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기난소부전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고찰
A Review of the Domestic Study Trends on Premature Ovarian Failure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obstetrics & gynecology, v.33 no.3, 2020년, pp.20 - 39  

김민경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김순아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김수진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부인과) ,  정우진 (대전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허효승 (대전자생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김혜경 (대전자생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omestic study trends on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Methods: We investigated the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premature ovarian failure via searching 4 online databases. Results: 13 clinical studies w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의학적 치료는 증상들의 완화와 임신율 제고를 위해 단독 혹은 양방의 내과적 치료법에 대한 병용치료로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POF에 대한 최근 국내 한의학 치료와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임상에서 조기난소부전의 치료방향 설정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한의학적 치료는 증상들의 완화와 임신율 제고를 위해 단독 혹은 양방의 내과적 치료법에 대한 병용치료로 적용될 수 있다. 향후 임상연구의 방향설정의 자료로써 현재까지의 연구동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국내에 발표된 조기난소부전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기난소부전의 한의학적 치료에 사용된 한약처방은 무엇인가? 조기난소부전의 한의학적 치료에 있어 가장 많이 활용된 것은 한약으로, 13편의 연구 모두에 적용되었다. 변증에 따른 한약처방을 살펴보면, 陰血虛에 당귀육황탕, 육미합당귀보혈탕, 가미보혈탕, 양혈사물탕, 익모사물탕, 자음강화탕, 안존이천탕, 부익지황환, 가미당귀산, 보원탕, 귀신환합백자인환, 대영전합당귀보혈탕, 대영전합이선탕, 육미합당귀보혈탕, 보혈탕가미방이 사용되었고, 氣鬱에는 분심기음, 대시호탕, 가미소요산, 향부자팔물탕 등이 사용되었다. 腎虛에는 승금단, 우귀환 등이 사용되었고, 熱鬱에서는 시함탕, 형방사백산, 량격산화탕 등이 사용되었다. 瘀血로 변증한 증례에서는 귀출파징탕, 청포축어탕 등이 사용되었으며, 濕痰에는 창부도담탕, 도담탕, 소요온담탕, 도담탕합가미보혈탕 등이 사용되었다. 현재 한방부인과학에서 經閉의 변증 분류는 肝腎不足, 氣血虛弱, 陰虛血燥 등으로, 實證은 氣滯血瘀, 痰濕阻滯 등으로 구분되며6),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는 변증 및 처방도 이와 유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기난소부전이란 무엇인가? 7세로 보고 되고 있다.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Failure, POF)은 40세 이전에 난소기능의 감소로 6개월 이상 월경이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이 40 mIU/mL 이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1).
최근 널리 사용되는 POF를 진단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6%)의 연구에서 사용되었다. POF의 진단은 FSH의 혈중농도가 40 mIU/L 이상으로1), 최근 들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은 항뮬러관호르몬(Anti-Mül erian Hormone, AMH)을 함께 측정하여 평가하는 방법이다. AMH는 난포의 과립막세포에서 생성되며, 25세 정도에 정점을 찍은 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과를 보여 난소 예비능(Ovarian Reserve)를 평가하는데 사용된다25,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n Society of Obstetrics &Gynecology. Gynecology. 4th ed. Seoul:Korea Medical Book Publisher co. 2008:563, 970. 

  2. Davis SR. Premature ovarian failure. Maturitas. 1996;23(1):1-8. 

  3. Huh JS, et al.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n Clinical Aspects in Premature Ovarian Failure. J Korean Menopause. 2011;17(13):160-5. 

  4. Cust MP. Changes in practice since the publication in 2007 of further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and the Million Women Study. Menopause International. 2007;13(4):141-3. 

  5. Jang GB. Gyeongagjeonseo.1st rev. ed. Seoul:Hanmi. 2006:1754-7. 

  6. Korean Oriental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3rd rev. ed. Oriental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 3. Seoul: Euiseongdang. 2016:19-21, 174, 230. 

  7. Choi SJ, Kim DI. A Case Report of Primaacry Ovarian Insufficiency Treat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J Korean Obstet Gynecol. 2019;32(4):170-80. 

  8. Baek JS. A Clinical Study on One Case of a Spontaneous Pregnancy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J Korean Obstet Gynecol. 2018;31(2):95-102. 

  9. Hwangbo SM, et al. A Clinical Study on 1 Case of Pregnancy in Ovulation Disorder Patient Resistant to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J Korean Obstet Gynecol. 2018;31(3):121-30. 

  10. Kang SJ, et al. A Clinical Study on 1 Case of Secondary Amenorrhea after Ovarian Surgery for Bilateral Endometriomas Diagnosed as Premature Ovarian Failure. J Korean Obstet Gynecol. 2018;31(2):113-22. 

  11. Koh JE, Lyou MS. Two Cases of Oriental Medicine on Premature Ovarian Failure by Checking Ultrasonography and Serum Hormone Assay. J Korean Obstet Gynecol. 2016;29(1):116-26. 

  12. Jang SB, et al. A Clinical Study on 1 Case of Infertility Patient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J Korean Obstet Gynecol. 2014;27(3):135-42. 

  13. Kim HJ, et al. Clinical Study for the One Case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by Serum Hormone Assay. J Korean Obstet Gynecol. 2011;24(2):134-41. 

  14. Lee YK, et al. A Case Report of Climacteric Symptoms in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 Who Has One Side Ovariectomy and Pelvic Tuberculosis. J Korean Obstet Gynecol. 2008;21(3):269-78. 

  15. Cho HJ,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28 Case Series. J Korean Obstet Gynecol. 2004;17(4):149-57. 

  16. Cho HJ, Choi EM, Kang MJ. Pregnancy in Premature Ovarian Failure after Oriental Medicine Treatment. Two Cases Report. J Korean Obstet Gynecol. 2004;17(2):200-8. 

  17. Kim SH, et al. A case report of managing the premature ovarian failure patient. J Korean Obstet Gynecol. 2003;16(3):194-9. 

  18. Ko YM, Zhang KH, Kim SW. A Case of Recovery of Ovarian Function in Woman Who was diagnosed as Premature Ovarian Failure. J Korean Obstet Gynecol. 2002;15(4):193-201. 

  19. Choi EM, et al. A Clinical Study on Infertility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J Korean Obstet Gynecol. 2001;14(1):393-408. 

  20. Taylor AE,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estradiol replacement therapy in women with hypergonadotropic amenorrhea. J Clin Endocrinol Metab. 1996;81(10):3615-21. 

  21. Kalantaridou SN,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endothelial dysfunction and estrogen-progestogen replacement. Trends in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6;17(3):101-9. 

  22. Rebar RW. Connoly HV. Clinical features of young woman with hypergonadotropic amenorrhea. Fertil Steril. 1990;53(5):804-10. 

  23. Van Kasteren YM, Schoemaker J. Premature ovarian failure: a systematic review on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restore ovarian function and achieve pregnancy. Hum Reprod Update 1999;5(5):483-92. 

  24.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1st rev. ed.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Gyeonggido: Jipmoondang. 2012:785-811. 

  25. Visser JA, et al. Anti-Mullerian hormone: a new marker for ovarian function. Reproduction. 2006;131(1):1-9. 

  26. La Marca A, et al. Anti-Mullerian hormone (AMH) as a predictive marker i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Hum Reprod Update. 2010;16(2):113-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