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한국과 중국 시내면세점 만족 속성과 소비자 평점에 미치는 영향 분석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A Text Mining Analysis of Attributes for Satisfaction and Effect of Consumer Ratings to Korea and China Duty Free Stores - Focusing on Chinese Tourists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1 - 9  

양다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김종욱 (성균관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국 최대 온라인 리뷰 사이트인 Dazhong Dianping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은 한국과 중국 시내 면세점의 어떠한 속성들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어떠한 Cluster들이 별점 점수(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한국 시내면세점 리뷰 5,659개 중국 산야 시내면세점 리뷰 4,051개 총 9,710개를 R을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시내 면세점에서는 Sale, Membership, Food가 총 별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시내면세점에서 Sale, Product, Airport, Food, Membership이 총 별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세점 만족도 속성 중 Food라는 속성을 발견하면서 면세점 쇼핑 중 이용할 수 있는 식당 등의 편의 시설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면세점 선택 및 만족의 새로운 속성을 찾았다는 점에 기인하여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었다. 실무적으로 면세점 종사자들에게 식당 등의 편의시설 공간 제공이 중요함을 인식시킬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find new attributes by analyzing Korea and China duty free store online reviews and examine the influence of these attributes on star ratings(satisfaction)of duty free store. For study, we used Dazhong Dianping that largest online review site in China. Using R, we analyzed 5,659 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시내 면세점 중 롯데, 신라, 신세계와 중국 산야면세점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인 관광객들의 쇼핑 장소 1위는 시내면세점으로 가장 많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시내면세점에 대해 연구하였다. 한국 시내 면세점 중 롯데, 신라, 신세계 3개 그룹에 대해서만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첫 번째, 해당 연구에서 사용한 LDA는 단순히 단어가 몇 번 나오는 것인가에 따라 Cluster를 나눈 것이기 때문에 해당 단어의 긍·부정 표현을 알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 1점은 매우 불만족, 5점은 매우 만족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독립변수들이 총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자하였다. 따라서 LDA를 통해 추출한 주제를 독립변수로 설정한 후, 총 별점과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 최근 중국에서는 자국의 면세점 산업에 대한 힘을 실어주고 있으며 한국 면세 시장에 대한 공세를 예고하였다. 이를 대비하기 위한 한 연구로 다음과 같은 연구 목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중국인 관광객들은 한국과 중국 시내 면세점의 어떠한 속성들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를 검토하고, 궁극적으로 중국인들이 생각하는 한국과 중국 시내 면세점 온라인 리뷰의 주요 속성들을 파악하여 어떤 속성들이 면세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OM이란? WOM(Word-of-Mouth)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발생 하는 비즈니스 또는 제품에 대한 비공식적 의사소통이며, 오래전부터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 행동을 촉진하는데 있어 중요한 정보 공급원이 되어왔다[6]. 오늘날 인터넷과 정보기술은 소비자들이 제품에 대한 평가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장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WOM이 나타났다[7, 8].
온라인 구전이란? 온라인 구전(eWOM)이란 메일이나 하이퍼텍스트를 매개로 하여 소비자들이 특정 기업이나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간의 직간접 경험을 통해 얻어진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정보를 교환하는 커뮤니케이션 행위 또는 과정을 말하는 것이다[9]. 특히 스마트폰의 확산과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인스타그램(Instagram), 블로그(Blog)와 같은 소셜미디어(Social Media)의 등장으로 소비자의 쌍방간 의사소통 비용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온라인 구전의 장소, 대상, 범위의 제약이 사라져 온라인 구전의 파급효과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10].
LDA는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 LDA는 비지도학습 기술로 주어진 문헌에 대해 어떤 주제들이 존재하는지를 찾아내는 확률적 토픽모델기법 중 하나이다. 실제로 관찰 가능한 단어들을 통해 문헌들에 어떠한 주제들이 포함되어있는지 추론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미리 파악된 주제별 단어수 분포를 바탕으로 현재 문헌의 단어수 분포를 분석하여, 해당 문헌이 가진 주제들을 파악하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 E. Kent, P. J. Shock & R. E. Snow. (1983). Shopping: Tourism's Unsung Hero(ine). Journal of Travel Research, 21(4), 2-4. 

