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연구
A Research on the Mid- and Long-term Strategic Plan for Developing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3, 2020년, pp.21 - 39  

곽동철 (청주대학교 인문사회대학 문헌정보학과) ,  윤정옥 (청주대학교 인문사회대학 문헌정보학과) ,  김용환 (청주대학교 인문사회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표는 강원도 교육청 소속 22개 교육문화관(도서관)이 지역사회 내 교육, 지식과 문화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 입지를 더욱 확고히 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데 필요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미래를 향한 정책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문헌 및 웹사이트 조사, 각종 공공도서관 통계 분석, 2019년 11월부터 12월 사이 도서관 이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명을 도출하고, 비전, 목표, 전략, 핵심과제를 체계화하여 교육문화관(도서관) 정책 기반 강화, 교육 중심 특화장서 개발 및 구성, 이용자 친화적인 공간 재구성 및 지자체 도서관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라는 4개 전략목표 및 16개 핵심 추진사업을 제안하였다.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운영 활성화에는 도서관 건물과 시설, 장서와 서비스, 사서 전문인력을 핵심으로 하는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및 휴먼웨어(HW)의 3개 요소 전반의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래에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 mid- and long-term strategic plan for strengthening the status of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public libraries with the main functions of education, knowledge and culture in the community and helping facilitate the local growth. The current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원도 교육청 소속 교육문화관(도서관)은 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강원도 내 전역에 도서관 서비스와 평생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기존 역할을 평가하고, 향후 도서관 발전 및 독서문화 진흥의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강원도라는 특정한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교육청 소속 교육문화관(도서관)의 사명과 비전 수립 및 핵심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특별히 교육문화관(도서관)이 지속 가능한 계획을 수립하고, 모든 계획을 동시에 추진하기 어려울 경우 실행 가능한 전략의 우선순위를 설정함으로써 순차적 변화와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지향점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지향점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이미 지난 50여 년 간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온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 이용자와 실무자들의 실제적 경험과 요구의 분석 및 반영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도서관 현황을 중심으로 사명과 비전을 새롭게 설정하고, 현재와 같은 급격한 사회적 변화의 시점에서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며, 구체적인 추진전략을 수립하는 것과 더불어, 최적의 특화서비스 모델(안)을 제안하는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기반하여,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이 지역사회 내 점점 심화되는 정보격차, 지식격차, 문화격차, 세대 격차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 해결을 지원하며,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관심과 이해관계를 가진 구성원들 간 대화와 소통을 촉진하는 지식과 문화공간으로서 입지를 확고히 하는 데 필요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미래를 향한 정책적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주요 지자체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들이 21세기 교육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4차 산업혁명의 영향력 확산에 따른 도서관으로서의 비전 및 서비스 모델 혁신, 새로운 정책과 발전전략 수립을 시도하고, 중·장기 발전정책을 마련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 이 연구는 2017년부터 2026년까지 충청남도 대표도서관 및 도내 공공도서관의 중장기 비전과 목표를 수립하며, 이 연구에서는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강화 전략, 교육·학습·문화 활동 등 지원서비스 강화 전략 등을 제안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상기한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각종 현황 분석 및 이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결과에 기반하여 도서관의 사명과 비전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및 주요 전략을 수립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상기한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각종 현황 분석 및 이용자 설문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결과에 기반하여 도서관의 사명과 비전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 및 주요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발전계획과 전략은 이용자, 전문가 및 지역사회가 동의하고 희망하며, 미래가 요구하는 새로운 공공도서관을 구축하기 위한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원도 교육문화관의 운영 활성화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사명을 도출하고, 비전, 목표, 전략, 핵심과제를 체계화하여 교육문화관(도서관) 정책 기반 강화, 교육 중심 특화장서 개발 및 구성, 이용자 친화적인 공간 재구성 및 지자체 도서관과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이라는 4개 전략목표 및 16개 핵심 추진사업을 제안하였다. 강원도 교육문화관(도서관)의 운영 활성화에는 도서관 건물과 시설, 장서와 서비스, 사서 전문인력을 핵심으로 하는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 및 휴먼웨어(HW)의 3개 요소 전반의 개선 및 강화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미래에 지속 가능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자체 교육청 소속 교육문화관의 기본적인 역할은 무엇인가?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 교육, 사회, 산업 및 문화 환경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서 모든 지자체 교육청 소속 교육문화관(도서관)은 학교교육의 지원이라는 기본적 역할과 더불어 지역사회에서 공공도서관으로서 수행하는 역할의 재정립이 점점 더 중요한 과제가 되어가고 있다. 모든 지역사회에서 공공도서관이 지역의 교육 및 문화 수준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경제적 및 사회적 성장 동력을 제공하게 됨에 따라, 특별히 지역의 고유한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공공도서관의 형태로서 교육청 소속 교육문화관(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기대 또한 계속 커지고 있다.
강원도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은 1974년에 개관한 것은 무엇이 있는가? 강원도 인구는 2018년 기준 인구 1,561,313명 (강원도 2019)으로 강원도 교육청 소속 5개 교육문화관과 17개 교육도서관(이하 문맥에 따라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이라 통칭하기도 함)이 강원도 내 학생, 학부모 및 교직원과 지역사회에 1970년대부터 공공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들 가운데 공식적 개관연도는 1970년 개관한 홍천교육도서관이 가장 빠르며, 1974년에 삼척교육문화관, 영월교육도서관 및 평창교육도서관이 개관하였다. 현재 강릉, 삼척, 속초, 원주 및 춘천에 각각 소재하고 있는 5개의 교육 문화관은 양양, 철원, 인제, 문막 등 강원도 전역에 분산된 17개 교육도서관보다 물리적 시설 및 장서 규모가 크고, 1일 평균 이용자 수도 많으며, 지역의 거점 정보센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angwon-do Province. Gangwon Statistical Information. 2019. "Residents Statistics: Year 2018." [online] [cited 2019. 11. 25.] 

