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차 산업 체험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Experience of 6th Industry 원문보기

벤처혁신연구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v.3 no.1, 2020년, pp.117 - 142  

최양애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차 산업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모형은 Schmitt 체험이론을 기반으로 재구성한 새로운 변수들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독립 변수, 종속변수에 6차 산업 맥락에 맞게 변수를 추가해서 모델을 확장해서 사용하였다. 독립 변수는 6차 산업 체험에 있어 체험을 하게 하는 유인 요인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또한, 체험을 결정하지 못하게 하는 계류 요인을 사용하였다. 매개 변수는 신뢰성을 사용하였다. 조절 변수는 체험에 있어 중요한 성별, 가구 구성을 사용하였다. 종속변수에는 체험 의향으로 설정하였다.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Schmitt 체험이론을 바탕으로 유인 요인인 인지적 요인, 정서적 요인, 사회적 요인은 체험 의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계류 요인은 체험 의향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신뢰성은 6차 산업 체험 의향에 있어 매개를 할 것이다. 성별과 가구 구성은 조절 효과가 있을 것이다. 설정된 연구 모형의 실증적인 검정 및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서 6차 산업 체험자 및 잠재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14부의 유효한 응답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통계분석은 SPSS 24, AMOS 23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연구 가설을 검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인 요인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은 체험 의향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계류 요인은 체험 의향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신뢰성은 유인 요인인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요인에 부분 매개를 하였다. 넷째, 남녀 간에 경로 차이에서 인지적 요인과 계류 요인은 남녀 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사회적 요인과 계류 요인은 가구 구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에 있어서 기존의 유인 요인 위주의 분석에서 나아가 심리적 요인인 계류 요인도 체험 의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정하였고, 본 연구에서 응용된 Schmitt의 체험 모형이 유용한 분석의 틀이 될 수 있음을 검정하였다. 실무적으로는 6차산업 체험을 위해 어떠한 요소에 전략적으로나 마케팅적으로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6th industry experience by Schmitt experience model. The newly introduced variables are the cognitive experience, emotional experience, and social experience that are reconstructed based on Schmitt's experience theory and gender, fami...

주제어

표/그림 (2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차 산업이란? 6차 산업의 주무 부서인 농림축산식품부(2013)는 6차 산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6차 산업이란 농·어·산촌의 유·무형자원(1차산업)을 활용하고, 식품, 지역 특산품 제조 가공 등의 2차 산업 및 서비스 산업인 3차 산업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산업이다. 즉, 생산, 가공 및 관광이 접목된 산업을 통칭한다.
체험 트렌드를 나타낸 용어인 START에서 각 철자의 의미는 무엇인가? 한국관광공사(2018)에 의하면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체험 트렌드를 START라는 약어로 표현했다. 첫째, S(Staycation)는 당일치기 여행과 도심 속 휴양지와 근거리 여행을 의미한다. 도시민들은 바쁜 일상에서도 잠깐의 휴식과 힐링을 즐기려고 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T(Travelgram)는 SNS를 통한 여행 인스타그램이다. 여행 인스타그램의 한국 내 월간 사용자는 1천만 명이고 2016년 대비 2017년 버즈량은 6배 증가하였다. 이는 단순한 기념용 사진이 아니라 인생 샷, 스냅 샷 찍기를 통해서 개인의 여행에 스토리를 입히는 것이다. 셋째, A(Alone)는 혼행 즉 나홀로 여행이다. 1인 가구 500만 시대의 트렌드를 반영한다. 혼밥이나 혼술의 분위기를 넘어서 나홀로 여행까지 자유롭게 일상을 탈출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넷째, R(Regeneration)은 도심 재생 콘텐츠이다. 도시 재생과 마을 단위, 시장 등 지역의 역사와 문화 등을 적절히 배합한 지역 밀착형 콘텐츠 여행 트렌드를 반영한다. 다섯째, T(Tourist sites in TV programs)는 여행 예능의 활약에 드라마, 영화 등의 촬영지뿐만 아니라 전문 테마 여행 프로그램도 인기를 끌면서 이러한 장소들이 많이 알려지고 선호하는 관광지가 되고 있는 현상이다. 이는 만족도 측면에서 TV 속 여행지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나고 긍정적인 여행 후기뿐만 아니라 여행지 선택에 대한 실패 가능성을 낮추기 때문으로 보인다.
감각 마케팅에서 자극하는 5가지 감각은 무엇인가? 체험 마케팅의 틀을 구성하는 고객체험 마케팅 유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감각 마케팅(sense marketing)은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 오감을 자극하여 감각적 체험을 창조하는 것으로 고객의 다섯 가지 감각에 호소한다. 감성 마케팅(feel marketing)은 브랜드와 연관된 다소 긍정적인 감정에서부터 즐거움과 자부심 같은 강한 감정에 이르기까지 감성적 체험 창출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사람들의 느낌과 감정에 호소하는 활동이다(Schmitt,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6)

  1. 관계부처합동(농림축산식품부)(2017), 쉼터가 있는 삶, 사람이 있는 관광. 

