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해화된 폐석면에 함유된 유가금속 회수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Recovering Valuable Metals in Detoxified Waste Asbestos-Containing Wast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1 no.4, 2020년, pp.438 - 442  

김동년 (국민대학교 응용화학과) ,  양동현 (국민대학교 응용화학과) ,  김석찬 (국민대학교 응용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lcium silicate, larnite, merwinite, akermanite 로 구성된 무해화된 폐석면으로부터 화학적 처리를 통한 유가금속 회수를 위한 성분별 회수 조건, 유가금속 회수 공정 최적화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DACW (detoxified asbestos-containing waste)의 주성분인 Si, Ca, Mg을 SiO2, CaSO4, Mg(OH)2 화합물 형태로 분리, 회수하였다. 분리된 각 성분은 XRDICP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성분별 회수 조건은 산을 처리하여 SiO2를 우선 분리하고 연속해서 H2SO4 처리하여 Ca는 황산염인 CaSO4 형태로 회수하였다. 남은 Mg는 강염기 조건에서 Mg(OH)2로 침전시켜 회수하였다. 본 연구는 지정 폐기물인 폐석면을 무해화하여 구성 성분을 회수 하여 매립에 의한 석면 폐기물의 기존 처리 과정을 자원 순환형 녹색 기술로의 전환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on the recovery conditions and optimization process for valuable metal recovery through chemical treatment from detoxified asbestos-containing waste composed of calcium silicate, larnite, merwinite, and akermanite were conducted. The main components, Si, Ca, and Mg, of detoxified asbestos-co...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무해화된 폐석면 폐기물(DACW: detoxified asbestos-containing waste)의 성분별 회수 조건 도출, 유가금속 회수 공정 최적화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8년 11월까지는 폐석면의 재활용은 원천적으로 불가하였으며 관련 시행규칙의 개정으로 시험, 연구목적에 한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면을 무해화 하는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1970년대 이후 석면 분진이 인간의 호흡기관에 20~40년 잠복기를 거쳐 폐암이나 폐증, 늑막이나 흉막에 악성종양을 유발할 수 있다고 밝혀져 세계보건기구(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급 발암물질로 선정하여 발표하였다[4].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1990년 산업안전보건법에 석면을 허가를 받아야 하는 유해물질로 규정하면서 석면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하였다.
석면(asbestos)은 무엇인가? 석면(asbestos)은 자연에 존재하는 섬유상의 규산염 광물을 총칭하는 물질로서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원(NIOS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의 분류에 따르면 광물학적 조성에 근거하여 백석면(chrysotile asbestos), 청석면(crocidolite asbestos), 갈석면(amosite asbestos), 안소필라이트(anthophylite asbestos), 트레몰라이트(tremolite asbestos), 액티놀라이트(actinolite asbestos)의 6종으로 나뉘어 진다[1]. 석면 섬유는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길이가 5 mm 이상이고 길이 대 폭의 비(aspect ratio)가 3 : 1 이상인 물질로서 다른 광물에 비해 뛰어난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 단열성 및 내마모성, 높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갖고 있다[2].
석면 섬유의 특징은 무엇인가? 석면(asbestos)은 자연에 존재하는 섬유상의 규산염 광물을 총칭하는 물질로서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원(NIOSH: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의 분류에 따르면 광물학적 조성에 근거하여 백석면(chrysotile asbestos), 청석면(crocidolite asbestos), 갈석면(amosite asbestos), 안소필라이트(anthophylite asbestos), 트레몰라이트(tremolite asbestos), 액티놀라이트(actinolite asbestos)의 6종으로 나뉘어 진다[1]. 석면 섬유는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길이가 5 mm 이상이고 길이 대 폭의 비(aspect ratio)가 3 : 1 이상인 물질로서 다른 광물에 비해 뛰어난 내구성, 내열성, 내화성, 단열성 및 내마모성, 높은 인장 강도(tensile strength)를 갖고 있다[2]. 뿐만 아니라 화학 약품에 대한 반응성도 낮아 각종 건축 자재, 자동차 부품, 산업용 기계제품 등 3,000여 종류의 제품에 사용되어왔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 C. Leonelli, P. Veronesi, and D. N. Boccaccini, Microwave thermal inertisation of asbestos containing waste and its recycling in traditional ceramics, J. Hazard. Mater., 135, 149-155 (2006) 

  2. (b) H. C. W. Skinner and H. C. W. Mineralogy of asbestos minerals, Indoor Built Environ., 12, 385-389 (2003). 

