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전과 병원내의 복통환자 중증도 분류 및 진료결과 비교
Comparison of triage and treatment results of abdominal pain patients of pre-hospital and in-hospital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5 no.1, 2021년, pp.7 - 22  

김동현 (조선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  최은숙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re-hospital and in-hospital triage (pre-hospital triage and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of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gh hospitalization probability in the treatment results. Methods: We analyzed 941 p...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성능/효과

  • 본 연구 결과에서 병원 전과 병원의 중증도 분류는 일치하지 않았고 병원 전의 분류는 과대분류가 상당히 높았다. 이로 인하여 병원 전 중증도 분류의 모든 단계에서 퇴원율이 높아졌을 것이다.

후속연구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G시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가 대상이기에 타 응급의료기관 및 타 지역의 현실에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후향적 연구의 한계점으로 인해 구급활동일지 및 의무기록의 내용만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정보에 대한 편향이 있을 수 있다.
  • 입원 확률이 높았던 경우는 의식이 명료하지 않거나, 이송거리가 30km 이상, 이송병원 선정자가 환자/보호자인 경우, 본원 추적관찰 중, NRS 4점 이상, 주 진료과가 응급의학과가 아닐 경우, 진단명이 순환계통일 경우, 24시간 이상 응급실에 체류한 경우 입원율이 높았다. 이를 참고하여 119구급대의 직무교육 및 현장 응급의료종사자 교육 등에서 복통 환자 중증도 분류의 기준과 교육내용 및 시간의 비중이 높아진다면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중증도 분류 역량 강화로 복통 환자에 대한 정확한 이송병원 선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이로 인하여 병원 전 중증도 분류의 모든 단계에서 퇴원율이 높아졌을 것이다. 중증도 분류를 통해 경증과 중증 환자를 가려낼 역량이 강화된다면 분류의 정확성 상승 및 이송병원 선정의 오류도 감소하여 권역응급의료센터의 과밀화 및 환자/보호자의 불필요한 진료 대기시간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입원 확률이 높았던 경우는 의식이 명료하지 않거나, 이송거리가 30km 이상, 이송병원 선정자가 환자/보호자인 경우, 본원 추적관찰 중, NRS 4점 이상, 주 진료과가 응급의학과가 아닐 경우, 진단명이 순환계통일 경우, 24시간 이상 응급실에 체류한 경우 입원율이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wang Y, Han YJ, Park JH, Yoo SJ. The benefit of further test for patients presenting to the emergency department with non-specific abdominal pain. J Korean Soc Emerg Med 2010;21(2):184-90. 

  2. Lee KS. Research about chief complaint and principal diagnosis of patients who visited the university hospital emergency room. J Dig Converg 2012;10(10):347-52. https://doi.org/10.14400/JDPM.2012.10.10.347 

  3. Son JA, Lee EJ.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orean J Clin Nurs Res 2020;26(1):107-16. https://doi.org/10.22650/JKCNR.2020.26.1.107 

  4. Nawar EW, Niska RW, Xu J. National hospital ambulatory medical care survey. Emergency Department Summary Tables 2005;29:1-32. 

  5. Kim MR, Kim JH, Kim SJ, Jo HJ. Ideal time to surgery for acute abdomen. J Acute Care Surg 2016;6(1):7-10. https://doi.org/10.17479/jacs.2016.6.1.7 

  6. Macaluso CR, McNamara RM.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acute abdominal pai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nt J Gen Med 2012;5: 789-97. https://doi.org/10.2147/IJGM.S25936 

  7. National Fire Agency. Analysis of first aid activites in 2019. Available at: www.nfa.go.kr, 2019. 

  8.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statistical yearbook in 2018. Available at: https://www.e-gen.or.kr/ne mc/statistics_annual_report.do, 2019. 

  9. Choi HJ. Analysis of triage results of patients admitted with 119: overtriage or under triage.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2020, Asan, Korea. 

  10. Choi HJ, Ok JS, An SY. Evaluation of validity of the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J Korean Acad Nurs 2020;49(1):26-35. https://doi.org/10.4040/jkan.2019.49.1.26 

  11. Kuriyama A, Urushidani S, Nakayama T. Five-level emergency triage systems : variation in assessment of validity. Emerg Med J 2017;34(11):703-10. https://doi.org/10.1136/emermed-2016-206295 

  12. Park JO, Lee KH, No SG, Choi CS. An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on the patients transported via 119 system. Korean J Emerg Med Ser 2003;7(1):127-34. 

  13. Cha MI. A comparison study of triage results between prehospital and hospital set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17, Incheon, Korea. 

  14. OH MT, Lee SH, Park SW, Park SC, Kim HB, Jo YM et al. Factors associated hospital admission in patients with low acuity visiting emergency department. J Korean Soc Emerg Med 2018;29(5):408-14. 

  15. Park SW, Lee BK, Ryu HH, Jeung KW, Heo T. Out-of-jurisdiction transport of patients by the 119 rescue group. Korean J Emerg Med 2010;21(5):531-8. 

  16. Park SG, Um TH. Evaluation of patient transportation and response intervals among emergency medical squads. Korean J Emerg Med Ser 2018;22(3):47-54. https://doi.org/10.14408/KJEMS.2018.22.3.047 

  17. Jo SE. Factors for hospitalization of abdominal pain patients in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20, Seoul, Korea. 

  18. Jung WS, Hwang SK.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in the emergency room and nursing interventions using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Glob Health Nurs 2018;8(1):29-38. https://doi.org/10.35144/ghn.2018.8.1.29 

  19. Lusiani L, Perrone A, Pesavento R, Conte G. Prevalence, clinical features, and acute course of atypical myocardial infarction. Angiology J 1994;45(1):49-55. https://doi.org/10.1177/000331979404500107 

  20. Oguzturk H, Turtay MG, Tekin YK, Tekin G. The evaluation of electrocardiogram findings in acute abdominal pain patients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J Prim Care Commu Health J 2011;2(3):163-6. https://doi.org/10.1177/2150131911403931 

  21. Sung S, Gang CY, Lee HY, Lee JH, Kim OH, Youk H et al. Correlation between the pre-hospital triage scale and emergency department triage scale. Hong Kong J Emerg Med 2019;26(5):281-7. https://doi.org/10.1177/1024907918793780 

  22. National Sejong library. Development of prehospital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Available at: https://sejong.nl.go.kr/search/searchDetail.do?rec_keySH1_KMO201840817&menuId, 2017. 

  23.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Emergency medical vulnerable area. Available at: https://www.e-gen.or.kr/nemc/statistics_annual_report.do, 2019. 

  24. Choi JW, Moon JY, Choi ES. Analysis of patients retransferred to a tertiary hospital through paramedics. Korean J Emerg Med Ser 2020;24(2):79-88. 

  25. Lee HG, Kim JI. Analysis of nursing records for elderly patients with abdominal pain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J Muscle Jt Health 2019;26(1):27-34. https://doi.org/10.5953/JMJH.2019.26.1.27 

  26. Ryu HS, Shin SJ. Correlation between degree of pain at the emergency room and progression of appendicitis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Korean J Emerg Med 2018;29(6):656-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