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렬적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중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변화궤적: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Trajectorie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Couples Using Parallel Latent Growth Model: Actor and Partner Effect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8 no.3, 2020년, pp.333 - 341  

조규영 (동아대학교 기초교양대학) ,  이설아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trajectorie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 aged couples for 8 years. This study focused on middle and old aged couples who were relatively uninterested in family research. Using the 1-5 Wave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06-2014, the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의 궤적을 병렬적으로 분석하여 장기간 부부관계의 역동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모두 포함한 APIM을 이용하여 남편(아내)의 결혼만족도의 초기값이 배우자의 변화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부의 상호작용 방식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의 변화궤적이 서로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부 자료(dyadic data)를 활용하여 병렬적 잠재성장모형(Pare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 Muthén & Curran, 1997; Singer & Willet, 2003)을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모두 포함한 APIM을 이용하여 남편(아내)의 결혼만족도의 초기값이 배우자의 변화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부의 상호작용 방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평균수명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족 연구에서 비교적 관심을 받지 못했던 중노년기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남편의 초기 노년기 결혼만족도가 장기적으로 여성 배우자의 중노년기 결혼만족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 은퇴 및 기타 사회적 지위 변동을 경험하는 초기 노년기에 남성 배우자를 주 대상으로 포함한 부부관계 재정립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APIM은 개인의 특성이 그 자신에게 미치는 자기효과와 개인의 특성이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를 동시에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남편과 아내 결혼만족도 궤적의 잠재변수인 초기값(intercept)과 변화율(slope) 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분석하여 중노년기 부부관계의 역동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남편이 연소노인에 속하는 중노년기 부부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도 변화궤적과 이 궤적 간의 연관성을 APIM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의 요약과 이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중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의 궤적을 병렬적으로 분석하여 장기간 부부관계의 역동성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모두 포함한 APIM을 이용하여 남편(아내)의 결혼만족도의 초기값이 배우자의 변화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부의 상호작용 방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평균수명 증가에도 불구하고, 가족 연구에서 비교적 관심을 받지 못했던 중노년기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였다.
  • 앞서 살펴본 것처럼 중노년기 결혼만족도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결혼생활, 사회문화적 맥락, 성별에 따른 개인차를 종합하여 살펴보아야 하며, 반드시 부부 맥락에서 아내와 남편의 각 궤적이 서로 간에 연관되는 방식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5차 자료를 이용하여 중노년기 부부의 8년간 결혼만족도 변화를 병렬적 잠재성장모형(Parallel Latent growth model)을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잠재성장모형은 생애과정관점을 적용하여 개인 내 변화양상을 분석하기에 알맞은 모형이며(George, 2009), 이를 확장한 병렬적 잠재성장모형은 부부 맥락에서 남편과 아내의 변화궤적 간 관계를 볼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으므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중노년기 결혼만족도의 변화궤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러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가족형성 단계인 결혼 직후부터 변화궤적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2. 중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의 변화궤적은 병렬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 둘째, 본 연구는 1차년도 남편이 연소노인이었던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중노년기의 결혼 관계는 결혼부터 장기간 지속된 것으로 가정하고 결혼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기존의 결혼만족도 궤적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결혼기간(James, 2015)을 결혼만족도와 연관된 주요 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인구학적 특성에서 연구대상 부부의 결혼관계의 특성으로 반드시 포함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len, K. R., Blieszner, R., & Roberto, K. A. (2000). Families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A review and critique of research in the 1990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2 (4), 911-926. https://doi.org/10.1111/j.1741-3737.2000.00911.x 

  2. Amato, P. R., Booth, A., Johnson, D. R., & Rogers, S. J. (2007). Alone together: How marriage is changing in America.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3. Armonk (2017). IBM SPSS Statistics 24.0. NY, USA: IBM Corp. 

  4. Birditt, K. S., Hope, S., Brown, E., & Orbuch, T. (2012).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marital happiness over 16 years.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9 (2), 126-144. https://doi.org/10.1080/15427609.2012.680844 

  5. Boerner, K., Jopp, D., Carr, D. S., Sosinsky, L., & Kim, S. K. (2014). "His" and "her" marriage? the role of positive and negative marital characteristics in global marital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9 (4), 579-589. https://doi.org/10.1093/geronb/gbu032 

  6. Carstensen, L. L. (1987). Age-related changes in social activity. In L. L. Carstensen & B. A. Edelstein (Eds.), Handbook of Clinical Gerontology. Pergamon general psychology series (pp. 222-237). New York: Pergamon Press. 

  7. Carstensen, L. L. (1992). Social and emotional patterns in adulthood: Support for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Psychology and Aging, 7 (3), 331-338. https://doi.org/10.1037/0882-7974.7.3.331 

  8. Chung, H. S. (1997). Marital relations: A critical review and development of measurement.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 (1), 191-204. 