  3. (a) K. Donaldson and C. L. Tran, An introduction to the short-term toxicology of respirable industrial fibres, Mutat. Res. Fundam. Mol. Mech. Mutagen, 553, 5-9 (2004) 

  4. (b) R. Kusiorowski, T. Zaremba, and J. Piotrowski, Thermal decomposition of different types of asbestos, J. Therm. Anal. Calorim., 109, 693-704 (2012). 

  5. A. F. Gualtieri and A. Tartaglia, Thermal decomposition of asbestos and recycling in traditional ceramics, J. Eur. Ceram. Soc., 20. 1409-1418 (2000). 

  6. (a) J. C. Wagner, C. A. Sleggs, and P. Marchand, Diffuse pleural mesothelioma and asbestos exposure in the North Western Cape Province, Occup. Environ. Med., 17, 260-271 (1960) 

  7. (b) M. L. Newhouse and H. Thompson, Mesothelioma of pleura and peritoneum following exposure to asbestos in the London area, Occup. Environ. Med., 22, 261-269 (1965) 

  8. (c) I. J. Selikoff and E. C. Hammo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3. Community effects of nonoccupational environmental asbestos exposure, Am. J. Public Health Nations Health, 58, 1658-1666 (1968). 

  9. J. I. Park, C. S. Yoon, and N. W. Paik, A study on exposure among asbestos textile workers and estimation of their historical exposure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5, 16-39 (1995). 

  10. Y. C. Kim, B. H. Son, W, M. Park, and W. H. Hong,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asbestos cement states roofing in the urban area, JAIK., 27, 253-260 (2011). 

  11. D. Kang, Health effects of environmental asbestos exposure, Korean. J. Environ. Health Sci., 35(2), 71-77 (2009). 

  12. (a) F. Turci, M. Colonna, and M. Tomatis, New detoxification processes for asbestos fibers in the environment, J. Toxicol. Environ. Health, Part A, 73(5-6), 368-377 (2010) 

  13. (b) A. J. Werner, M. F. Hochella, and G. D. Guthrie, Asbestiform riebeckite (crocidolite) dissolution in the presence of Fe chelators: Implications for mineral-induced disease, Am. Mineral., 80(11-12), 1093-1103 (1995); 

  14. (c) J. Block, L. Petrakis, and L. E. Dolhert, A novel approach for the in-situ chemical elimination of chrysotile from asbestos-containing fireproofing materials, Environ. Sci. Technol., 34(11), 2293-2298 (2000). 

  15. (a) M. H. Hong, S. Y. Joo, S. Kim, C. H. Lee, D. W. Kim. and J. H. Yoon, Asbestos-containing waste detoxification by a microwave heat treatment using silicon carbide as an inorganic heating element, J. Mater. Cycles and Waste Manag., 22, 826-835 (2020) 

  16. (b) M. H. Hong, H. M. Choi, S. Y. Joo, C. G. Lee, and J. H. Yoon, Study on the detoxification of asbestos-containing wastes (ACW) using SiC plate, J. Korean Inst. Resour. Recycl., 29(1), 35-42 (2020). 

  17. A. F. Gualtieri, C. Cavenati, and I. Zanatto, The transformation sequence of cement-asbestos slates up to 1200 $^{\circ}C$ and safe recycling of the reaction product in stoneware tile mixtures, J. Hazard. Mater., 152(2), 563-570 (2008). 

  18. (a) Y-H. Lee, S. H. Lee, I-H. Hwang, S-Y Choi, S. M. Lee, and S. S. Kim, A study on the calcium ion extraction for PCC production, Appl. Chem. Eng., 29(1), 43-48 (2018) 

  19. (b) Y-H. Lee, J. Kim, and S. S. Ki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lcium ion separation by adding acidic/basic reagents, Appl. Chem. Eng., 31(1), 103-107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