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동온실 내 공기순환팬 사용에 따른 온습도 및 에너지소비량 비교 분석
Analysis of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s and Energy Consumptions according to Use of Air Circulation Fans in a Single-span Greenhouse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6 no.4, 2017년, pp.276 - 282  

이태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강금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김형권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문종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오성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권진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방울토마토 재배 단동온실에 공기순환팬을 설치하고 공기순환팬이 온실 내 온도 및 습도 분포,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기순환팬은 날개 크기 230mm의 Stainless 팬으로, Lee 등(2016)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시험구 온실에 9m 간격으로 총 18대를 설치하였다. 온실 내부 온습도는 온실 길이방향으로 4등분하여 1/4 지점과 3/4 지점의 중앙에 센서를 설치하고 0.8m, 1.8m 높이 2곳의 온습도를 난방을 주로 하는 야간(오후 6시~다음 날 오전 7시)에 5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에너지소비량은 각 온실에 위치한 온수펌프의 유량, 온수 출수부와 환수부의 온도차를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공기순환팬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측점 간 온도차 및 습도차의 평균값은 $0.75^{\circ}C$, 2.19%였으며 공기순환팬 사용 시 측점 간 온도차 및 습도차의 평균값은 $0.42^{\circ}C$, 1.27%로 감소하였다. 공기순환팬 설치 온실과 미설치 온실의 누적 에너지소비량은 각각 4,673kWh, 4,009kWh로 공기순환팬 설치 온실에서 약 14.2%의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온실 내 공기순환팬 사용은 공기를 지속적으로 교반시켜 주어 온실 전체의 온도 및 습도를 균일하게 만들고, 공기의 온도가 빠르게 변하지 않도록 해주어 난방 장치의 가동 시간과 에너지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air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 and energy consumptions according to using air circulation fans in single-span greenhouses. The greenhouses located in Cheongnam-myeon, Cheongyang-gun, Chungcheongnam-do, Korea. There were cherry tomatoes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방울토마토 재배 단동온실에 공기순환팬을 설치하고 공기순환팬이 온실 내 온도 및 습도 분포,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기순환팬은 날개 크기 230mm의 Stainless 팬으로, Lee 등(2016)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시험구 온실에 9m 간격으로 총 18대를 설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청양군 청남면에 위치한 방울토마토 재배 단동온실에 공기순환팬을 설치하고 공기순환팬이 온실 내 온도 및 습도 분포,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2%의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였다. 이는 온실 내 설치한 공기순환팬이 난방 장치의 가동시간 또는 횟수에 영향을 주어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되며, 정확한 분석을 위해 난방 장치의 온도 센서가 위치한 곳에 설치한 K타입 열전대의 온도 변화와 온실 내부온도를 살펴보았다. 온도 변화는 동일한 조건이었던 2월 3일~4일, 에너지소비량 차이가 크게 난 3월 2일~3일의 데이터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 내의 공기의 유동률을 높여 공기순환을 할 때의 어떤 효과가 있는가? 온실 내부 환경의 불균일을 해소하는 방법 중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공기의 유동률을 높여 공기순환을 유도하는 방법이다(Koths와 Bartok, 1985; Yu 등, 2007). 온실 내 공기순환은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을 균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물의 광합성을 촉진시키기도 하고, 작물 생장 중에 발생하는 습해를 예방하며 여름철 작물과 작업자가 고온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겨울철에는 난방 시 필요한 연료의 소비도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Baba, 2010; Kuroyanagi, 2016).
온풍난방 방식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인가? 3%가 온풍난방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MAFRA, 2016). 온풍난방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많은 연구에서 논의된 바 있으며, 그 중 난방기에서 공급된 공기가 온실 상부에 정체되거나 덕트 이용시 열손실로 인해 온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가장 큰 문제로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온도와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온실 내부의 환경이 고르지 못하도록 하며, 온실 내부 환경이 고르지 못해 나타나는 작물의 불균일한 성장은 수확량 감소와 관수 및 시비 등의 재배 관리를 어렵게 만든다(Bakker, 1990; Nam과 Kim, 2009).
온실 내부 환경의 불균일을 해소하는 방법 중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는 온도와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등 온실 내부의 환경이 고르지 못하도록 하며, 온실 내부 환경이 고르지 못해 나타나는 작물의 불균일한 성장은 수확량 감소와 관수 및 시비 등의 재배 관리를 어렵게 만든다(Bakker, 1990; Nam과 Kim, 2009). 온실 내부 환경의 불균일을 해소하는 방법 중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공기의 유동률을 높여 공기순환을 유도하는 방법이다(Koths와 Bartok, 1985; Yu 등, 2007). 온실 내 공기순환은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을 균일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작물의 광합성을 촉진시키기도 하고, 작물 생장 중에 발생하는 습해를 예방하며 여름철 작물과 작업자가 고온으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aba, M. 2010. Air circulator. Nogyo Gijutsu Taikei(Survey of agricultural technology. environment control, flower) 3:546-549 (in Japanese). 

  2. Bakker, J.C. 1990. Effects of day and night humidity on yield and fruit quality of glasshouse tomatoes. J. Hort. Sci. 65(3):323-331. 

  3. Fernandez, J.E. and B.J. Bailey. 1994. The influence of fans o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reenhousees. J. Agric. Engng. Res. 58:201-210. 

  4. Ishii, M., L. Okushima, H. Moriyama, Y. Furihata. 2012. Influence of circulation fans on the distribution of air temperature and air velocity in a greenhouse. J. SHITA 24:193-200. 

  5. Jee, H.J., K.Y. Ryu, J.H. Park, D.H. Choi, G.H. Ryu, J.G. Ryu and S.S. Shen. 2008. Effect of COY(Cooking Oil and Yolk mixture) and ACF(Air-circulation Fan) on control of powdery mildew and production of organic lettuce. Res. Plant Dis. 14(1):51-56. 

  6. Koths, B.J. and J.W. Bartok. 1985. The greenhouse Environment. John Wiley & Sons. INC. 

  7. Kuroyanagi, T. 2016. Current usage of air circulation in greenhouses in Japan. Japan agricultural research quarterly. 50(1):7-12. 

  8. Lee, T.S, G.C. Kang, Y. Paek, J.P. Moon, S.S. Oh and J.K. Kwon. 2016. Analysi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distributions according to arrangements of air circulation fans in single-span tomato greenhouse. Protected Hort. Plant Fac. 25(4):277-282. 

  9. Matsuura, S., S. Hoshino, T. Kawaguchi. 2004, Effect of horizontal air flow by circulation fan on the disease incidence, growth and yield of tomato forcing culture in vinyl-house. Hiroshima Kenritsu Nougyou Gijutsu Center Kenkyu Houkoku( Bulletin of the Hiroshima Prefectural Agriculture Research Center), 76:11-17. 

  10. 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MAFRA). 2016. 2015 Vetgetable Greenhouse Status and Vegetable Production. Sejong, Korea. 

  11. Nam S.W. and Y.S. Kim. 2009. Analysis on the uniformity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ccording to environment control in tomato greenhouses. J. Bio-Env. Con. 18(3):215-224. 

  12. Yu, I.H., M.W Cho, S.Y. Lee, H. Chun, and I.B. Lee. 2007. Effects of circulation fans on uniformity of meteorological factors in warm air heated greenhouse. Protected Hort. Plant Fac. 16(4):291-2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