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 앞산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of Apsan Park in Daegu,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4, 2020년, pp.365 - 397  

장정걸 (대구수목원) ,  유성태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김병도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권혜연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  이명훈 (대구수목원 교육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시 앞산공원 일대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39회에 걸쳐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14과 382속 619종 5아종 77변종 12품종 5교잡종 3재배품종 등 총 7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23분류군: 멸종위기종(CR) 왕벚나무 1분류군, 위기종(EN) 깽깽이풀 및 애기자운2분류군, 취약종(VU) 왜박주가리 및 멱쇠채 등 8분류군, 약관심종(LC) 가침박달 등 11분류군 및 자료부족종(DD) 옥녀꽃대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특산식물은 진범, 외대으아리, 노랑갈퀴 등 1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지정 구계학적특정식물 98분류군: V등급 구상난풀 1분류군, IV등급 사철고사리 등 11분류군, III등급 바위손 등 24분류군, II등급오리나무 등 18분류군 및 I등급 큰꽃으아리 등 4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으로 이 중 생태계교란외래식물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및 가시상추 3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도시화지수는 17.76%, 귀화율은 7.91%로 대구 인근지역 주요 산지 및 과거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다소 높은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을 보였다. 이는 도심지와 가까워 접근성이 좋고 연간천만 이상의 시민이 이용하고 있어 수많은 산책로가 개설되는 등 사람들의 왕래가 잦아지면서 귀화식물의 유입이 많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자생식물들의 위협이 될 우려가 있어 생태계교란외래식물을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등의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Apsan park, we surveyed from April in 2018 to October in 2019. The flora of Apsan park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721 taxa comprising of 114 families, 382 genus, 619 species, 5 subspecies, 77 varieties, 12 forma, 5 hybrid, 3 cultivatio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8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기존 연구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앞산공원 일대를 지형별 등산로 코스에 따라 6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3계절에 걸쳐 코스별로 최소 3회 이상의 현장 조사 후 표본을 수집하고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였다.
  • 본 연구는 대구시 앞산공원 일대 관속식물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는 2018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39회에 걸쳐 수행하였고, 확인한 관속식물은 114과 382속 619종 5아종 77변종 12품종 5교잡종 3재배품종 등 총 7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 앞산공원 일대를 지형별 등산로 코스에 따라 6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3계절에 걸쳐 코스별로 최소 3회 이상의 현장 조사 후 표본을 수집하고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였다. 이를 통해 대구시 앞산공원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들을 확인하고 특징적인 식물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앞산 공원지역의 보전활동에 필요한 비교 가능한 정보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호지역의 관리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는? 보호지역에서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생태계의 현황을 확인하고 과거 연구 자료와 비교분석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관리의 적절성을 파악하는 것은 관리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Chae et al., 2017, 2019; Elzinga et al.
대구를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산은? 한반도 동남부 내륙에 위치한 대구는 북위 35°36′~ 36°01′, 동경 128°21′~ 128°46′사이에 입지하며, 북쪽의 팔공산(1,193 m), 남쪽의 대덕산(584 m)과 비슬산(1,083 m)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다(Daegu Metropolitan City, 2018). 대구시의 남쪽에 위치한 앞산공원은 주봉인 앞산정상(660.
연평균 이용객 1000만명이 넘는 도시근교 자연공원이 될 수 있었던 앞산공원의 특징은? kr). 도심에서 5 ㎞ 이내에 위치하고 있어 시민들의 접근성이 좋고(http://www.daegu.go.kr), 케이블카와 다양한 산책로, 체육시설, 사찰, 음수대 등이 사면하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연평균 이용객 1,000만 명이 넘는 도시근교 자연공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Chae, H.H., H.U. Ji, J.H. Min and Y.C. Kim. 2017. Report on the monitoring of special protection zone in Odaesan national park - Iris odaesanensis Y.N. Lee, Paeonia obovata Maxim. J. Leis. Res. 8:8-23 (in Korean). 

  2. Chae, H.H., Y.C. Kim, K.S. Lee, G.H. Nam, S.R. Lee, Y.J. Lee and Y.K. Lee. 2019.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Korean J. Environ. Ecol. 33(2):131-167 (in Korean). 

  3. Cho, Y.H. J.H. Kim and S.H. Park. 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527 (in Korean). 

  4. Choi, B.S., D.Y. Song, C.G. Kim, B.H. Song, S.H. Woo and C.W. Lee. 2010. Allelopathic effects of common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on the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crops and weeds. Kor. J. Weed. Sci. 30(1):34-42 (in Korean). 

  5. Christenhusz, M.J.M., J.L. Reveal, A. Farjon, M.F. Gardner, R.R. Mill and M.W. Chase. 2011. A new classification and linear sequence of extant gymnosperms. Phytotaxa 19:55-70. 

  6.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 Peninsula. Korea J. Pl. Taxon. 47(3):264-288 (in Korean). 

  7. Daegu Forestry Experiment Station. 1997. Flora of Daegu. Daegu Forestry Experiment Station, Daegu, Korea. pp. 1-101 (in Korean). 

  8. Daegu Metropolitan City. 2018. http://www.daegu.go.kr/cts/index.do. (in Korean). 

  9. Elzinga, C.L., D.W. Salzer and J.W. Willoughby. 1988. Measuring and monitoring plant population.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Bereau of Land Management, USA. p. 477. 