  2. Gangwon Office of Education. 2019. The mid- and long-term strategic plan for developing Gangw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M: Kwack Dong-chul. Reseach Organization: Cheongju University. 

  3.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9. Data for Library. [online] [cited 2019. 10. 1.]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Library Statistics." [online] [cited 2020. 6. 3.] 

  5.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eoul Metropolitan Educational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2017.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under the supervision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M.: Cha Mi-kyung. Research Organization: Ewha Womens University. 

  6. Chungchengnam-do. 2018. A Research on the future strategic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Chungchengnam-do. P.M.: Nam Young-jun. Research Organization: Chungang University. 

  7. California State Library. 2019a. California Library Laws 2019. [online] [cited 2019. 10. 18.] 

  8. California State Library. 2019b. Services fo California Public Libraries. [online] [cited 2019. 10. 18.] 

  9. California State Library. 2019c. Library Development Programs and Projects. [online] [cited 2019. 10. 18.] 

  10. Denmark. The Danish Agency for Culture and Palaces. "Public libraries." [online] [cited 2019. 10. 16.] 

  11. Ireland. 2013. Opportunities for All The public library as a catalyst for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A Strategy for Public libraries 2013-2017. Dept. of the Environment, Community and Local Government, Dublin 2013. [online] [cited 2019. 10. 16.] 

  12. Libraries Taskforce. 2014. Libraries Deliver: Ambition for Public Libraries in England 2016-2021. [online] [cited 2019. 6. 30.] 

  13. U.K. Department for Digital, Culture, Media & Sport. "Guidance: Libraries as a statutory service." Updated 23 July 2019. [online] [cited 2019. 10. 18.] 

  14. Thorhauge, Jens. 2002. Danish Library Policy: A selection of recent articles and papers. Copenhagen: Danish National Library Authority. "Scandinavian information policy and financing models." Paper presented at the Bielefeld Conference, Germany, February 2002. [online] [cited 2019. 10. 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