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생 창업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Professor and Start-up of Under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228 - 234  

정혜진 (부산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빠른 기술발전과 더불어 기업가적 대학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대학의 산학협력중점교수 채용이 지난 10년 동안 급증해 왔다. 그러나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임용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의 산학협력 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매우 부족한 편이다. 특히 대학생을 위한 창업 지원은 산학협력교수의 주요 업무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산학협력교수의 대학생 창업에 대한 기여도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4년제 203개 대학을 대상으로 산학협력중점교수, 대학생의 창업 관련 활동, 대학의 창업지원 현황 및 대학의 특성에 대한 패널 자료를 구성하여 대학생의 창업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산학협력중점교수의 비율은 대학생의 창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지 않은 반면, 창업전담조직에 배치된 전임교원은 대학생의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창업캠프에 참여한 대학생의 비율과 창업을 위해 지원되는 금전적 자원이 대학생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collaboration professor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since the last decade, along with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Despite the expansion of collaboration professor recruitment, few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contribution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의 4년제 203개 대학 패널 자료를 구성하고 각 대학의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생의 창업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산학협력단, Linc+사업단 등에 소속된 산학협력중점교수 이외에도 창업전담조직교원의 비율을 고려하여 산학협력중점교수제도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산학협력중점교수제도를 중심으로 대학의 학생 창업을 증진할 수 있는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학협력중점교수의 비율에 따른 대학생의 창업 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산학협력중점교수 또는 창업중점교수와 창업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 본 연구에서는 산학협력중점교수 및 창업전담조직교수가 대학생 창업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국 4년제 203개 대학의 패널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산학협력중점교수는 대학생 창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반면, 창업전담조직교수의 경우 대학생 창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상의 논의를 검토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창업과 관련한 활동, 대학의 지원 및 특성 등의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생의 창업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의 4년제 203개 대학 패널 자료를 구성하고 각 대학의 산학협력중점교수와 대학생의 창업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산학협력단, Linc+사업단 등에 소속된 산학협력중점교수 이외에도 창업전담조직교원의 비율을 고려하여 산학협력중점교수제도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산학협력중점교수제도를 중심으로 대학의 학생 창업을 증진할 수 있는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언급한 바와 같이 산학협력중점교수 또는 창업중점교수와 창업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그러나 창업중점 교수를 비롯한 산학협력중점교수의 대학 내 창업성과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경우, 산학협력중점교수가 많을수록 대학생 창업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학협력중점교수란 무엇인가? 산학협력중점교수란 “산업체 경력자로서 산학협력을 통한 교육, 연구, 창업·취업 지원 활동을 중점 추진하고, 산학협력 실적 중심으로 평가받는 교원”을 의미한다[4]. 산학협력중점교수는 대학의 지식확산과 더불어 교원인사제도를 통한 산학협력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1년부터 적극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했다.
산학협력중점교수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산학협력중점교수는 고용형태와 전임교원과 비전임교원으로 나뉘며, 전임교원으로 고용되는 경우에는 크게 채용형과 지정형으로 분류된다. 채용형과 지정형의 공통점은 학칙 또는 정관에 근거하여 선발되며 산학협력 실적중심으로 평가 된다는 점과 책임 강의 시수를 30% 이상 감면 받는 점이다[5].
산학협력중점교수의 대학 내 역할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산학협력중점교수의 대학 내 역할은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6]. 먼저 산학협력중점교수의 교육 부문은 산업체 경험을 살린 실무 적용 강의 및 산학협력 중심의 교과 개편이다. 둘째, 연구 부문의 역할은 기술 수요를 반영한 연구기획, 대학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 교수와의 공동연구개발로 이루어진다. 셋째, 취·창업 지원 부문은 취업연계, 기업가정신 및 창업 동아리 지원, 기업 네트워크 구축, 현장기술지도 등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정책 및 기획 부문은 산학협력 친화형 제도 개선, 산학협력 업무 기획 및 추진, 지역의 정책 및 기획에 대한 자문을 통한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M. Nah, C. O. Kim, H. S. Lee,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university competence o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nd start-up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40, No.5, pp.462-476, Oct, 2014. DOI: https://doi.org/10.7232/JKIIE.2014.40.5.462 

  2. E. J. Lim, C. O. Kim, K. T. Cho. "Job roles and performances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focused o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startup-supporting officer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1, No.2, pp.115-136, Sep, 2013. 

  3. E. Y. Kim, W. S. Jung,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university's technology transfer and performance spread: State-funding projects for higher education",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26, No.2, pp.983-1008, Apr, 2013. 

  4. Ministry of Education, The second University Start-up Education 5 years plan, Korea, pp.1-3. 

  5. Ministry of Educatio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8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activity repor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Korea, pp.386. 

  6. S. Y. Heo, T. H. Moon, H. E. Jang. Improvement of Collaboration professor institution. The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Korea, p.82. 

  7. M. S. Park, S. Y. Heo. Policy suggestion for Improvement of Collaboration professor institution. The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Policy, Korea, pp.19. 

  8. S. Y. Heo, H. E. Jang, J. H. Lee. "Whither the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aculty System?: Realities and Alternativ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21, No.4, pp.549-659, Nov, 2015. 

  9. M. J. Kim, S. H. Kim, D. H. Lee, B. C. Sung, "A Study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in University Influencing on Facilitating Youth Business Start-up", The Journal of Korean Business Research, Vol.3, No.1, pp.43-56, Jun, 2019. 

  10. M. G. Choi, E. J.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Undergraduate Students in Culture Tourism Entrepreneurship"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Vol.24, No.5, pp.201-220, Jul. 2012. 

  11. Y. T. Kim,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and attitude on undergraduate entrepreneurial inten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12, No.2, pp.13-20, Apr. 2017. DOI: http://doi.org/10.16972/apjbve.12.2.201704.13 

  12. M. J. Jang, M. Kim, "A research on how an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for entrepreneur competition influences foundation purpose: Focused on regulation effect of creative competency",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ty, Vol.10, No.4, pp.45-71, Dec. 2015. 

  13. J. H. Jeon, K. S. Lim, "A Study on the Change in Start-up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Technology Start-up Education Camp",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ol.20, No.4, pp. 67-72, Jul, 2017. DOI: http://dx.doi.org/10.18108/jeer.2017.20.4.67 

  14. Ministry of Education. 2018 Plan for activation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Available from: http://www.k-startup.go.kr/common/attachFileView.do?attachSn205535 (accessed May. 01, 2020) 

  15. K. B. Nahm, J. E. Song. "Promoting policy for creative economy and regional development in Korea",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ol.17, No.4, pp.632-345, Dec, 2014. DOI: http://dx.doi.org/10.23841/egsk.2014.17.4.632 

  16. Y. J. Yoon, D. S. Park. "The Impact of the University's Capacity for the Industry-Academia Collaboration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26, No.3, pp.157-177, Jul. 2015. DOI: http://dx.doi.org/10.16881/jss.2015.07.26.3.157 

  17. K. J. Lee, H. K. Lee, Y. J. Jeon. Development of Logic model of university and industry collaboration and spillover analysis.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Korea, pp.177. 

  18. C. R. Han. "Recent trend of panel data", Korean Labor Panel Conference, Seoul, South Korea, pp.1-22, October 2015. 

  19. D. S. Jung. "An Empirical Study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eferences and Start-up Intention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Vol.27, No.6, pp.373-394, Dec.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