  10. Grubb, J.P. 1977. The maintenance of species-richness in plant communities: the importance of the regeneration niche. Biol. Rev. 52:107-145. 

  11. Jeon, E.S. 1993. Newly reported naturalized plants (VII). Ama. Bot. Club of Korea 29:412-413 (in Korean). 

  12. Jun, M.J., E.M. Lee, S.M. Park, J.W. Bae, M.W. Na, Y.J. Hwang, S.M. Choi and S.J. Park. 2019. Flora of Mt. Choejeong (Daegu). Korean J. Plant Res. 32(2):170-200 (in Korean). 

  13. Kariyama, S. and H. Kobatake. 1988. Naturalized plants of Gagyuzan, Takahashi-City, Okayama prefecture. Japan. Bull. Kurashiki Mus. Nat. Hist. 3:31-40. 

  14. Kim, C.G. and J.H. Kil. 2017. Alien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Econature Publishing Co., Seoul, Korea. p. 102 (in Korean). 

  15. Kim, H.J., D.S. Kim, K.S. Oh, Y.D. Lee, S.Y. Lee, H.J. Lee and D.E. Kim, 2017. The distribution of the exotic species, Ophraella communa Lesage (Coleoptera, Chrysomelidae) and their applicability for biological control against ragweed Ambrosia artemisifolia L. on Jeju Island. Korean J. Environ. Biol. 35(4):437-445 (in Korean). 

  16. Kim, H.S., Y.J. Cho and S.R. Kwak. 2019. Management plan and distribution of ecosystem disturbed plants in the lower Yeongsan river area. J. K. I. 31(1):257-276 (in Korean). 

  17. Kim, J.H., Y.H. Kim, C.Y. Yoon and J.H. Kim. 2008. The flora of Mt. Biseul in Daegu. Korean. J. Environ. Ecol. 22(5):481-504 (in Korean). 

  18. Kim, M.H. 2010. Citizen's needs and uses on greenspace of mountainous parks -Focusing on Mt. Apsan (front mountain) in Daegu. Department of Forestry.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Korea. pp. 1-62 (in Korean). 

  19. Kim, T.K. J.H. Ra and W.H. Lim. 2019.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vascular flora distributed in the Gatbawi district of Palgongsan Natural Park. Korean J. Plant Res. 32(1):72-85 (in Korean). 

  20. Kim, T.Y. and J.S. Kim. 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ublishing Co., Paju, Korea. pp. 1-715 (in Korean). 

  21. Kim. Y.H., J.H. Kil, S.M. Hwang and C.W. Lee. 2013.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Lactuca scariola, invasive alien plant, by habitat types in Korea. Weed Turf. Sci. 2(2):138-151 (in Korean). 

  22.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 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s ( I ) - Naturalized plants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 5-215 (in Korean). 

  23.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2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81-2010. Meteorological information. http://www.kma.go.kr. 

  25.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332 (in Korean). 

  26. Korea National Arboretum. 2012. Fieldguide : Naturalized plants of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27.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Samsungadcom Publishong Co., Seoul, Korea. pp. 3-1000 (in Korean). 

  28. Lee, D.H. 2016. Knowing right from Korean wildflower. Bookbe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88 (in Korean). 

  29. Lee, E.K. 1988. Actual forest vegetation and flora of Apsan natural park in Daegu. Department of Forestry, M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Korea. pp. 1-50 (in Korean). 

  30.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31.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0 (in Korean). 

  32. Lee, Y.N. and Y.J. Oh. 1974. Naturalized plants in Korea (1). Kor. Res. Inst. Better Living 12:87-93 (in Korean). 

  33. Lim, D.O. and I.C. Hwang. 2006. Exotic plants conservation in Gaya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20(3):281-288 (in Korean). 

  34.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p. 1-666 (in German). 

  35. Melchior, H. and E. Werdermann. 195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 Gebruder Bornteaeger, Belin, Germany. pp. 1-367 (in German). 

  36. Na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Dai Nippon printing Co., Tokyo, Japan. pp. 5-160. 

  37.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9. A guide to the fif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Appendix).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pp. 113-148 (in Korean). 

  38. Oh, J.H., J.S. Kim, H.Y. Kim, H.J. Cho. 2019. Changes i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of Apsan Park, Daegu Metropolitan City. J. Korean Soc. For. Sci. 108(2):177-188 (in Korean). 

  39. Park, I.H., H.Y. Lee, K.J. Cho and G.S. Jang. 2010. An analysis of major trail deterioration in urban natural park - A focus on Apsan park in Daegu Metropolitan City -. J. KILA. 38(3):33-40 (in Korean). 

  40. Pickett, S.T.A. 1980. Non-equilibrium coexistence of plants. Bull. Torrey Bot. Club 107:238-248. 

  41. Pickett, S.T.A. and J.N. Thompson. 1978. Patch dynamics and the design of nature reserves. Biol. Conserv. 13:27-36. 

  42. Sung, J.W., J.W. Yoon, H.T. Shin, J.K. Bae, S.G. Kang and M.H. Yi. 2019. The vascular plants in Mt. Guryong, Korea. Korean J. Plant Res. 32(5):589-614 (in Korean). 

  43. Wilkinson, D.M. 1999. The disturbing of intermediate disturbance. Oikos 84:145-147. 

  44.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69-83 (in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