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 문화유산교육 현황과 지속가능한 교육과정 방안 제안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ourses - Current Statu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Proposal of Sustainable Education Courses - 원문보기

커뮤니티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Community Education Facilities, v.27 no.2, 2020년, pp.57 - 68  

노경민 (International Heritage Education Center,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propose the methodology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and the model of the curriculum for each education subject.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related to c...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문화유산교육 전반의 문제점과 융합교육을 통한 지속가능한 방향성에 대해서 제시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교육계획보다는 현황과 문제점, 방향설정과 방향에 따른 해외 사례조사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프로그램 모델을 활용하여 실질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본지침과 필요 교과목, 이수학점 등 융합교과과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별 문화유산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화유산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교육방향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문화유산 교육혁신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하여 문화유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성 설정 및 적용가능한 해외 사례조사로 구성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의 범위는 정규학제에 의한 학위과정부터 워크숍, 교육 · 체험 프로그램 등의 비정규 교육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세 가지 지속가능한 교육방향을 제시하였고, 적용할 수 있는 사례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는 일반 시민 대상으로 한 체계성과 활용성을 갖춘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교육대상자별 문화유산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분석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교육 방향성 제시하고, 사례 검토를 통해 일반 시민부터 학생, 문화유산 전문인력의 역량을 강화하여 미래문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교육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장에서는 앞 장에서 분류한 교육대상자별로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교육방향을 설정하고, 적용가능한 교육사례를 검토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앞 장에서 언급한 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방향성을 적용하여 교육대상자별로 문화유산 수리기술분야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Figure 6).
  • 일반 시민 대상으로 체계성과 활용성을 갖춘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을 검토하고, 대학생 및 대학원 대상으로는 교육기관 간의 컨소시엄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역량 프레임워크(CF)을 활용한 교육과정을 검토하며, 실무자 대상으로 재교육의 활용성을 증대한 지속가능한 문화재 직무교육체계 구축을 통해 문화유산의 미래지향적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세 번째,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성과 순환적 교육모델을 반영하여, 대상자별 문화유산 수리기술분야의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한국에서 문화유산 분야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2017년 3월에 『아시아-태평양 문화유산 보존·복원을 위한 역량강화』의 주제로 유네스코와 협약을 체결하였다. 이러한 문화유산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국내외 문화유산과 관련된 전공을 가진 대학 간의 컨소시엄을 제안한다.
  • 문화유산 교육과정이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문화재관련 정부기관, 지자체와 교육기관 등의 교육시행기관, 실무자와 사업체, 시민 및 시민단체 등 4개의 구성원(체)가 기존의 상하 수직(Top-down) 방식의 교육관계가 아니라, 순환적 관계를 가져야만 지속가능한 문화유산 교육모델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기간과 콘텐츠에 따라 수리기술분야의 문화유산 교육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 두 번째, 교육대상자별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사례검토를 진행하고자 한다. 일반 시민 대상으로 체계성과 활용성을 갖춘 문화유산 교육과정 개발을 검토하고, 대학생 및 대학원 대상으로는 교육기관 간의 컨소시엄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역량 프레임워크(CF)을 활용한 교육과정을 검토하며, 실무자 대상으로 재교육의 활용성을 증대한 지속가능한 문화재 직무교육체계 구축을 통해 문화유산의 미래지향적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세 번째,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성과 순환적 교육모델을 반영하여, 대상자별 문화유산 수리기술분야의 교육과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문화유산교육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화유산교육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유산 교육현황을 일반 시민, 대학생 및 대학원생, 실무자 대상으로 구분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두 번째, 교육대상자별 문화유산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사례검토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pecialization of Traditional Culture Professional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2011 

  2. Park, Dong-Seok, An Overview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Chungju: Sesangmansan, 2018 

  3. Lee, Ji-Hun, Educational Studies: An Introduction, Seoul: Hakjisa, 2019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 Study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6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10th Anniversary of Local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Project,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8 

  6.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ultural Heritage Guardian Guidebook,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9 

  7.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peration Manual for Cultural Heritage Care Project, Daejeo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 

  8. Oh, Hun-Seok, Interdisciplinary Researchers: How Did They Cross the Boundaries and Do Interdisciplinary Research,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3, No. 4, pp.297-335, 2012 

  9. Kim, Ja-Woong, Research on Academic System Improvement and Credit Exchange Revitaliza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6 

  10. Noh, Young-Soon,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UN SDGs) and Ways to Respond to Cultural Policies, Seoul: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