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해결학습의 알고리즘 교육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lgorithm Education Based on Problem-solving Learning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8, 2020년, pp.173 - 178  

이영석 (강남대학교 KNU참인재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과의 협업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사람 간의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인재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 과학 기반의 인공지능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컴퓨터 과학 교육을 위해서는 문제 해결 학습 중심의 알고리즘 교육에 초점을 두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 해결 학습 중심의 알고리즘 교육을 받은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학기 초의 컴퓨팅 사고력 진단을 실시한 결과와 학기 말의 만족도 조사와 학업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진단한 결과와 문제 해결 학습, 교수법, 강의 만족도, 기타 환경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 해결 학습이 강의 만족도와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컴퓨터 과학 교육을 위해서 문제 해결 학습 기법과 함께 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하는 방법을 추구한다면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near future,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computing network technology develop, collaboration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will become important. In an AI society,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among people is an important element of talent.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문제해결학습 중심의 알고리즘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학생들의 태도와 흥미도가 학업 성적과 알고리즘 해결 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문제해결학습 과정의 만족도와 관계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기존에 문제해결학습 중심의 알고리즘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여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23-25]. 또한, 이전 학기에 수강했던 사례와 강의 내용과 학생들의 수준과 학업 성향 등을 분석하여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내용을 체계화하고자 노력하였다. 다양한 사례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를 위해서 준비한 문제해결학습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 28명을 대상으로 python 기반의 알고리즘 교육을 문제해결학습 중심 형태로 강의를 진행하고, 그에 따른 학생들의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준비한 강의 주요 일정과 내용은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컴퓨터 과학 교육에 대한 태도와 흥미도가 알고리즘 교육과 실제 학업 성적에 어떤 연관성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알고리즘 교육 효과를 실시하기 위해서 일상생활과 관련이 있는 문제 해결 기반의 상황을 제시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검사지를 개발하고 이를 대학교 전공과목에서 적용하였으며 프로그래밍 기본 능력 평가는 학습자 진단을 위한 사전 검사로 실시하고, 학업 태도와 만족도에 대한 검사를 사후 검사로 실시하여 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고리즘 교육에서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알고리즘 교육에서는 알고리즘의 단계에 따라서 문제 해결책을 생각하고 본인의 아이디어로 문제를 풀어나가는 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학생들이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개념과 함께 다양한 문제 해결을 시도하도록 내용을 체계화해야 하며,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교육 내용 마련과 이를 적용할 수 있는 문제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16].
인공지는 시대에서 인재의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과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공지능과의 협업이 중요하게 될 것이다. 인공지능 시대에는 사람 간의 의사소통과 협업 능력이 인재의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컴퓨터 과학 기반의 인공지능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단계는 무엇인가? - 문제 정의 또는 문제 관련 사항 진술 - 문제 해결을 위한 모델 설계 및 개발 - 알고리즘 설계 - 알고리즘의 정확성 확인 - 프로그래밍 언어 구현 - 알고리즘의 복잡성 분석 및 연구 - 프로그램 테스트와 디버깅 - 문서화 준비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J. Lee & S. W. Kim. (2019). Analysi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aching Cas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5), 11-25. DOI : 10.32431/kace.2019.22.5.002 

  2. S. Jeon, Y. Son & S. Park. (2020). Analysis of the ICILS 2018 Results by Korean Students' Educational Experience in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3), 1-8. DOI : 10.32431/kace.2020.23.3.001 

  3. O. H. KANG. (2020).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3), 9-15. DOI : 10.32431/kace.2020.23.3.002 

  4. J. K. Shim & D. Y. Kwon. (2019),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Tangible Coding Tools for Algorithmic Thinking Focused on Programming Activiti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6), 77-90. DOI : 10.32431/kace.2019.22.6.002 

  5. G. Chen, , J. Shen, L. Barth-Cohen, S. Jiang, X. Huang & M. Eltoukhy. (2017).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in everyday reasoning and robotics programming. Computers & Education, 109, 162-175. DOI : 10.1016/j.compedu.2017.03.001 

