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응급실 내원 수단에 따른 중증도 분류와 치료시간 비교
Triage level and treatment time according to mode of arrival to emergency department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4 no.2, 2020년, pp.51 - 66  

박창제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  이경열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CS), according to the mode of arrival affect the emergency medical proces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8 adult patients (46 patients admitted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EM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받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내원 수단에 따른 초기평가의 차이, 치료과정에 걸린 각각의 시간의 차이 그리고 치료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심근경색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는 무엇인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 중에서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가 수행되어야 하는 급성심근경색환자에게 적절한 치료는 항혈전제의 투여와 관상동맥중재술이고 이러한 치료가 조기에 이루어지는 것이 관건이다[4].
총 허혈시간은 무엇인가? 증상발현 후 관상동맥중재술이 지연되면 환자는 재관류 손상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병원내 사망률과 1년 사망률 역시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5]. 증상발현으로부터 관상동맥중재술까지의 지연 시간인 총 허혈시간(total ischemic time)을 증상발현 후 첫 의료제공자를 접촉하는 시간(patient delay)까지 그리고 첫 의료제공자 접촉부터 관상동맥중재술이 이루어지는 시간(system delay)으로 분류하여 보면[6] 이중 의료제공자 접촉 전 지연은 환자가 내원 수단을 선택하는 순간부터 일부 결정되게 되는데 네델란드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 상당수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는 응급의료체계를 활성화 하는 대신 일반 개업의에게 방문하여 치료까지의 지연을 증가시킨다고 했다[7]. 포르투갈의 경우에는 75세 이상의 고령에서 구급대를 더 이용하지 않았으며 혈관확장술이 가능하지 않은 병원에 방문함으로써 총 허혈 시간이 길어지게 되었다고 보고했다[8].
급성심근경색환자에게 증상발현 후 관상동맥중재술이 지연되면 어떻게 되는가? 증상발현 후 관상동맥중재술이 지연되면 환자는 재관류 손상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병원내 사망률과 1년 사망률 역시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5]. 증상발현으로부터 관상동맥중재술까지의 지연 시간인 총 허혈시간(total ischemic time)을 증상발현 후 첫 의료제공자를 접촉하는 시간(patient delay)까지 그리고 첫 의료제공자 접촉부터 관상동맥중재술이 이루어지는 시간(system delay)으로 분류하여 보면[6] 이중 의료제공자 접촉 전 지연은 환자가 내원 수단을 선택하는 순간부터 일부 결정되게 되는데 네델란드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 상당수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는 응급의료체계를 활성화 하는 대신 일반 개업의에게 방문하여 치료까지의 지연을 증가시킨다고 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Mozaffarian D, Benjamin EJ, Go AS, Arnett DK, Blaha MJ, Cushman M et al. Executive summary: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2016 update: a repor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6;133(4):447-54. https://doi.org/10.1161/CIR.0000000000000366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Available at: http://www.cdc.go.kr/menu.es?mida20602070000 

  3.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Available at: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0710 

  4. 2012 ESC Guidelines 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STEMI). Eur Heart J 2012;33(20):2501-2. https://doi.org/10.1093/eurheartj/ehs213 

  5. De Luca G, Suryapranata H. Zijlstra F, van't Hof AW, Hoorntje JC, Gosselink AT et al. Symptom-onset-to-balloon time and mortalit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treated by primary angioplasty. J Am Coll Cardiol 2003;42(6):991-7. https://doi.org/10.1016/S0735-1097(03)00919-7 

  6. Bates ER, Jacobs AK. Time to treatment in patients with STEMI. N Engl J Med 2013;369(10):889-92. https://doi.org/10.1056/NEJMp1308772 

  7. Mol KA, Rahel BM, Meeder JG, van Casteren BC, Doevendans PA, Cramer MJM. Delay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Focus on pre-hospital delays and non-ST-elevated myocardial infarction. Int J Cardiol 2016;221:1061-6. https://doi.org/10.1016/j.ijcard.2016.07.082 

  8. Pereira H, Pinto FJ, Cale R, Pereira E, Mello S, Vitorino S et al. The stent for life initiative: factors predicting system delay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Rev Port Cardiol 2018;37(8):681-90. https://doi.org/10.1016/j.repc.2018.01.011 

  9. Mirzaei S, Steffen A, Vuckovic K, Ryan C, Bronas UG, Zegre-Hemsey J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symptom onset characteristics and prehospital delay in women and men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Eur J Cardiovasc Nurs 2020;19(2):142-54. https://doi.org/10.1177/1474515119871734 

