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생태우수습지의 유형별 외래식물상 현황 및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ien Plants by Wetland Types in the Ecologically Outstanding Wetlands of South Ko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7 no.3, 2020년, pp.145 - 159  

추연수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조광진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김미정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이창수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윤정도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임정철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습지는 교란에 의해 주변 유역으로부터 과잉수, 퇴적물, 영양염, 기타 오염물 등이 축적되는 흡수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외래종에 의한 생물학적 침입에 취약하다. 본 연구는 내륙습지 유형에 따른 외래식물의 출현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우수습지 24개소를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외래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습지에서 발견된 외래식물은 총 130종으로 출현 식물 총 종수의 11%를 차지하였다. 이 중 국화과가 4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개망초와 달맞이꽃이었다. 습지 유형별로는 하천형과 호수형 습지에서 평균 30종 내외로 평균 10종 미만인 산지형 습지보다 외래식물 종풍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인 간섭정도를 나타내는 귀화율, 도시화지수, 일·이년생 비율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군집분석에서는 하천형 습지와 호수형 습지가 혼재되었으며, 산지형 습지만 별도로 분리되었다. 산지형 습지는 외래종수가 현저하게 적은 것은 물론 다른 습지 유형에서 발견되지 않은 주걱개망초, 컴프리, 나도닭의덩굴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특히 미국쑥부쟁이, 돼지풀,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등 생태계교란생물은 하천형 습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었다. 따라서 인위적인 간섭강도가 높은 하천형 및 호수형 습지에서 외래식물 확산 요인을 고려한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tlands are vulnerable to biological invasion by alien species, because they function as sinks that accumulate excess water, sediments, nutrients, and other contaminants from the surrounding watersheds by disturbance.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lien plants b...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습지의 기능, 유형 및 특성에 따른 외래식물의 종다양성과 분포 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륙습지 유형에 따라 분포하는 외래식물의 출현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 전국내륙습지 정밀조사가 수행된 생태우수습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식물상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하여, (2) 습지에서 출현하는 외래식물의 현황 및 특성 그리고 습지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3) 습지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륙습지 유형에 따라 분포하는 외래식물의 출현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 전국내륙습지 정밀조사가 수행된 생태우수습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식물상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하여, (2) 습지에서 출현하는 외래식물의 현황 및 특성 그리고 습지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3) 습지보전 및 관리 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wardin et al. 1979에 따르면, 현재 가장 널리 통용되는 습지의 과학적인 정의는? 하지만 습지를 지칭하는 정의와 용어는 무수히 많으며 종종 모순된 의미가 전달되기도 한다. 현재 가장 널리 통용되는 습지의 과학적인 정의는 육상 생태계와 수생태계 사이의 전이지역으로 지하수면이 지표면에 근접해있거나 지면이 얕은 물로 덮여 있는 곳을 말한다 (Cowardin et al. 1979).
Mitsch and Gosselink 2000 및 여러 연구에 따르면, 외래종의 유입 및 확산 기회가 만들어지게 하는 생태계 위협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습지는 다양한 사회 ‧ 생태학적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 및 이용의 대상으로 인식되어 육역화 및 부영양화, 수문학적 교란, 서식처 파괴, 생물다양성 감소 등 지속적인 교란 및 소실의 위협을 받고 있다 (Mitsch and Gosselink 2000, Brinson and Malvárez 2002, Zedler and Kercher 2004, Davidson 2014). 이러한 위협에 의해 자연적인 장애물이 사라지게 되면 자생종에 비해 경쟁 우위를 쉽게 점할 수 있는 외래종의 유입 및 확산 기회가 만들어지게 된다 (Valéry et al.
본 연구에서, 조사 대상 습지에서 발견된 외래식물은 몇 종이며, 총 종수의 몇%를 차지하는가? 본 연구는 내륙습지 유형에 따른 외래식물의 출현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생태우수습지 24개소를 대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 외래식물상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습지에서 발견된 외래식물은 총 130종으로 출현 식물 총 종수의 11%를 차지하였다. 이 중 국화과가 40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출현빈도가 높은 종은 개망초와 달맞이꽃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bella, S.R. 2010. Disturbance and plant succession in the Mojave and Sonoran Deserts of the American Southwest.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4): 1248-1284. 

  2. Airoldi, L., Abbiati, M., Beck, M.W., Hawkins, S.J., Jonsson, P.R., Martin, D., Moschella, P.S., Sundelof, A., Thompson, R.C., and Aberg, P. 2005.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deployment and design of low-crested and other hard coastal defence structures. Coastal Engineering 52(10-11): 1073-1087. 

  3.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ogical Monographs 27(4): 326-349. 

  4. Brinson, M.M. and Malvarez, A.I. 2002. Temperate freshwater wetlands: types, status, and threats. Environmental Conservation 29(2): 115-133. 

  5. Bunn, S.E. and Arthington, A.H. 2002. Basic principles and ecological consequences of altered flow regimes for aquatic biodiversity. Environmental Management 30(4): 492-507. 

  6. Canavan, K., Paterson, I.D., Lambertini, C., and Hill, M.P. 2018. Expansive reed populations-alien invasion or disturbed wetlands?. AoB Plants 10(2): ply014. 

  7. Carter, V. 1996. Wetland hydrology, water quality, and associated functions. National water summary on wetland resources. U.S. Geological Survey Water Supply Paper, Minnesota. 

  8. Catford, J.A., Downes, B.J., Gippel, C.J., and Vesk, P.A. 2011. Flow regulation reduces native plant cover and facilitates exotic invasion in riparian wetlands. Journal of Applied Ecology 48(2): 432-442. 

