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허약이 부정적 결과요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derly Frailty on Adverse Outcom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87 - 97  

이정욱 (신라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허약의 유의미한 부정적 결과요인들을 검증해 그 인과적 관계를 실증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국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2017년도 조사 자료를 활용하되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 검증에 필요한 9개 변수만을 추출해서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6가지의 허약요인의 하위 변수들을 위계적 회귀분석에 투입해 부정적 결과요인의 하위 변수인 일상생활활동 장애,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장애, 의료서비스 이용에의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 결과 일상생활활동 장애에 미치는 영향 실증 결과에서는 최종 모형에서 신체활동, 감정 조절,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변수로 검증되었고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장애에 미치는 영향 실증 결과에서는 최종 모형에서 신체활동, 감각기능, 인지력, 감정 조절,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변수로 검증되었으며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실증 결과에서는 최종 모형에서 영양, 신체활동, 감각기능, 감정 조절,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영향변수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에 기초할 때 장애나 의료서비스 이용과 같은 부정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노인허약요인을 구체적으로 식별해 그에 상응하는 개별화된 건강관리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piricall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ignificant adverse outcomes of elderly frailty. The 2017 National Survey on Old Adults was used to test this, but only nine variables necessary for the hypothesis test were abstracted from it. The results of the hypoth...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고 오은미[28]가 개발한 한국노인허약사정도구를 참고해 노인허약을 측정한 후 노인허약이 부정적 결과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노인허약의 개념을 다차원적 구성 개념으로 이해하고 부정적 결과요인에 속한 다양한 하위 변수 간 인과관계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한 Gobbens 등[10]의 통합적 개념모델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노인실태조사 자료에서 측정 가능한 변수를 적용해 해당 모델의 변수 간 인과관계를 실증하였다.
  • 이상과 같은 인식하에 본 연구는 Gobbens 등[10]의 통합적 개념모델에 입각해 노인의 허약 개념을 다차원의 구성 개념으로 이해하고 부정적 결과요인 간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노인허약은 부정적 결과요인(장애, 의료서비스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노인의 허약 개념을 신체적 손상의 차원에서만 이해하고 있는 선행연구들[21-23]은 허약을 신체적 개선에만 모든 문제의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노인허약 문제를 효율적·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데 한계를 갖게 된다. 노인 개인의 허약 문제는 단지 신체적 기능제한에 국한되지 않으며 정신적 요인에 의한 허약, 사회적 요인에 의한 허약까지 그 범주를 확대해서 이해해야 보다 적정한 노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개발해 실질적인 허약 개선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노인은 생애주기상 노화의 끝자락에 놓여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건강이 이전보다 약화될 수밖에 없고 건강이 약화됨으로써 허약을 경험하게 된다. 허약한 노인의 발생은 노인 개인과 가족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는다. 허약은 노인의 신체 기능의 제한과 장애를 유발해 병원 입원이나 요양을 필요로 하게 만들고 입원과 요양의 기간이 길어지면 의료비 부담이 커지면서 노인 자신뿐만 아니라 노인의 부양가족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적 차원에서도 경제적 부담을 급증시키는 요인이 된다[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건강관리와 관련해 학계에서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온 개념은 무엇인가? 노인의 건강관리와 관련해 학계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관심을 표명해 온 개념이 ‘허약(frailty)’이다. 노인은 생애주기상 노화의 끝자락에 놓여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건강이 이전보다 약화될 수밖에 없고 건강이 약화됨으로써 허약을 경험하게 된다.
통합적 개념 모델에서는 노인의 허약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무엇이 있다고 보고 있는가? 통합적 개념모델에 따르면 노인의 허약 개념은 신체적 허약, 정신적 허약, 사회적 허약과 같은 다차원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차원들 간 상호작용 속에서 허약의 수준이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이 통합적 개념모델은 노인의 허약이 인구사회학적 요인, 생활습관, 생애사건, 생의학적 요인 등으로 구성되는 생애 결정요인의 영향을 받고 장애나 의료서비스의 이용, 사망 등과 같은 부정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소개하고 있다[10]. 이러한 통합개념 모델이 노인 보건 분야의 학자 및 연구자들에게 빠르게 확산되면서 관련 국외 연구 결과물들[8,10-20]이 축적되고 있는 상황이나 국내 연구 중에는 아직 허약의 개념을 다차원의 구성 개념으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나 이러한 다차원의 구성 개념을 기초로 관련 변수들 간 인과관계가 있음을 실증하려는 움직임은 미흡한 실정이다.
노인이 경험하는 허약으로 인해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가? 허약한 노인의 발생은 노인 개인과 가족의 문제로 국한되지 않는다. 허약은 노인의 신체 기능의 제한과 장애를 유발해 병원 입원이나 요양을 필요로 하게 만들고 입원과 요양의 기간이 길어지면 의료비 부담이 커지면서 노인 자신뿐만 아니라 노인의 부양가족과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적 차원에서도 경제적 부담을 급증시키는 요인이 된다[3]. 또한 허약한 노인의 증가는 노인을 수발하는 데 필요한 인력 확충 부담을 증가시키고 노인인구 집단의 전반적인 삶의 질 저하 문제로 인해 다양한 악영향을 해당 국가 및 사회에 미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 S. Park, B. M.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 of Korea and Japan's aging population structure on the labor market", Jeonju: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2018. 