  10. Menees DS, Peterson ED, Wang Y, Curtis JP, Messenger JC, Rumsfeld JS et al. Door-toballoon time and mortality among patients undergoing primary PCI. N Engl J Med 2013;369(10):901-9. https://doi.org/10.1056/NEJMoa1208200 

  11. Deutsch SB, Krivitsky EL. Decreased door to balloon time: better outcome for the patient?. World J Cardiovasc Dis 2015;5(03): 49-52. https://doi.org/10.4236/wjcd.2015.53007 

  12. Ibanez B, Halvorsen S, Roffi M, Bueno H, Thiele H, Vranckx P et al. Integrating the results of the CULPRIT-SHOCK trial in the 2017 ESC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guidelines: viewpoint of the task force. Eur Heart J 2018;39(48):4239-42. https://doi.org/10.1093/eurheartj/ehy294 

  13. Kim JH. A study on the scope of practice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in the law regarding the emergency ca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2019, Cheonan, Korea. 

  14. Welsh RC, Ornato J, Armstrong PW. Prehospital management of acute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time for reappraisal in North America. Am Heart J 2003;145(1):1-8. https://doi.org/10.1067/mhj.2003.47 

  15. Choi SW, Shin SD, Ro YS, Song KJ, Lee YJ, Lee EJ. Effec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use and inter-hospital transfer on time to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multicenter observational study. Prehosp Emerg Care 2016;20(1):66-75. https://doi.org/10.3109/10903127.2015.1056892 

  16. National Emergency Medial Center. Available at: https://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brdclscd02. 2017. 

  17. Canto JG, Zalenski RJ, Ornato JP, Rogers WJ, Kiefe CI, Magid D et al.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ubsequent quality of care: observations from the National Registry of Myocardial Infarction 2. Circulation 2002;106(24):3018-23. https://doi.org/10.1161/01.CIR.0000041246.20352.03 

  18. Goldberg RJ, Kramer DG, Yarzebski J, Lessard D, Gore JM. Prehospital transport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 community-wide perspective. Heart Lung 2008;37(4):266-74. https://doi.org/10.1016/j.hrtlng.2007.05.013 

  19. Goodacre SW, Angelini K, Arnold J, Revill S, Morris F. Clinical predictors of acute coronary syndromes in patients with undifferentiated chest pain. QJM: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2003;96 (12):893-8. https://doi.org/10.1093/qjmed/hcg152 

  20. Lee SJ, Shin SD, Park CB, Song KJ. Effects of using prehospital emergency care by 119 rescue services on outcome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1):16-21. 

  21. Cervellin G, Comelli I. Bellone A. Giostra F, Acierno N, Mitaritonno M et al. Multicenter survey on emergency nurses' perception of numerical rating scale reliability at triage time in adult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Emergency Care Journal 2018;14(3):111-5. https://doi.org/10.4081/ecj.2018.7787 

  22. Park JB, Lim TH.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J Korea Soc Emerg Med, 2007;28(6):547-51. 

  23. Ha SO, Lim KS, Kim W, Oh BJ.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worsening prognosis for undertriage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observational study. J Korea Soc Emerg Med 2011;22(6):701-8. 

  24. Tsai KC, Lin RF, Lee C, Li AH. Alternative tool for triaging patients with possible acute coronary symptoms before admission to a chest pain unit. Am J Emerg Med 2018;36(7):1222-30. https://doi.org/10.1016/j.ajem.2017.12.026 

  25. Gerhardt W, Ljungdahl L, Herbert AK. Troponin-T and CK MB (mass) in early diagnosis of ischemic myocardial injury. The Helsingborg study, 1992. Clin Biochem 1993;26(4):231-40. https://doi.org/10.1016/0009-9120(93)90122-M 

  26. McNamara RL, Wang Y, Herrin J, Curtis JP, Bradley EH, Magid DJ et al. Effect of door-to-balloon time on mortality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J Am Coll Cardio 2006;47(11):2180-6. https://doi.org/10.1016/j.jacc.2005.12.072 

  27. Lambrew CT, Bowlby LJ, Rogers WJ, Chandra NC, Weaver WD. Factors influencing the time to thrombolysis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rch Intern Med 1997;157(22):2577-82. https://doi.org/10.1001/archinte.1997.00440430059007 

  28. Neumar RW. Shuster M, Callaway CW. Gent LM.. Atkins DL, Bhanji F et al. Part 1: executive summary: 2015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update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emergency cardiovascular care. Circulation 2015;132(18-2):S315-S367. https://doi.org/10.1161/CIR.00000000000002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