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직교반히터 및 시설물 제어를 위한 통합 제어기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ontroller to the Control Vertical Agitation Heater and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15 no.4, 2020년, pp.753 - 758  

김진하 (순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유승혁 (전자부품연구원) ,  김응곤 (순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수직교반히터를 시설하우스에 적용하고, 그 외 시설물(순환팬, 환기팬, 개폐 모터를 이용한 창문, 천장, 제습)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작물의 재배 효율을 올리고 무가온 저장고나 저장창고 등이 보유한 수확물의 보관 환경을 개선하여 저장 기간 및 신선도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또한 ICT 모니터링 기술을 추가하여 사용자가 RTC(: Real Time Control)로 재배 및 저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문제가 생겼을 시에 손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intend to develop a control system that can apply the developed vertical stirring heater to the facility house and control the other facilities (circulating fan, ventilation fan, window using a switching motor, ceiling, and dehumidification).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increas...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수직 교반형 면상 카트리지 히터 시스템을 시설하우스에 적용하고, 그 외 시설물(순환팬, 환기팬, 개폐 모터를 이용한 창문, 천장, 제습)을 통합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것은 온실 및 시설 하우스 등의 상하 온도편차를 해소하고 작물의 생장속도를 균일화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면상 카트리지 히터 시스템은 어떤 구조인가? 면상 카트리지 히터 시스템은 전기 히터 제어 시스템을 말하며 상부의 팬과 모터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히터부에 의해 데워진 후 직접적으로 플라즈마 발생부로 전달하여 공급된 공기의 살균작용을 거친후 하단부에 설치된 주름관과 나팔 구조의 공기바람 판을 통해 전 방향으로 외부로 공급하는 구조이다. 시설 하우스와 무가온 저장고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면상 카트리지 히터 시스템의 송풍부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면상 카트리지 히터 시스템의 송풍부는 송풍모터, 송풍팬, 모터 브라켓으로 구분되고 난방열을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그림 1은 모터 브라켓 전면부/후면부이며 그림 2는 송풍 모터이다.
플렉시블 주름관 고정 하우징은 2가지 타입이 존재하는데, 그것은 무엇인가? 와이어 드럼 및 플렉시블 주름관의 높이 조절을 위해 중앙부에 와이어 드럼과 공기 바람판의 연결부가 있으며 설치 공간및 재배 작물의 환경에 따라 플렉시블 주름관 고정 하우징은 2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오픈형 타입은 360 전방향 오픈이 된 형태이며 사방으로 난방열 또는 공기가 배출되는 형태이다. 가이드형 타입은 양측면의 30공간에 난방열 도는 공기의 배출을 막는 형태로 일정 풍속 이상의 바람에 스트레스 받는 작물이나 난방 열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작물들의 피해를 우려한 형태이다. 그림 4과 5는 각각 오픈형 고정 하우징, 가이드형 고정 하우징의 모습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Y. Seo, W. Lee, Y. Kim, S. Chung, Y. Jamg, S. Jang, and I. Bae, "Basic Tes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Dehumidifier Combined with Heater Prototype Inside the Facility,"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22, no. 2, 2017, pp.22 

  2. Y. Pack, S. Baek, J. Lim, M. Kim, and J. Lee, "Present Status of Smart Greenhouses Growing Fruit Vegetables in Korea: Focusing Managemen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ests in Greenhouses," The Korean Journal of the Applied Entomology, vol. 59, no.1, 2020, pp.55-64 

  3. H. Seo, B. Soon, C. Kim, and M. Kim, "Agricultural sector prospect model KREI-KASMO 2019 operation and development research,"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Kyobobook 2020, pp.1-314 

  4. E. Kim, Y. Ahn, and K. Pack, "Automatic Control System of Vertical Agitation Heater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Greenhouse"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Vol. 10, No. 5, 2015, pp.623-628 

  5. H. Kim, K. Woo, C. Jo, S. Lee, B. Lee, J. Lee, Y. Lee, Y. Jeon, and B. Lee, "The Optimal design of vertical typed mixer system based-on the coupling analysis of XFlow-CAESES," The Korean Society Of Visualization, vol. 2015, no. 12, 2015, pp.158-167 

  6. M. Yang, W. Nam, N. Bang, J. Hwang, K. Lee ,and Y. Kim, "Development of greenhouse environment control algorithms for ICT-based smart farm,"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vol. 2018, no.-, 2018, pp. 120 

  7. W. Ahn and H. Lee,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Cultivation Environment of Crop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ing, vol. 20, no.11, 2167-2171 

  8. H. Lee, S. Kim, and H. Kim"The Analysis Methods Based on Patent Citation Networks for the Convergence Technologies Development Planning : A Case of Smart Factory's ICT Technologies,"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9, no. 1, 2018, pp.34-47 

  9. Y. Jeong and Y. Bae, "Study on Security Measures of e-Gov with Dynamic ICT Ecosystem,"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18, no. 6, 2014, pp.1249-1254 

  10. S. Pack and C. Hwang, "Optimal Calculation of Size of Harbor Facility ensuring Maximum Resident's Participation using SNS and IC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9, no. 10, 2014, pp.1153-11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