  2.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at "people feel" through active financial management: Focus on "Youth jobs, low birth rate and aging, innovation growth, safety", Sejong: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2018. 

  3. E. S. Yim, K. H. No,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frail elderly",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21, No.1, pp.12-20, 2010.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0.21.1.12 

  4. S. M. Kwon, J. S. Park, "A comparision on frailt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ol.35, No.1, pp.1-12, 2010. DOI: https://doi.org/10.5393/jamch.2010.35.1.001 

  5. Winograd, C. H., Gerety, M. B., Chung, M., Goldstein, M. K., Dominguez, Jr., F., & Vallone, R., "Screening for frailty: Criteria and predictors of outcomes", Journal of American Society, Vol.39, No.8, pp.778-784, 1991. DOI: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1.tb02700.x 

  6. Buchner, D. M. & Wagner, E. H., Preventing frail health,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 Vol.8, No.1, pp.1-18, 1992. 

  7. Raphael, D., Cava, M., Brown, I., Renwick, R. Heathcote, K., Weir, N., Wright, K., & Kirwan, L., "Frailty: A public health perspective",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86, No.4, pp.224-227, 1995. 

  8. Nourhashemi, F., Andrieu, S., Gillette-Guyonnet, S., Vellas, B., Albarede, J. L., & Grandjean, H.,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a potential marker of frailty: A study of 7364 community-dwelling elderly women(the EPIDOS study)",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Vol.56, No.7, pp.448-453, 2001. DOI: https://doi.org/10.1093/gerona/56.7.m448 

  9. Sternberg, S. A., Schwartz, A. W., Karunananthan, S., Bergman, H., & Clarfield, A. M., "The identification of frailty: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9, No.11, pp.2129-2138, 2011. DOI: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1.03597.x 

  10. Gobbens, R. J. J., Luijkx, K. G., Wijnen-Sponselee, M. T., & Schols, J. M. G. A., "Towards an integral conceptual model of frailty",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Vol.14, No.3, pp.175-181, 2010. DOI: https://doi.org/10.1007/s12603-010-0045-6 

  11. Bergman,, H., Beland, F., & Perrault, A., "The global challenge of understanding and meeting the needs of the frail older population",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14, No.4, pp.223-225, 2002. DOI : https://doi.org/10.1007/bf03324442 

  12. Campbell, A. J. & Buchner, D. M., "Unstable disability and the fluctuations of frailty", Age and Ageing, Vol.26, pp.315-318, 1997. DOI: https://doi.org/10.1093/ageing/26.4.315 

  13. Clegg, A., Young, J., Lliffe, S., Rikkert, M. O., & Rockwood, K., "Frailty in elderly people", The Lancet, Vol.382, pp.19-25, 2013.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2)62167-9 

  14. Fried, L. P., Tangen, C. M., Walston, J., Newman, A. B., Hirsch, C., Gottdiener, J., Seeman, T., Tracy, R., Kop, W. J., Burke, G., & McBurnie, M. A.,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Vol.56, No.3, pp.146-157, 2001. 

  15. Gobbens, R. J. J., Luijkx, K. G., Wijnen-Sponselee, M. T., & Schols, J. M. G. A., "Frail elderly, Identification of a population at risk", Vol.38, pp.65-76, 2007. 

  16. Hogan, D. B., MacKnight, C., & Bergman, H., "Models, definitions, and criteria of frailty",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Vol.15, pp.1-29, 2003. 

  17. Levers, M. J., Estabrooks, C. A., & Ross, K. J. C., "Factors contributing to frailty: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56, No.3, pp.282-291, 2006.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4021.x 

  18. Markle-Reid, M. & Browne, G., "Conceptualizations of frailty in relation to older adul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44, No.1, pp.58-68, 2003. DOI: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3.02767.x 

  19. Rockwood, K., Hogan, D. B., & MacKnight, C., Conceptualisation and measurement of frailty in elderly people, Drugs & Aging, 17(4), 295-302, 2000. 

