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Work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Nursing Confidence of Nurses in Convalescent Hospital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293 - 299  

윤영미 (백세요양병원 간호과) ,  우정희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사의 간호역량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년 7 월부터 2019년 8월까지 D 시 8개 요양병원 간호사 16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SPSS / 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적용하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가치감,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 대학원(교육수준), 휴직경험 없음, 2 교대 근무형태가 간호역량을 5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에 대한 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을 증진하고 전문적인 교육기회와 재취업간호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ed to identify convergence effects of nurses' competence of convalescent hospitals. During from July 2019 to August 2019,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nurses of 8 convalescent hospitals in D cit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 WIN 25.0 program by t-tes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역량 증진에 필요한 요인을 탐색함에 있어 거의 시도된 바 없는 일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을 포함하여 간호역량 증진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D 광역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가치감,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일가치감,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간호역량의 정도를 파악하고,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역량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대상자의 일가치감,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 간호역량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최종적으로는 대상자의 일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이 간호역량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양병원의 목적은? 최근 만성질환 및 장기요양을 목적으로 하는 요양병원은 양적 확장에 의한 증가에 있다. 그러므로 이를 뒷받침 할 양질의 관리체계 또한 중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부서 간 협력이 많이 요구되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의 특징은? 부서 간 협력이 많이 요구되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은 구성원들 간 원만한 정보교환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구성원 간에 정보 교환적 상호작용과 행위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는 의미인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은 일반 기업 구성원의 역량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14,15].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간호역량 증진에 필요한 요인을 탐색함에 있어 거의 시도된 바 없는 일가치감과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을 포함하여 간호역량 증진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이유는? 지금까지 국내 요양병원이나 노인시설 간호사의 간호역량 연구는 주로 자기효능감, 조직시민행동[4], 전문직 자아개념, 간호직 만족도 및 스트레스[17] 및 일반적 특성이나 간호역량 중요성 인식[5]이며, 국외 논문은 거동 가능한 대상자의 운동지각을 돕는 역량[18]이나 사회복지가 발달된 북유럽 국가에서 요양병원이나 노인시설의 간호역량으로는 재입원 시 타부서 협조나 장비 등을 적절히 활용하는 역량과 같이[6], 전반적인 간호역량 중 매우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역량에 초점하여 탐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도 의미 있는 탐색이지만, 개인차원 요인에 해당하는 일가치감과 조직차원 요인이 반영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같이 개인과 조직 요인이 융복합적으로 파악될 때 실무적용에 있어 좀 더 가치 있는 지식체로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 G. Shimshak, M. L. Lenard & R. K. Klimberg. (2009). Incorporating Quality into Data Envelopment Analysis of Nursing Home Performance: A Case Study. Omega, 37(3), 672-685. DOI : 10.1016/j.omega.2008.05.004 

  2. M. Sohn & M. Choi. (2014). Association between Efficiency and Quality of Health Care in South Korea Long-term Care Hospitals: Using the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Matrix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4(4),418-427. DOI : 10.4040/jkan.2014.44.4.418 

  3. M. R. Sim & K. H. Kim. (2010). Job Satisfaction, Self-esteem, and Nursing Task Performance among Registered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4), 446-454. DOI : 10.11111/jkana.2010.16.4.446 

  4. Y. J. Kim & J. S. Park. (2019). Influ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Nursing Competency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5(1), 81-89. DOI : 10.14370/jewnr.2019.25.1.81 

  5. E. Kim & M. Gu. (2015). Recognition for Nursing Competency Importance, Nursing Competency Level,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of Nurses in the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3), 1989-2001. DOI : 10.5762/KAIS.2015.16.3.1989 

  6. M. K. Glette, O. Roise, T. Kringeland, K. Churruca, J. Braithwaite, & S. Wiig. (2018). Nursing Home Leaders' and Nurses' Experiences of Resources, Staffing and Competence Levels and the Relation to Hospital Readmissions - a case study.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8:955. 1-15. DOI: 10.1186/s12913-018-3769-3 

