zuo and I. K. Hong, Extraction of antioxidants from Lonicera japonica and Sophora japonica L.: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Appl. Chem. Eng., 30(3), 337-344 (2019). 

  15. W. L. Kang, B. Xu, Y. J. Wang, Y. Li, X. H. Shan, F. An, and J. H. Liu, Stability mechanism of W/O crude oil emulsion stabilized by polymer and surfactant, Colloids Surf. A, 384(1-3), 555-560 (2011). 

  16. M. Homayoonfal, F. Khodaiyan, and M. Mousavi, Modelling and optimising of physicochemical features of walnut-oil beverage emulsions by implement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Effect of preparation conditions on emulsion stability, Food Chem., 174, 649-659 (2015). 

  17. M. O. Saeed, K. Azizli, M. Isa and M. J. K. Bashir, Application of CCD in RSM to obtain optimize treatment of POME using Fenton oxidation process, J. Water Process Eng., 8, 7-16 (2015). 

  18. M. Yolmeh, M. B. H. Najafi and R. Farhoosh, Optimisation of ultrasound- assisted extraction of natural pigment from annatto seed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Food Chem., 155, 319-324 (2014). 

  19. M. Katsouli, V. Polychniatou and C. Tzia, Optimization of water in olive oil nano-emulsions coposition with bioactive compound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LWT Food Sci. Technol., 89, 740-748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