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교육 강사 자격요건에 대한 학교보건법 개정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vised direction of the school health act for first aid instructor qualification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4 no.2, 2020년, pp.155 - 162  

김지원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강민성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he instructors of first aid education for teachers in the School Health Act. Method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approval provisions for qualifying as first aid educators under the School Health Act, the Emergency Medica...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학교보건법 9조2에 따른 시행규칙 10조(별표 9)에 제시된 응급처치 강사 자격[10]에 부합하는 직종의 교과 과정에 관하여 살펴보고, 타 법률안의 응급처치 교육 강사 요건을 비교하여 응급처치 강사 자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교보건법(응급처치 교육 강사 자격) 개정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법규의 적정성을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분석적 문헌 고찰 연구이다. 학교보건법 변천과 선행연구를 알아보고, 학교보건법의 응급처치 교육 강사 자격요건에 대한 문제점 및 강사 자격에 부합하는 직종 간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보건법 9조2에 따른 시행규칙 10조(별표 9)에 제시된 현재 응급처치 교육 강사의 자격 요건이 적합한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학교보건법 9조2에 따른 시행규칙 10조(별표 9)에 제시된 응급처치 강사 자격[10]에 부합하는 직종의 교과 과정에 관하여 살펴보고, 타 법률안의 응급처치 교육 강사 요건을 비교하여 응급처치 강사 자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학교보건법(응급처치 교육 강사 자격) 개정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보건법이란 무엇인가? 또한 학교보건법은 학생 및 교직원의 건강을 보호·증진하기 위해 1967년 제정된 법으로 2013년부터는 학교에서의 응급상황 대처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응급처치 교육의 실시를 의무화하도록 개정하였다[4]
응급의료 종사자는 누구를 지칭하는 말인가? 응급처치 강사의 각 직군은 응급환자 처치에 있어 응급의료종사자라는 공통점이 있다. 응급의료 종사자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4항에 따라 응급환자에 대한 응급의료를 제공하는 의료인과 응급구조사를 지칭한다. 이들은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6조 2항에 따라 업무 중에 응급의료를 요청받거나 응급환자를 발견할 때 즉시 응급의료를 시행하여야 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거부하거나 기피하지 못한다.
응급처치 교육 강사의 자격 요건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한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우선, 응급처치 교육은 일반적인 교육에 비해 응급의료종사자가 실시하는 교육이 대상자의 응급처치 수준을 높였다. 따라서 전문적인 응급처치 교육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응급처치 강사의 경우 응급의료종사자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또한, 응급구조사 5년이라는 단서 조건은 법령 간의 상충점이 있다는 것과 응급처치 교육에 적합한 업무와 전문교육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경력 단서 조건은 없애는 방향으로 개정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Education. A survey study on the prevention of school safety accident in 2018. Available at: https://www.moe.go.kr/main.do 

  2. Kim IS, Beak HS. Knowledge of first aid education need for part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 Korean Society for Wellness 2014;9(1):81-90. 

  3. Kim JW, Kim JC. Development of first aid education program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KJCAES 2018;24(5):263-85. 

  4.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The School Health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48829&ancYd20131230&ancNo12131&efYd20131230&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2013. 

  5. Cho KJ. Needs and demands assessment on the first aid education of general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Emerg Med Ser 2007;11(3):139-52. 

  6. Qureshi FM., Khalid N, Nigah-e-Mumtaz S, Assad T, Noreen K. First aid facilities in the school settings: Are schools able to manage adequately?. Pak J Med Sci 2018;34(2):272 -6. https://doi.org/10.12669/pjms.342.14766 

  7. Al-Samghan AS, Al-Shahrani FM, Al-Shahrani FH. Primary school teachers' knowledge about first-aid. Med J Cairo Univ 2015;83(1):541-7. 

  8. Seo HK. Factors affecting expert awareness of instructors on the domestic civil CPR institu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14, Seoul, Korea. 

  9. Kong JY. A study on willingness, attitude of layperson after CPR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2006, Incheon, Korea. 

  10.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n The School Health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0 932&efYd20191024#AJAX, 2020. 

  1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n The School Health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6587&ancYd20140707&ancNo00039&efYd20140707&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0000, 2014. 

  12.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Decree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52082&ancYd20000701&ancNo16885&efYd20000701&nwJoYnInfoN&efGubunY&chrClsCd010202&ancYnChk0#J4:0,2000. 

  1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Official Approval Provisions for Teacher Qualification.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10070&efYd20200101#AJAX,2020. 

  14.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10-Year History of Korean associa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vailable at: http://www.kacpr.org/page/page.php?category_idx61&category1_code1411632360&category2_code1528172982&page_idx1131, 2013. 

  15. Kim SM, Lee EJ. The effects of CPR clinical training on CPR performance and self 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1;12(12):5759-65. https://doi.org/10.5762/KAIS.2011.12.12.5759 

  16.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n The School Health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Sc.do?tabMenuIdtab18§ion&eventGubun060101&query%ED%95%99%EA%B5%90%EB%B3%B4%EA%B1%B4%EB%B2%95#AJAX, 2019. 

  17. Moon SJ. Doctors Duty of care and their legal liability in emergency car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and Law 2010;18(1):149-76. 

  18.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n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199337&lsNm%EC%9D%91%EA%B8%89%EC%9D%98%EB%A3%8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EC%8B%9C%ED%96%89%EA%B7%9C%EC%B9%99&bylNo0002&bylBrNo00&bylClsBE&bylEfYd20171203&bylEfYdYnY, 2020. 

  19.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n The School Health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186013&lsNm%ED%95%99%EA%B5%90%EB%B3%B4%EA%B1%B4%EB%B2%95+%EC%8B%9C%ED%96%89%EA%B7%9C%EC%B9%99&bylNo0009&bylBrNo00&bylClsBE&bylEfYd20160903&bylEfYdYnY, 2016. 

  20.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n Emergency Medical Service's Act.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199337&lsNm%EC%9D%91%EA%B8%89%EC%9D%98%EB%A3%8C%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EC%8B%9C%ED%96%89%EA%B7%9C%EC%B9%99&bylNo0012&bylBrNo00&bylClsBE&bylEfYd20171203&bylEfYdYnY, 2020. 

  21.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Enforcement Rule of the Medical Law.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W/lsBylInfoPLinkR.do?lsiSeq206266&lsNm%EC%9D%98%EB%A3%8C%EB%B2%95+%EC%8B%9C%ED%96%89%EA%B7%9C%EC%B9%99&bylNo0001&bylBrNo03&bylClsBE&bylEfYd20190101&bylEfYdYnY, 2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