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19구급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for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quality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4 no.2, 2020년, pp.67 - 77  

안희정 (나사렛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심규식 (나사렛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송효숙 (대전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  방성환 (대전보건대학교 특전의무부사관과) ,  최길순 (동강대학교 응급구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by surveying the user's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nationwide. Methods: From December 21 to December 27 each year from 2015 to 2017 a total of 5,889 people were surveyed by phone call in fire station. R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19구급대 이용자를 대상으로 구급대의 신속성(전화연결, 현장도착 등), 친절성(전화 연결, 환자평가 및 처치), 구급차의 청결정도에 대한 만족도와 그 외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란 무엇인가? 서비스란 행위, 수행, 노력 등을 포함하는 단어로[1] 휴먼 서비스는 의료, 교육, 사회복지, 상담 등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2]. 과거 구급서비스는 단순히 환자의 이송에 국한되어 병원 전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이바지하지 못하였고, 이에 국민 안전처(현 소방청)에서 대국민 구급서비스 질 향상 5개년 계획을 수립하였다[3].
전화 응급처지 지도에서 구급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설문 문항에서는 ‘구급대의 친절성’과 ‘구급활동의 적절성’이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화 응급처치 지도’와 ‘구급대 인원의 적정성’이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소방 업무에는 무엇이 있는가? 소방공무원은 국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군으로 소방 업무는 크게 화재(이와 관련된 조사, 교육, 홍보를 포함), 구조, 구급으로 나뉘는데[4] 이 중 서비스 활동이 가장 많은 업무는 구급이다[5]. 구급 업무는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직접 체감하는 서비스 분야이고[6], 특히 환자를 대하는 업무이기 때문에 서비스 평가와 민원에 민감하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talden M, Batalden P, Margolis P, Seid M, Armstrong G, Opipari-Arrigan L et al. Coproduction of healthcare service. BMJ Qual Saf 2016;25:509-17. https://doi.org/10.1136/bmjqs-2015-004315 

  2. Cimmino, PF. Basic concepts and definitions of human services, in Harris HS(Eds.), Human Services: Contemporary Issues and Trends. 3re edition. Boston, MA; Allyn and Bacon, 2004. 

  3. Fire paper. National fire agency 119. 2016. 

  4. Framework act on fire services. http://www.law.go.kr 

  5. Fire paper. National fire agency 119. 2018. 

  6. Lee TG, Ahn SS, Yang GG. Collaboration analysis of resident satisfaction degree on local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focused on civil appeal health rescue relief services of Gyeongnam Province. Korean Associate Policy Science 2007;11(2):107-28. 

  7. Lee GU, Kil Y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upon experiences of newly-appointed fire fighters(paramedic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8;8(1):591-604. https://doi.org/10.21742/AJMAHS.2018.01.41 

  8. Lee SK, Kim GW, Kim CH. Pre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EMT) for increasing the rate of return ofn spontaneous circulation; Nationalwide 119 EMT survey. J Korean Soc Emerg Med 2014;25(1):35-45. 

  9. Moon YS, Cho WH, Kang IC. Patient satisfaction of medical care in a public health center.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1998;5(1):2-14. 

  10. Lee DG. The evaluation of the customer satisfaction rate for fire and disaster administration service. Journal of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005;18(1):103-23. 

  11. Lee WJ, Oh HC, Lee KY. A study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volunteer fire department. Fire Sci Emg 2016;30(4):148-57. https://doi.org/10.7731/KIFSE.2016.30.4.148 

  12. Ahn CS. The effects of citizen satisfaction of fire station's service quality on organizational image.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016;20(3):1-26. 

  13. Song HG, Kwak YH, Seo GJ. Analysis of current phone usage in Seoul emergency medical service information center. J Korean Soc Emerg Med 2002;13(1):19-22. 

  14. Moon JD, Kim NH, Wang SB, Choi SH, Lee SW, Hong YS.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nd compliance of emergency medical dispatching. J Korean Soc Emerg Med 2005;16(5):529-38. 

  15. Jeon SY, Lee SG. Difference of perception around emergency circumstances between 119 rescuer and utilizer. J Korean Soc Emerg Med 2000;11(2):212-23. 

  16. Kim MR, Cho SH, Cho NS, Kim SJ.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future ofn 119 rescue in the view of the user. J Korean Soc Emerg Med 2003;14(4):353-9. 

  17. Won JS, Kim SG. A study on emergency dispatching systems in seoul. Policy issue research report. The Seoul Institute 2018:1-182. 

  18. Kim CS, Kim HH, Kim GW, Lee SK, Kim ST, Choi SC et al. Analysis of the 119 emergency situation control center usage including dispatcher-assist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structions. J Korean Soc Emerg Med 2018;29(4):350-7. 

  19. Baek HS. Comparing statistical data on 119 ambulance runs and ambulance crew in Korea and Japan. Korean J Emerg Med Ser 2019;23(2):87-97. https://doi.org/10.14408/KJEMS.2019.23.2.087 

  20. Kim JH, Lee HJ, Lim YD, Han ID, Lee JG. An analysis of prehospital care for major trauma patien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119 ambulance crews. J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6):500 -6. https://doi.org/10.5762/KAIS.2018.19.6.500 

  21. Kim EA, Cho KJ. A study on the preceptor role awareness of senior 119 paramedics in the field. Korean J Emerg Med Ser 2019;23(1):19-33. https://doi.org/10.14408/KJEMS.2019.23.1.019 

  22. Gil EH, Oh HY.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with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between adults and the elderly. Korean J Adult Nurs 2017;29(1):12-21. https://doi.org/10.7475/kjan.2017.29.1.12 

  23. Lee JC, Kim KH, Kim HN, Park YH. Patient satisfaction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 Korea: What matters most?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4):299-308. 

  24. Kim TS. Analyzing user experience in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 through contextual approach. Journal of Product Research 2015;33(1):31-40. https://doi.org/10.36345/kacst.2015.33.1.004 

  25. Jang KH, Kang KH, Jang YH, Hahn KD. Analysis of the time intervals in 119 ambulance services. Fire Sci Eng 2016;30(4):128 -34. https://doi.org/10.7731/KIFSE.2016.30.4.128 

  26. Kwon OK, Kim HY, Kim BM, Lee JI, Ha TH, Lee IS et al. Meaning of waiting experience and principles of service desig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7;17(1):270-86. https://doi.org/10.5392/JKCA.2017.17.01.270 

  27. Firefighting Statistic yearbook. National fire agency 119. 2018 

  28. Lee YW, Jang H, Lee TS. A study on the optimal number of emergency vehicles for development of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010:1276-83. 

  29. Park JM, Kim DS, Kim HH.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nvironments on psychological burnout among fire officers. The Korean Governance Review 2012;19(1):25-49. https://doi.org/10.17089/kgr.2012.19.1.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