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차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자외선차단 크림의 제조: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mulsification of Natural Sunscreen with Green Tea Extract : Optimization Using CCD-RSM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1 no.5, 2020년, pp.532 - 538  

이승범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줘청량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쉬양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  홍인권 (단국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연 자외선 차단크림을 제조하기 위해 shea butter, 올리브 유화왁스, 녹차추출물 등을 원료로 유화과정을 수행하였다. 유화과정의 최적화는 CCD-RS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반응치로는 유화액의 7 days 경과 후 평균액적크기(MDS), 유화안정도지수(ESI),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 등을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독립변수로는 유화제의 첨가량, 녹차추출물의 첨가량 및 유화시간을 설정하였다. CCD-RSM에 의해 최적화과정을 수행한 결과 자외선 차단크림 O/W 유화공정의 최적조건은 유화제의 첨가량(3.70 wt.%), 녹차추출물의 첨가량(2.47 wt.%) 및 유화시간(15.4 min)이었으며, 이때 예측된 반응치는 7 days 경과 후 유화액의 MDS (1173.8 nm), ESI (99.56%), 그리고 300 nm에서의 자외선 흡광도(2.47)로 나타났다. 이 조건에서의 실제실험 결과 오차율은 3.0 ± 1.5%로 낮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적용된 CCD-RSM 최적화 과정이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mulsification process were conducted to manufacture the natural sunscreen from raw materials such as shea butter, olive emulsifier wax, and green tea extract. The emulsification was optimized by using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CD-RSM) where th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il in water (O/W) 유화공정을 이용하여 녹차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 자외선차단 크 림의 제조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이를 위해 반응표면분석법 중 중심합성설계모델(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CCD-RSM)을 이용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천연원료를 이용하여 UVB를 차단할 수 있는 천연 자외선차단 크림(sunscreen)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유상성분으로는 천연 shea butter를 사용하였으며, 자외선 흡수기능을 갖는 첨가물로는 녹차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자외선은 주로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의 표준에 의하면 태양광 내의 자외선은 단파 자외선(UVC, 100~280 nm), 중파 자외선(UVB, 280~315 nm) 및 장파 자외선(UVA, 315~400 nm)으로 나뉜다. 이 중 UVC는 대기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오존층에 의해 대부분 흡수되기 때문에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자외선은 주로 UVA와 UVB이다[3]. 일반적으로 화장품 영역에서의 자외선 차단수단은 물리적이나 화학적인 첨가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 원료로 어떤 것들을 사용하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화장품 영역에서의 자외선 차단수단은 물리적이나 화학적인 첨가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 원료로는 유기물 자외선 흡수제인 benzophenone, octocrylene 등과 무기 자외선 산란제인 이산화티탄(TiO2), 산화아연(ZnO) 등을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화학적 첨가물에 의해 민감한 피부의 사람들에게는 알레르기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4]. 따라서 저자극, 저알레르기 등 성능을 갖는 천연 차외선차단 크림의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Shea butter가 함유하고 있는 천연 자외선 차단성분은 무엇인가? Shea butter는 인체피부에 분비하는 지방과 매우 유사한 천연 식물성 오일로 매우 강한 피부 친화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또한 천연 자외선 차단성분인 신남산(cinnamic acid)을 다량 함유하기 때문에 태양광 내의 UVB를 대상으로 우수한 흡수 효과가 있으며, 피부의 광손상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6]. 또한 천연 성분 중 자외선 흡수율이 우수한 녹차 추출물은 폴리페놀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이 중 epigallocatechin gallate(EGCG)가 우수한 자외선 흡수 능력을 갖고 있어 피부의 미세순환을 촉진하고 항산화, 항염증 등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Cavinato, B. Waltenberger, G. Baraldo, C. V. C. Grade, H. Stuppner, and P. Jansen-Durr, Plant extracts and natural compounds used against UVB-induced photoaging, Biogerontology, 18(4), 499-516 (2017). 

  2. X. Liang, Application and research progress of plant axtracts in anti-aging cosmetics, TAIYUAN SCI-TECH, 10 (2009). 

  3. S. K. Katiyar, UV-induced immune suppression and photocarcinogenesis: Chemoprevention by dietary botanical agents, Cancer Lett., 255(1), 1-11 (2007). 

  4. P. K. Nigam, Adverse reactions to cosmetics and methods of testing, Indian J. Dermatol. Venereol. Leprol., 75(1), 10-19 (2009). 

  5. P. F. Chen, Shea butter in the application of cosmetics[J], The Light & Textile Industries of Fujian, 12, 1-4 (2003). 

  6. N. A. Soter, Acute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Semin Dermatol., 9(1), 11-15 (1990). 

  7. E. D. Pauli, I. S. Scarmino, and R. Tauler, Analytical investig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extracted from Camellia sinensis L. leaves using a HPLC-DAD-ESI/MS data fusion strategy and chemometric methods, J. Chemom., 30, 75-85 (2016). 

  8. J. G. Einspahr, G. T. Bowden, and D. S. Alberts, Skin cancer chemoprevention: Strategies to save our skin, Recent Results Cancer Res., 163, 151-164 (2003). 

  9. N. Morley, T. Clifford, L. Salter, S. Campbell, D. Gould, and A. Curnow, The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green tea can protect human cellular DNA from ultraviolet and visible radiation-induced damage,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1, 15-22 (2005). 

  10. S. K. Katiyar, Skin photoprotection by green tea: Antioxidant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Curr Drug Targets Immune Endocr Metabol Disord., 3(3), 234-242 (2003). 

  11. X. Yang, L. Chen, H. M. Lu, S. Q. Yang, and J. J. An, Research progress on extraction and purification methods of tea polyphenols and its functional activities, Science and Technology of Food Industry, 40(5), 322-328, 332 (2019). 

  12. B. J. Berne and R. D. Pecora, Light scattering: With applications to chemistry, biology, and physics, Courier Corporation (2000). 

  13. M. C. Chalapud, E. R. Baumler, and A. A. Carelli, Emulsions of sunflower wax in pectin aqueous solutions: Physical character-ization and stability, Food Res. Int., 108, 216-225 (2018). 

  14. N. K. Pearce and J. E. Kinsella, Emulsifying properties of proteins: evaluation of a turbidimetric technique, J. Agric. Food Chem., 26(3), 716-723 (1978). 

  15. M. O. Saeed, K. Azizli, M. Isa, and M. J. K. Bashir, Application of CCD in RSM to obtain optimize treatment of POME using Fenton oxidation process, J. Water Process Eng., 8, 7-16 (2015). 

  16. M. Yolmeh, M. B. H. Najafi, and R. Farhoosh, Optimisation o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natural pigment from annatto seed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Food Chem., 155, 319-32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