  6. B. C. Czerkawski & E. W. Lyman. (2015). Exploring issues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in higher education. TechTrends, 59(2), 57-65. DOI : 10.1007/s11528-015-0840-3 

  7. E. J. Kim. (2019). A Study on Difficulty Equalization Algorithm for Multiple Choice Problem in Programming Language Learning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3), 55-65. DOI : 10.32431/kace.2019.22.3.005 

  8. H. Y. Durak, F. G. K. Yilmaz & R. Yilmaz. (2019). Computational Thinking, Programming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nd Experiences in the Programming Process Conducted with Robotic Activities. Contemporary Educational Technology, 10(2), 173-197. DOI : 10.30935/cet.554493 

  9. Y. Lee & J. Cho. (2018). Factor Analysis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Software Education Based on Problem-Solving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120(6), 4953-4967. 

  10. Y. Lee & J. Cho. (2020).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using knowledge discovery comput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21(1), 15-28. DOI : 10.1007/s10799-019-00299-9 

  11. D. Topalli & N. E. Cagiltay. (2018). Improving programming skills in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problem-based game projects with Scratch. Computers & Education, 120, 64-74. DOI : 10.1016/j.compedu.2018.01.011 

  12. A. C. Adamuthe & S. U. Mane. (2020). PBL Based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Inculcating Research Aptitude in CS/IT Student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Transformations, 33, 585-594. DOI : 10.16920/jeet/2020/v33i0/150125 

  13. B. Panapt & C. Pandit. (2019).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in Undergraduate Engineering Course of Cryptography and Security in Computer Scien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Transformations, 33(1), 153-158. DOI : 10.16920/jeet/2019/v33i1/149006 

  14. J. Broisin & C. Herouard. (2019). Design and Evaluation of a Semantic Indicator for Automatically Supporting Programming Learning. International Educational Data Mining Society. 

  15. C. Angeli & M. Giannakos. (2020).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Issues and challenges. DOI : 10.1016/j.chb.2019.106185 

  16. A. Basuhail. (2019). e-Learning objects designing approach for programming-based problem solving. e-Learning, 2(1). 

  17. M. Gong & H. Zhang. (2019, September). Study on the Teaching Reform for Theory and Application of Algorithm Analysis based on OBE. In 201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Education and Social Science Research (ICAESSR 2019). Atlantis Press. DOI : 10.2991/icaessr-19.2019.39 

  18. P. J. Giabbanelli, A. A. Tawfik & V. K. Gupta. (2019). Learning analytics to support teachers' assessment of problem solving: A novel application for machine learning and graph algorithms. In Utilizing learning analytics to support study success (pp. 175-199). Springer, Cham. DOI : 10.1007/978-3-319-64792-0_11 

  19. S. M. Biju. (2019). Benefits of Working in Pairs in Problem Solving and Algorithms-Action Research. 

  20. S. Psycharis & M. Kallia. (2017). The effects of computer programming on high school students' reasoning skills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Instructional Science, 45(5), 583-602. DOI : 10.1007/s11251-017-9421-5 

  21. Z. Kazanci. (2017). Teaching computer algorithm as a medium of improving problem solv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y, 7(3), 179. DOI : 10.18178/ijssh.2017.7.3.815 

  22. J. W. McManus & P. J. Costello. (2019). Project based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a student and research advisor's perspective. Journal of Computing Sciences in Colleges, 34(3), 38-46. 

  23. Y. Lee. (2018). Analyzing the effect of software education applying problem-solving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95-100. DOI : 10.14400/JDC.2018.16.3.095 

  24. Y. Lee. (2018). Python-based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Non-Computer Maj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73-78. DOI : 10.15207/JKCS.2018.9.3.073 

  25. Y. Lee & J. Cho. (2019).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Problem-solving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49-54. DOI : 10.22156/CS4SMB.2019.9.2.0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