  20. Strawbridge, W. J., Shema, S. J., Balfour, J. L., Higby, H. R., & Kaplan, G. A., "Antecedents of frailty over three decades in an older cohort",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Vol.53, No.1, pp.9-16, 1998. DOI: https://doi.org/10.1093/geronb/53b.1.s9 

  21. K. O. Jang, "Effects of elderly people's frail prevention program o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for in senior center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5, pp.47-58,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5.47 

  22. B. J. Jeoung, "Exercise rehabilitation for frail elderly", Korean J Clin Geri, Vol.15, No.1, pp.9-13, 2014. DOI: https://doi.org/10.15656/kjcg.2014.15.1.9 

  23. K. W. Choi, U. A. Park, I. S. Lee, "Factors influencing the fear of falling according to gender in frail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1, No.3, pp.539-551, 2011. 

  24. H. G. Kang, "Quality of life, frailty and depression in elderly in rural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ol.12, No.1, pp.13-27, 2017. 

  25. K. H Kim, H. J. Yoon, "Factors that affect the frailty of the elderly people over 70-year-old in a loc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2, pp.313-323,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2.313 

  26. J. S. Park, Y. J. Oh, "Predictors and frailty level in the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Vol.41, No.3, pp.129-139, 2016. DOI: https://doi.org/10.5393/jamch.2016.41.3.129 

  27. J. K. Park, S. L. Kim, "Factors affecting the elderly's frailty among the vulnerable social group",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 No.3, pp.441-456, 2014. 

  28. E. M. Oh, "Development of the Korean Frailty Instrument(KFI) to assess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Using 2008, 2011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Dept of Nursing,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Doctorial Dissertation, 2015. 

  29. K. S. Jeon, S. J. Park, S. R. Jang, "The relationship between frail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elderly",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6, No.4, pp.175-183, 2012. DOI: https://doi.org/10.4235/jkgs.2012.16.4.175 

  30. K. S. Jeon, S. H. Cho, "Prevalence and social correlates of frailty among rural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8, No.3, pp.143-152, 2014. DOI: https://doi.org/10.4235/jkgs.2014.18.3.143 

  31. Morley, J. E., Haren, M. T., Rolland, Y., & Kim, M. J., "Frailty,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90, pp.837-847, 2006. 

  32. H. J. Song, Y. W. Lee, D. J. Kim,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operating system, Seoul: KIHASA", 2004. 

  33. B. J. Park, Y. J. Lee, "Integrative approach to elderly frailty",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0, pp.747-754, 2010. DOI: https://doi.org/10.4082/kjfm.2010.31.10.747 

  34. T. S. Shin, "Review and application of missing data methods: Focusing on longitudinal achievement dat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Vol.27, No.3, pp.693-725, 2014. 

  35. M. H. Huh, "SPSS Statistics missing value analysis and multiple substitution", Seoul: Data Solution, 2013. 

  36. H. S. Suh, K. S. Yang, N. Y. Kim, H. Y. Kim, M. K. Kim, "SPSS(PASW) regression (3rd ed.)",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1. 

  37. Verbrugge, L. M., Flies without wings, In: Carey, R., Robine, J-M., Michel, J. P., Christen, Y., eds. "Longevity and frailty" , Heidelberg: Springer-Verlag, 2005. 

  38. Walston, J. & Fried, L. P., "Frailty and the older man",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Vol.83, No.5, pp.1173-1194, 1999. DOI: https://doi.org/10.1016/s0025-7125(05)70157-7 

  39. Boyd, C. M., Xue, Q. L., Simpson, C. F., Guralnik, J. M., & Fried, L. P., "Frailty, hospitalization, and progression of disability in a cohort of disabled older women",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Vol.118, No.11, pp.1225-1231, 2005. DOI: https://doi.org/10.1016/j.amjmed.2005.01.062 

  40. Covinsky, K. E., Hilton, J., Lindquist, K., & Dudley, R.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ex to predict activity of daily living depende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s", Medical Care, Vol.44, No.2, pp.149-157, 2006. DOI: https://doi.org/10.1097/01.mlr.0000196955.99704.64 

  41. Rockwood, K., Mitnitski, A., Song, X., Steen, B., & Skoog, I., "Long-term risks of death and institutionalization of elderly people in relation to deficit accumulation at age 70",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4, pp.975-979, 2006. DOI: https://doi.org/10.1111/j.1532-5415.2006.00738.x 

  42. Schuurmans, H., Steverink, N., Lindenberg, S., Frieswijk, N., & Slaets, J. P. J., "Old or frail: What tells us more?". Th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Vol.59, No.9, pp.962-965, 2004. DOI: https://doi.org/10.1093/gerona/59.9.m96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