  2. 강덕봉(2018), 농어촌 체험활동과 체험가치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체험경험 횟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대학원 

  3. 권영미(2010), 농촌관광 체험품질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4. 권영현, 김의준(2013), "우리나라 숙박관광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도시행정학보, 26(4), pp. 151-169. 

  5. 고호석(2018), "농.어촌체험마을 방문객의 농어촌관광 체험요인이 농어촌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연구 : 경상남도 농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0(11), pp. 43-60. 

  6. 곽효용,김형곤,이수진(2010), "친숙도가 선호도, 위험지각, 관광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10), pp. 378-388. 

  7. 김기현, 최연화, 윤유식(2015), "외국인 관광객의 농촌관광 선택속성에 따른 만족도 및 충성도 연구," 관광연구, 30(3), pp. 21-40. 

  8. 김복순, 정호찬, 이소연(2005), "가족여행 의사결정에 있어서 자녀의 영향력", 관광학연구, 29(2), pp. 215-234 

  9. 김승규,이항아,김태균(2016), "경북지역 사과 6차 산업화를 위한 체험관광 잠재수요 추정," 관광연구, 31(2), pp. 185-201. 

  10. 김유열(2017), 농업 6차산업의 유형에 따른 ICT.BT 융.복합 활용이 농업경영체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11. 김은아, 김태균(2017), "소비자 제품체험유형이 온라인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과 소비자 특성의 조절효과 - 온라인 블로그 마케팅 중심으로 -", 브랜드 디자인학 연구, 15(1), pp. 81-92. 

  12. 김지학(2019), 국민의 여행지 선택 이유와 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3. 김태중, 정지명, 이승로(2017), " 기술수용모델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적용한 스포츠 웨어러블 스마트기시 수용의도 예측 :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체육과학연구, 28(4), pp. 899-916. 

  14. 노용호, 조록환(2006), "농촌관광자의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관광레저학회, 18(2), pp. 281-300. 

  15. 다나구찌 기요미, 김현지(2019), "6차산업화 농업지역의 관광체험이 브랜드자산과 장소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일본근대학회, 65(10), pp. 233-258. 

  16. 명유진(2017), 체험경제이론을 이용한 템플스테이참가자의 만족도 연구- 지각된 가치, 신뢰성, 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17. 박미옥(2017), "21세기 녹색혁명, 6차산업형 정책사례 연구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8(2), pp. 111-144. 

  18. 박수경, 유미옥, 전재균(2019), "한복 체험마케팅이 관광객의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3), pp. 1425-1437. 

  19. 박소진, 손상희, 정길영(2017), "지역특산물 브랜드체험이 브랜드지식, 구매의도, 관광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도와 인터널을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5(1), pp. 27-45. 

  20. 박재동.이상호.장우환(2016), "농촌체험관광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지원농업에 대한 소비자 참여요인 분석", 동북아관광학회, 12(4), pp. 165-179. 

  21. 박정아, 김병국(2017), "농촌관광 체험의 치유효과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1(2), pp. 83-92. 

  22. 박지수, 김재민, 김기성(2014), "지역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농촌마을의 활성화 방안,"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 초록집, pp. 165-165. 

  23. 박현선, 김상현(2018), "스마트 가전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ush-Pull-Mooring의 관점". 한국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2), pp. 127-137. 

  24. 성귀만, 이갑두(2014), "농촌체험마을의 체험유형과 운영특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영학회 경영학관련 통합학술대회 논문집, 2, pp. 176-198. 

  25. 송명수(2018), 6차 산업형 관광농원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대학원. 

  26. 심상오, 박경배, 신동(2016), "농촌 체험마을 성공사례 비교 분석을 통한 친환경 관광 창업 현황과 성공요인 분석", 글로벌경영학회지, 13(1), pp. 377-405. 

  27. 송지준(2016),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 방법, 서울 : 21세기사. 

  28. 심윤정, 서철승, 이동명(2017), " 모바일 뱅킹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공학회지, 22(3), pp. 63-81. 

  29. 윤경구, 금은영, 신원학(2013), 번 슈미트의 체험 마케팅, 서울 : 김엔김북스. 

  30. 육슬기, 엄서호(2015), "방문자 관계체험이 관광 후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78(3), pp. 517-526. 