  9. Chipps, S.R., Hubbard, D.E., Werlin, K.B., Haugerud, N.J., Powell, K.A., Thompson, J., and Johnson, T. 2006. Association between wetland disturbance and biological attributes in floodplain wetlands. Wetlands 26(2): 497-508. 

  10. Cowardin, L.M., Carter, V., Golet, F.C., and LaRoe, E.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Washington, DC. 103pp. 

  11. Davidson, N.C. 2014. How much wetland has the world lost? Long-term and recent trends in global wetland area.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65(10): 934-941. 

  12. de Mendiburu, F. and de Mendiburu, M.F. 2020. Package 'agricolae'. R package version, 1-2. https://cran.r-project.org/web/packages/agricolae/. Accessed 01 July 2020. 

  13. DeFerrari, C.M. and Naiman, R.J. 1994. A multi-scale assessment of the occurrence of exotic plants on the Olympic Peninsula, Washington.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5: 247-258. 

  14. Ehrenfeld, J.G. 2008. Exotic invasive species in urban wetlands: environmental correlates and implications for wetland management. Journal of Applied Ecology 45(4): 1160-1169. 

  15. Ervin, G., Smothers, M., Holly, C., Anderson, C., and Linville, J. 2006. Relative importance of wetland type versus anthropogenic activities in determining site invisibility. Biological Invasions 8(6): 1425-1432. 

  16. Hood, W.G. and Naiman, R.J. 2000. Vulnerability of riparian zones to invasion by exotic vascular plants. Plant Ecology 148: 105-114. 

  17. KIAS. 2020. Information of Korean Alien Species. http://kias.nie.re.kr/home/main/main.do/. Accessed 01 July 2020. (in Korean) 

  18. Lee, S., Cho, K.H., and Lee, W. 2016.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s of two invasive alien plants, Paspalum distich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 in Korean Peninsula.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3): 189-200. (in Korean) 

  19. Leopold, L.B., Wolman, M.G., and Miller, J.P. 1995. Fluvial processes in geomorphology. Dover Publications, Inc, New York. 

  20. Levine, J.M. 2001. Local interactions, dispersal, and native and exotic plant diversity along a California stream. Oikos 95(3): 397-408. 

  21. Mayoral, O., Mascia, F., Podda, L., Laguna, E., Fraga, P., Rita, J., Frigau, L., and Bacchetta, G. 2018. Alien plant diversity in Mediterranean wetlands: a comparative study within Valencian, Balearic and Sardinian floras. Notulae Botanicae Horti Agrobotanici Cluj-Napoca 46(2): 317-326. 

  22. MOE. 2010.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type.grade in national wetlands and manual for wetland restoration by type.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23. MOE. 2011. Survey guideline of national inland wetland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24. MOE. 2012, 2013, 2014, 2015. The 3rd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25. MOE. 2016, 2017, 2018, 2019. The 4th Intensive survey on national inland wetlands.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in Korean) 

  26. Middleton, B.A. 1999. Wetland restoration, flood pulsing, and disturbance dynamics. John Wiley & Sons. 

  27. Mitsch, W.J. and Gosselink, J.G. 2000. Wetlands, 3rd ed. John Wiley and Sons, USA. 

  28. NIE. 2017. Information for the fiel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in Korean) 

  29. Numata, M. 1978. Observation and study of plant ecology. Tokai University Press. Japan. (in Japanese) 

  30. Oksanen, J., Blanchet, F.G., Kindt, R., Legendre, P., Minchin, P.R., O'Hara, R.B., Simpson, G.L., Solymos, P., Stevens, M.H.H., and Wagner, H. 2020. Package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http://vegan.rforge.r-project.org. Accessed 01 July 2020. 

  31. Parendes, L.A. and Jones, J.A. 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ream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Oregon. Conservation Biology 14(1): 64-75. 

  32. R Core Team. 2020.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org. Accessed 01 July 2020. 

  33. Reshi, Z., Shah, M.A., Rashid, I., and Khuroo, A.A. 2008. Alien plant invasions: Threat to wetland health and public wealth. Sarovar Saurabh 4(1): 2-5. 

  34. Richardson, D.M., Holmes, P.M., Esler, K.J., Galatowitsch, S.M., Stromberg, J.C., Kirkman, S.P., Pysek, P., and Hobbs, R.J. 2007. Riparian vegetation: degradation, alien plant invasions, and restoration prospects. Diversity and Distributions 13(1): 126-139. 

  35. Stohlgren, T.J., Bull, K.A., Otsuki, Y., Villa, C.A., and Lee, M. 1998. Riparian zones as havens for exotic plant species in the central grasslands. Plant Ecology 138(1): 113-125. 

  36. Tickner, D.P., Angold, P.G., Gurnell, A.M., and Mountford, J.O. 2001. Riparian plant invasions: hydrogeomorphological control and ecological impact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5(1): 22-52. 

  37. Valery, L., Fritz, H., Lefeuvre, J.C., and Simberloff, D. 2008. In search of a real definition of the biological invasion phenomenon itself. Biological Invasions 10(8):1345-1351. 

  38. Yim, Y.J. and Jeon, E.S. 1981.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 peninsula. Korean Journal of Botany. Korea. (in Korean) 

  39. Zedler, J.B. and Kercher, S. 2004. Causes and consequences of invasive plants in wetlands: opportunities, opportunists, and outcomes. Critical Reviews in Plant Sciences 23(5): 431-45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