  9. Duvall, E. M. (1971). Family Development. Philadelphia: Lippincott. 

  10. Elder, G. H. (1998). The life course as developmental theory. Child Development, 69 (1), 1-12.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28.x 

  11. George, L. K. (2009).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rajectories. In G. H. Elder, Jr. & J. Z. Giele (Eds.), The craft of life course research (pp. 163-186).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12. Glenn, N. D. (1990). Quantitative research on marital quality in the 1980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4), 818-831. https://doi.org/10.2307/353304 

  13. James, S. L. (2015). Variation in trajectories of women's marital quality. Social Science Research, 49, 16-30.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14.07.010 

  14. Kelley, H. H., Holmes, J. G., Kerr, N. L., Reis, H. T., Rusbult, C. E., & Van Lange, P.A. (2003). An Atlas of interpersonal situat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Kenny, D. A. (1996). Models of non-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3 (2), 279-294. https://doi.org/10.1177/0265407596132007 

  16. Kim, C. S. & Choi, H. J. (2011). Satisfaction on marital relationship of husband and wife in old age. Th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4 (2), 1-15. 

  17.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9). 2019 Klosa User's Guide. 

  18. Lee, J. Y. & Chung, H. J. (2015).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relationship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Focusing on the gender and age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6(4), 575-593. 

  19. Lee, K. H., Jeong, S. H., Jahng, S. M. (2017) Associations of longitudinal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couples: An application of the dyadic grow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Survey Research, 18 (4), 25-59. http://dx.doi.org/10.20997/SR.18.4.2 

  20. Lupri, E., & Frideres, J. (1981). The quality of marriage and the passage of time: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ycle. Canadian Journal of Sociology, 6 (3), 282-305. https://doi.org/10.2307/3340235 

  21. Meredith, W., & Tisak, J. (1990). Latent curve analysis. Psychometrika, 55 (1), 107-122. https://doi.org/10.1007/BF02294746 

  22. Muthen, B. O., & Curran, P. J. (1997). General growth modeling in experimental designs: A latent variable framework for analysis and power estimation. Center for Research on Evaluation, Standards, and Student Tes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Informatio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3. Muthen, L. K. & Muthen, B. O. (2017). Mplus user's guide (8th ed.). Los Angeles, CA: Muthen & Muthen. 

  24. Park, B. S. & Bae, S. W. (2011). An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changes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relationship and its predictors: Focusing on the sex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34 (0), 41-76. 

  25. Proulx, C. M., Ermer, A. E., & Kanter, J. B. (2017).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of marital quality: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Family Theory & Review, 9 (3), 307-327. https://doi.org/10.1111/jftr.12201 

  26. Rusbult, C.E., & Van Lange, P.A. (2003). Interdependence, interaction and relationships. Annual Review in Psychology, 54 (1), 351-375.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4.101601.145059 

  27. Schafer, J. L., & Graham, J. W. (2002). Missing data: Our view of the state of the art. Psychological Methods, 7 (2), 147-177. https://doi.org/10.1037//1082-989X.7.2.147 

  28. Seoul National University Asia Research Institute Korea Social Science Data Institute (2019. 1. 24). Utilization of health, medical and welfare data through data link. The 6th KOSSDA data fair. 

  29. Singer, J. D., & Willett, J. B. (2003).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30. Spanier, G. B., & Lewis, R. A. (1980). Marital quality: A review of the seventi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2 (4), 825-839. https://doi.org/10.2307/351827 

  31. Statistics Korea. (2018). 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Retrieved March 6, 2020, from https://www.census.go.kr/dat/prs/prsDetail.do 

  32. Statistics Korea. (2019). 2019 Elderly statistics. Retrieved March 6, 2020, from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7701 

  33. Tower, R. B., Kasl, S. & Darefsky, A. S. (2002). Types of marital closeness and mortality risk in older couples. Psychosomatic Medicine, 64 (4), 644-659. https://doi.org/10.1097/00006842-200207000-00015 

  34. Vaillant, C., & Vaillant, G. E. (1993). Is the U-curve of marital satisfaction an illusion? A 40-year study of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5 (1), 230-239. https://doi.org/10.2307/352971 

  35. VanLaningham, J., Johnson, D. R., & Amato, P. (2001). Marital happiness, marital duration, and the U-shaped curve: Evidence from a five-wave panel study. Social forces, 79 (4), 1313-1341. https://doi.org/10.1353/sof.2001.0055 

  36. Waite, L. J. (1995). Does marriage matter?. Demography, 32 (4), 483-507. https://doi.org/10.2307/2061670 

  37. Walker, R. B., & Luszcz, M. A. (2009). The health and relationship dynamics of late-life coupl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geing & Society, 29 (3), 455-480. https://doi.org/10.1017/S0144686X08007903 

  38. Windsor, T. D., & Butterworth, P. (2010). Supportive, aversive, ambivalent, and indifferent partner evaluations in midlife and young-old adulthood.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65 (3), 287-295. https://doi.org/10.1093/geronb/gbq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