  31. 윤세남(2015), "농촌체험관광에 따른 삶의 질 인식이 농촌관광 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Tourism Research, 40(1), pp. 105-120. 

  32. 윤설민, 이충기(2018), "체험마케팅의 개별적 체험과 공유적 체험을 활용한 고궁 방문객에 대한 확장된 가치-태도-행동 체계 분석", 관광연구, 33(7), pp. 83-100. 

  33. 이경렬, 이경아(2016), "체험마케팅의 세 가지 접근방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동향", 조형미디어학, 19(4), pp. 131-139 

  34. 이병오(2015), "농업 6차산업화의 발전방향과 핵심 과제", 차문화산업학, 30, pp. 67-96. 

  35. 이상훈.류시영(2016), "체류형 농촌방문객의 방문동기에 따른 숙박시설 선택속성과 체험활동 선호도 차이분석", 한국관광학회, 40(10), pp. 61-78. 

  36. 이상호.박재동.이기웅(2018), "경북지역 농업인의 6차 산업 참여 요인 분석", 동북아관광학회, 14(1), pp.57-67. 

  37. 이형주, 서지연, 윤경화(2013), "국내브랜드와 국외브랜드 커피전문점에서의 체험이 서비스 접점 요인, 고객만족,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 신뢰의 조절역할 중심으로 -:,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6(3), pp. 197-227. 

  38. 양석준(2018), "친환경 여행상품 구성 요인의 가치 인식에 관한 연구 - 농촌융복합산업 관광상품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집(2018), pp. 19-25. 

  39. 이정규, 양정임(2016), "농촌관광체험객의 가치관에 따른 농산물 가공상품 세분시장 특성과 선택속성 및 재구매의도 분석: 6차산업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8(10), pp. 149-168. 

  40. 우종필(2017),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출판사. 

  41. 유광민, 김기완(2009),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농촌관광 동기, 농촌관광지 선택요인, 농촌체험관광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분석", 관광학연구, 33(4), pp. 403-426. 

  42. 윤설민, 이충기(2017), "체험마케팅 관점에 따른 만족도, 신뢰, 그리고 지지도에 대한 지역축제 방문객의 반응", 서울도시연구, 18(4), pp. 53-67. 

  43. 윤성준, 김영미, 이형주(2012), "화장품 제품의 구매동기, 구매체험, 충동구매에 있어서 성별차이와 관여도의 조절효과", 문화산업연구, 12(1), pp. 1-26. 

  44. 윤유식, 양정임, 장양례(2013), "6차산업 농어촌관광마을 선택속성 세분시장에 따른 체험프로그램 선호도 및 행동의도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0(3), pp. 755-777. 

  45. 이중배(2018), Push-Pull-Mooring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성숙기 제품의 재구매의도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46. 정병규, 동학림(2019),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 AR)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벤처창업연구, 14(3), pp. 153-168. 

  47. 정병규, 최양애(2019), "6차산업 체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별의 차이를 포함하여 -", 기업경영연구, 26(5), pp. 119-140. 

  48. 정지심,오미해,한희섭(2015), "항공사 업계에서의 고객 전환행동의 이해 : push- pull-mooring 관점에서", 호텔경영학연구, 24(1), pp. 261-280. 

  49. 조철호(2017), SPSS/AMOS 활용 구조방정식모형 논문 통계분석, 서울 : 도서출판청람. 

  50. 전현정, 이광민(2019), "농촌체험관광 프로그램 참여도와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34(6), pp.1-25. 

  51. 최양애, 정병규(2019), "확장된 PPM 모델을 적용한 6차산업 체험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22(4), pp. 1-12. 

  52. 최양애, 정병규(2019), "농.어.산촌 체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체험유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벤처혁신연구, 2(2), pp. 21-39. 

  53. 최해용, 윤유식, 박재덕 (2014), "6차산업으로서 농촌체험관광의 선택속성과 체험 프로그램 선호도가 농촌관광 행동의도 및 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8(2), pp. 185-198. 

  54. 한광식, 조성호(2016), "6차산업에서의 농촌체험관광 동기와 선택속성, 관광만족 및 재방문의도간의 구조적관계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18(3), pp. 40-64. 

  55. 한진영, 지계웅(2011),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 가족의사결정 유형이 관광 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0(1), pp. 173-186. 

  56. 황재희, 이성우(2016), "농업의 6차산업화 융복합 유형과 농가 소득 증대 효과," 농촌경제, 39(4), pp. 1-28. 