  2. D. J. Timothy & R. W. Butler. (1995). Cross-Boder Shopping: A North American Perspective. Annals of Tourism Research, 22(1), 16-34. 

  3. M. Geuens, D. Vantomme & M. Brengman. (2004). Developing a Typology of Airport Shoppers. Tourism Management, 25(5), 615-622. 

  4. Korea Tourism Knowledge & Information System. (2019). https://www.tour.go.kr 

  5. Y. S. Yang & J. M. Park. (2013). The Influence of On-line Travel Inforamtion Attributes on Acceptable Intentions and Word of Mouth Effect in Online-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Usefulness.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5(7), 195-214. 

  6. T. Christiansen & S. S. Tax. (2000). Measuring Word of Mouth: The Questions of Who and When?.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6(3), 185-199. 

  7. Z. Zhang, Q. Ye, R. Law & Y. Li. (2010). The Impact of E-Word-of-Mouth on the Online Popularity of Restaurants: A Comparison of Consumer Reviews and Editor Review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29(4), 694-700. 

  8. B. A. Sparks & V. Browning. (2011). The Impact of Online Reviews on Hotel Booking Intentions and Perception of Trust. Tourism Management, 32(6), 1310-1323. 

  9. H. S. Lee & D. R. Lyi. (2004).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Postscript as Word-of-Mouth. Journal of Public Relations, 8(2), 234-268. 

  10. I. K. Kim. (2016). The Dynamics of Online Word-of-Mouth and Marketing Performance: Exploring Mobile Game Application Reviews Using Text-Mining and Machine-Learning. Korea University Doctoral Thesis. 

  11. U. Gretzel & K. H. Yoo. (2008). Use and Impact of Online Travel Reviews.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ourism, (pp. 35-46). Innsbruck, Austria. 

  12. D. H. Park, J. Lee & I. Han. (2007). The Effect of On-line Consumer Reviews on Consumer Purchasing Intention: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1 (4), 125-148. 

  13. Y. Chen & J. Xie. (2008). Online Consumer Review: Word-of-Mouth as a New Element of Marketing Communication Mix. Management Science, 54(3), 477-491. 

  14. H. Baek, J. Ahn & Y. Choi. (2012). Helpfulness of Online Consumer Reviews: Readers' Objectives and Review Cu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17(2), 99-126. 

  15. D. Buhalis. (1997). Information Technology as a Strategic Tool for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Environmental Benefits Enhancement of Tourism at Destination Regions. Progress in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 71-93. 

  16. K. Hamada. (1974). An Economic Analysis of the Duty-Free Zone. Journal of International Economics, 4(3), 225-241. 

  17. S. H. Chun. (2008). The Development Programs of Professionals in the Duty Free Shop. Hanyang University Master Thesis. 

  18. W. Fan, L. Wallace, S. Rich & Z. Zhang. (2006). Tapping the Power of Text Min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9), 77. 

  19. H. K. Cho. (2019). The Big 3 Gap Has Narrowed, But Even Worse. http://kdfnews.com/news/view.php?idx33590 

  20. J. W. Hwang. (2019). Allow Up to Six Additional Duty Free Shops in the City, Infostock Daily. http://www.infostock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568 

  21. N. Hu, J. Zhang & P. A. Pavlou. (2009). Overcoming the J-shaped Distribution of Product Reviews. Communications of the ACM, 52(10), 144-147. 

  22. M. Y. Ko & S. H. Oh. (2012). Duty Free Store Shopp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Chinese Tourists. Journal of Tourism Science, 36(1), 201-2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