  7. E. H. Kim & E. Lee. (2015). Nursing Outcomes of Inpatient on Level of Nursing Staff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3), 715-727. DOI : 10.7465/jkdi.2015.26.3.715 

  8. C. Garrett. (2008). The effect of Nurse Staffing Patterns on Medical Errors and Nurse Burnout.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87(6), 1191-1204. DOI : 10.1016/j.aorn.2008.01.022 

  9. P. Benner. (2013). Issues in Competency-based Testing. Nursing Outlook, 30(5), 303-309. 

  10. H. S. Kim, S. Min & S. I. Im. (2013). The effect of Nurse's Competency Empowerment and Boss' Job Competency Recognition Level on Work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2), 75-82. DOI : 10.5807/kjohn.2013.22.2.75 

  11. J. Kim, S. Y. Jeong, S. H. Kim & J. O. Kim. (2014). Predictor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Burnout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2), 130-140. DOI : 10.17079/jkgn.2014.16.2.130 

  12. D. Oh, Y. Lee, M. Kim & Y. Suh. (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ceived Value of Work and its Determinants.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7(2), 187-221. 

  13. J. Lopez, J. Lopez-Arrieta & M. Crespo.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ositive impact of Caring for Elderly and Dependent Relative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1(1), 81-94. DOI : 10.1016/j.archger.2004.12.001 

  14. Y. Kwon & J. Kim. (2009). Effect of the Communication Skill of Organization on their Job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7(4), 141-148. 

  15. C. W. Downs & M. D. Hazen. (1977). A Factor Analytic study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4(3), 63-73. DOI : 10.1177/002194367701400306 

  16. G. Lee. (2012).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ve Decision-making on Corporate Performance.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2(3), 268-300. 

  17. S. J. Kim, M. S. Choi & K. W. Sung. (2010).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1), 29-39. 

  18. H. Gattinger, B. Senn, V. Hantikainen, S. Kopke, S. Ott, H. Leino-Kilpi. (2018). The self-reported and Observed Competence of Nursing Staff in Mobility Care based on Kinaesthetics in Nursing Homes- a cross-sectional study. Pflege, 31(6), 319-329. DOI : 10.1024/1012-5302/a000641 

  19. N. Je & J. Han. (2017). The influence of Internal Marketing o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Str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7(1), 515-542. DOI : 10.15709/hswr.2017.37.1.515 

  20. P. Benner. (1982). From Novice to Expert.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82(3), 402-407. 

  21. M. H. Hwang. (2011). Relation between Core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in Hospital's Nursing Organization and Nursing Compet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2. N. S. Ha & J. Choi. (2010). An Analysis of Nursing Competency affecting on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3), 286-294. DOI : 10.11111/jkana.2010.16.3.286 

  23. J. Lee. (2010). Differential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Work and Self-efficacy on Job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4. S. Y. Kim, G. Y. Lee & S. S. Baek. (2013).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the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Nurses. Health and Social Science, 33, 135-160. 

  25. Y. I. Park, J. A. Kim, J. Ko, M. S. Chung, K. Bang & M. Choe, et al. (2013). An identification study on Core Nursing Competenc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63-674. DOI : 10.5977/jkasne.2013.19.4.663 

  26. S. J. Kim, M. S. Choi & K. W. Sung. (2010). Variables affecting Competency of Nurse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2(1), 29-39. 

  27. V. A. Queen. (1995). Performance Evaluation. Nursing Management, 26(9), 52-57. DOI : 10.1097/00006247-199509000-00009 

  28. Y. Seong. (2012).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Theory.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3(1), 19-47. 

  29. Y. Chang & Y. Cho, & M. Kwak. (2006). A study of factors related Nursing Competency in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12(1), 7-19. 

  30. H. J. Jung & H. Chung. (2016). Adaptation process of Nurses who return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2(1), 33-45. DOI : 10.11111/jkana.2016.22.1.33 

  31. K. Jang & Y. Yi. (2018). Influence of Awareness and Perceived Ease in Using Parental Leave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 Public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3), 211-220. DOI : 10.11111/jkana.2018.24.3.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