  57. 농림축산식품부 www.mafra.go.kr 

  58. 6차산업 www.6차산업.com 

  59. 한국관광공사 www.visitkorea.or.kr 

  60. 문화체육관광부 www.mcst.go.kr 

  61. 농림축산식품부 교육문화정보원 www.epis.or.kr 

  62. Bansal, H. S., S. F. Taylor, and Y. S. James(2005), "Migrating to New Service Providers : Toward a Unifying Framework of Consumers' Switching Behavior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33(1), pp. 96-115. 

  63. Bodet, G.(2008),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in Service : Two Concepts, Four Constructs, Several Relationships",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15(3), pp. 156-162. 

  64. Cheng, S., S. J. Lee, and B. J. Choi(2019),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Users' Voluntary Switching Intention for Mobile Personal Cloud Storage Services based on the Push-Pull-Mooring Frame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92, pp. 198-215. 

  65. Chuah, S. H., P. A. Rauschnabel, M. Marimuthu, R. Thurasamy, and B. Nguyen(2017), "Why Do Satisfied Customers Defect? A Closer Look at the Simultaneous Effects of Switching Barriers and Inducements on Customer Loyalty", Journal of Service Theory and Practice, 27(3), pp. 616-641. 

  66. Collins, D., and C Tisdell(2002), "Gender and Differences in Travel Life Cycl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1(2), pp. 133-143. 

  67. Davos Forum(2019), "The Experience Economy is Booming, but It Must Benefit Everyone," https://www.weforum.org/agenda/2019/01/the-experience-economy-is-booming-but-it-must-benefit-everyone/ 

  68. Dick, A., and K. Basu(1994), "Customer Loyalty : Toward an Integral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 pp. 99-113. 

  69. Fan, W., and L. Zhang(2019), Does Cognition Matter? Appling the Push-Pull-Mooring Model to Chinese Famers' Willingness to Withdraw from Rural Homesteads, https://doi.org/10.1111/pirs.12462, Papers in Regional Science, pp. 1-15. 

  70. Hair, J. F.,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5th ed.), Englewood Cliffs : Prentice-Hall. 

  71. Hsieh, J. K., Y. C. Hsieh, H. C. Chiu, and Y. C. Feng(2012), "Post-Adoption Switching Behavior for Online Service Substitutes : A Perspective of the Push-Pull-Mooring Framewor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5), pp. 1912-1920. 

  72. Hu, H., J. Zhang, C. Wang, P. Yu, and G. Chu(2019), "What Influences Tourist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Zero Litter Initiative in Mountainous Tourism Areas : A Case Study of Huangshan National Park,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57, pp. 1127-1137. 

  73. Jung, J., H. S. Han, and M. H. Oh(2017), "Travelers' Switching Behavior in the Airline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sh-Pull-Mooring Framework", Tourism Management, 59, pp. 139-153. 

  74. Lee, E. S.(1966), "A Theory of Migration", Demography, 3(1), pp. 47-57. 

  75. Lee, I. S.(2010), "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Brand Loyalty in Local Festival",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12), pp. 406-414. 

  76. Levitt, J. A., F. Meng, P. Zhang, and R. B. DiPietro(2019), "Examining Factors Influencing Food Tourist Intentions to Consume Local Cuisine",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9(3), pp. 337-350. 

  77. Mehrad, D. and S. Mohammadi(2017), "Word of Mouth Impact on the Adoption of Mobile Banking in Iran", Telematics and Informatics, 34, pp. 1351-1363. 

  78. Moon, B.(1995), "Paradigms in Migration Research : Exploring 'Moorings' as a Schema",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9(4), pp. 504-524. 

  79. Oliver, R.L.(1999), "Whence Custo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63, pp. 33-44. 

  80. Schmitt, B.(1999), Experiential Marketing : How to Get Customers to Sense, Feel, Think, Act and Relate to Your Company and Brands, NY : The Free Press. 

  81. Singh, R., J. Singh(2019), "Destination Attributes to Measure Tourist Revisit Intention: A Scale Development", Global Business Review, 20(2), pp. 549-572. 

  82. Sun, J.(2014), "How Risky Are Service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erceived Risk for Hotel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37, pp. 171-179. 

  83. Velazquez, B. M., I. G. Saura, and M. E. R. Molina(2011),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Loyalty : Towards a Conceptual Model of Tourist Loyalty Antecedents", Journal of Vacation Marketing, 17, pp. 65-81. 

  84. Venkatesh, V., J. Y .L. Thong, and X. Xu(2012),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MIS Quarterly, 36(1), pp. 157-178. 

  85. Zaltman, G.(2003), How Consumers Think, Boston :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86. Zhang, K. Z. K., C. M. K. Cheung, M. K. O. Lee, and H. Chen(2008), "Understanding the Blog Service Switching in Hong Kong : An Empirical Investigation", Proceedings of the 41st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22, pp. 1530-16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