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irtual Walkthrough를 이용한 경주 대릉원지구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특성 분석

An Image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Gyeongju Daereungwon Area Using Virtual Walkthrough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20년, pp.108 - 117  

덩베이지아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김영훈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재현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허상현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주시 역사유적지구 대릉원지구를 대상으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체험한 후 평가를 통해 경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미지 요인과 시각적 선호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릉원지구에 대한 선호도 분석으로 노서리 고분군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3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릉원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5는 3점 미만의 낮은 점수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특성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로 특이성, 공간성, 역사성 3가지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요인점수와 시각적 선호도에 대한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특이성이 역사문화경관 대릉원지구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은 입체성이 강하고 실재 경관에 대한 재현 정도가 높으며, 경관분석에 효율적인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로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질의 향상에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경관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akes the Gyeongju Historic Areas Daereungwon Area as the research object, uses the Virtual Walkthrough method for virtual experience and evaluation, the visu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o analyze landscape visual characteristics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factor...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관평가매체의 시야각 및 입체성을 고려하여 Virtual Walkthrough 기법을 이용하고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시각적 평가하는데 연구의 의미를 가진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주역사유적지구 대릉원지구를 대상으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을 이용하여 체험평가를 통해 경관특성을 파악하고 역사문화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도출하며, 역사문화경관의 시각적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기초자료 및 경관개선에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역사문화경관 대릉원지구를 중심으로 가상체험기법을 이용하여 경관평가를 통해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선호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며,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질의 향상, 경관개선에 기초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연구의의를 가진다.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 요소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여 본 연구의 한계점이다.
  •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및 경관평가 매체에 관한 연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Oh, S. M. (2010). A study of the conservation method for historical townscap of Seoul. Chung-Ang University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10-12. 

  2. Natural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2004).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Mun Un Dang. 

  3. Suh, J. H. and Kim, S. Y. (2013).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Perception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A Case of Gyeongbok Pal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1): 108-117. 

  4. https://namu.wiki/w 

  5. Yeo, H. S., Suh, J. H. and Kim, S. Y. (2012). An Analysis of the Visual Preference and Landscape Image of Historic-cultural Landscape in the City -Mainly the external view point of Gyeongbok-Gung-.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12(3): 11-20. 

  6. Kim, S. Y. (2013). Study on visu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cultural Landscape -A Case of Gyeongbok-Gung-. Kyung Hee University Environmental and Landscape architecture: 30-38. 

  7. Lee, W. H. and Kim, J. U. (2013). Research on the Visual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of Seongbuk-do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 118-127. 

  8. Suh, J. H., Kim, S. B., Rho, J. H. and Huh, J. (2009). A Comparative Analysis on Image Structures of Jeju ‘Oreum’ between Koreans and Foreigner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1): 65-77. 

  9. Kim, K. T.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Experience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Trail -Focused on Insadong-gil-.: 64-65. 

  10. Jung, S. G., Shin, J. Y., Kim, K. T. and Choi, C. H. (2012). Sensibility Image and Preference Analysis of Street Tree Species using 3D Simulation -Focused on Tongdaeguro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47-59. 

  11. Shin, J. Y., Jung, S. G., Kim, K. T. and Lee, W. S. (2011). Evaluation of Seasonal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 of Streetscapes -Focusing on Street of Prunus Spec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51-63. 

  12. Chang, J. H., Kim, C. S. and Lee, I. S. (2009). Curved Screen Display Immersion Simulation System for Landscape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3): 61-68. 

  13. Kang, T. H., Leem, Y. T. and Lee, S. H. (2013). Application of GIS to Select Viewpoints for Landsca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 101-113. 

  14. Lee, I. J. (2016). Analysis of Setting Indicators for the Selection of Landscape Simulation View Point and their Importance to Improve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0): 709-718. 

  15. Choi, Y., Son, S. W., Lee, K. H. and Im, S. B. (2012). An Analysis Study of Landscape View Point on Urban Histo-Cultural Area -Focused on Bukchon Hanok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3): 80-86. 

  16. Do, N. Y. and Hwang, H. J. (2014). An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Landscape Cognition in Incheon and Their Effect on the City Image: Focused on Visitors. 27(2): 147-165. 

  17. Huo, Q. Q. and Kim, D. C. (2014). A Study on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in Beijing street landscape of the traditional folk houses -With a Comparison of Consciousness between Korean and Chinese-.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30(-): 147-158. 

  18. Shin, J. H., Shin, M. J. and Kim, D. H. (2014). Analysis of Landscape Image of Old-town in Cheon-an -Focus on the Commercial Street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6(1): 26-38. 

  19. Ku, J. Y. and Kim, S. W. (2013).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Landscape Image of Commercial Streetscape -Based on Sinsadong Garosu Street-.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13(4): 257-267. 

  20. Park, S. H. (2008). A Study of Landscape Image Analysis about Cultural Space in Civic Center, Seou. Sangmyung University Landscape Architecture: 48-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