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과 기업 간의 산학협력에 관한 연구: 고용주의 교육훈련 참여를 중심으로
A Study on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Focused on Employer Engagement in Train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1, 2019년, pp.197 - 207  

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사무학과) ,  오계택 (한국노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대학과 기업 간의 산학협력에서 고용주의 교육훈련 참여 실태를 분석하여 고용주의 교육훈련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산학협력 및 고용주 참여에 관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학협력의 개념 및 유형과 함께 고용주 참여의 개념, 고용주 참여의 유형 및 대학과 연계한 고용주 참여의 형태, 고용주 참여의 효과 및 고용주 참여의 촉진 요인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헌 분석 내용을 기초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300인 이상 기업체의 인사(교육)담당자 총 230명을 표집하여 고용주의 교육훈련 참여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고용주들은 자신이 직원들의 교육훈련에 참여하는 것을 지역의 교육활동이나 서비스 계획 또는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기보다는 교육훈련과정을 활용하는 입장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 교육훈련 참여에 소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용주들은 교육훈련 참여를 통해 직·간접적 경영상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교육훈련 참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또 기업 요구에 맞는 교육훈련과정의 운영은 대학과 기업 간의 교육훈련 협력을 활성화하는 동시에 고용주 참여를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고용주 참여를 통한 기업과 대학 간 교육훈련 협력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measures for improving training cooperation between industries and universities through employer engagement by analyzing the state of employer engagement in training.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state of employer engagement in training and factors tha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과 기업 간의 산학협력에서 고용주의 교육훈련 참여 실태를 분석하여 고용주의 참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산학협력 유형 가운데 교육훈련 협력 측면에서 ‘고용주 참여’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고, 기업체 인사(교육)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용주의 교육훈련 참여 실태와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현장과 대학의 강의 및 연구 간의 간극을 줄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기업의 업무 현장은 빠르게 바뀌기 때문에 산업현장과 대학의 강의 및 연구는 격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업과 대학 간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서는 대학과 산업체 간의 긴밀하고 빈번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이러한 상호작용 촉진 요인으로 제시되는 것이 교육훈련에 고용주가 참여하는 것이다[14].
사업주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고용주’라는 용어는 근로자직업능력개 발법, 직업교육훈련촉진법, 고용정책기본법, 근로기준법 등의 법령에서 ‘사업주’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산업 안전보건법 제2조 3항에 따르면 ‘사업주’란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하는 자를 말한다. 실무노동용어사전에서는 사업주를 그 사업의 경영 주체로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운영하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16].
산학협력의 목적은 무엇인가? 산학협력은 “산업계와 학계가 상호발전을 위하여 인적 및 물적 자원 등 가용자원을 상호 교류하는 유기적인 협력관계”[17]로 정의할 수있다. 이처럼 산학협력은 대학 및 연구소와 산업체 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협력활동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데 목적이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 J. Jang, J. Y. Jeong, "A study on the promotion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relationship- the perspectiv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ve division",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18, No.1, pp.553-576, 2005. 

  2. H. E. Jang, J. H. Lee, "The Role of Universities in Solving Local and Regional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23, No.3, pp.459-469, 2017. 

  3. J. J. Kim, J. I. Choi, "University industry cooperation: New role of university",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6, No.6, pp.461-467, 2005. 

  4. K. S. Yoo, "A state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cooperation and role of university", Ceramist, Vol.11, No.1, pp.19-25, 2008. 

  5. B. H. Lee, J. J. Jang, H. H. Huh, "The patterns of industry - academy collaborations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A survey of corporate R&D cent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Vol.15, No.3, pp.85-112, 2005. 

  6. B. H. Son, B. H. Lee, J. H. Jang,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 as national innovation system",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1, No.1, pp.23-52, 2006. 

  7. E. Y. Hong, J. I. Choi, "Study on ways of overcoming obstacle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terms of POB(Positive Organization Behavior)",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10, No.5, pp.185-196, 2015. DOI: https://doi.org/10.16972/apjbve.10.5.201510.185 

  8. M. Frasquet, H. Calderon, A. Cervera,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from a relationship marketing perspective: An empirical analysis in a Spanish University", Higher Education, Vol.64, No.1, pp.85-98. 2012. DOI: https://doi.org/10.1007/s10734-011-9482-3 

  9. D. Hall, H. Thomas, "Links between higher education and employers in Malawi: The need for a dialogu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Management, Vol.27, No.1, pp.67-79, 2005. DOI: https://doi.org/10.1080/13600800500046156 

  10. H. Lehtimaki, T. Peltonen, "Relationship of power and knowledge: University-industry relations in business studies in Finland", Higher Education, Vol.66, No.2, pp.203-216, 2013. DOI: https://doi.org/10.1007/s10734-012-9599-z 

  11. S. Pillai, M. H., Khan, I. S. Ibrahim, S. Raphael, "Enhancing employability through industrial training in the Malaysian context", Higher Education, Vol.63, No.2, pp.187-204, 2012. DOI: https://doi.org/10.1007/s10734-011-9430-2 

  12. T. N. Basit, A. Eardley, R. Borup, H. Shah, K. Slack, A. Hughe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work-based learning in the UK: employer engagement within a tripartite relationship", Higher Education, Vol.70, No.6, pp.1003-1015, 2015. DOI: https://doi.org/10.1007/s10734-015-9877-7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RD Korea, A state of National HRD Consortium Training Center, Technical Report,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Korea. 

  14. R. Bennett, S. Kane, "Employer engagement practices of UK business schools and departments: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ol.61, No.4, pp.495-516, 2009. DOI: https://doi.org/10.1080/13636820903363584 

  15. C. Cooper, I. Mackinnon, P. Garside, Employer Engagement, The Mackinnon Partnership. 

  16. Jung-Ang Economics, Dictionary of Practical Labor Terminology. 

  17. C. B. Yim, C. Y. Jyung,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olicy",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41, No.4, pp.241-275, 2009. DOI: https://doi.org/10.23840/agehrd.2009.41.4.241 

  18. H. S. Kim, J. B. Kim, H. R., Kim, "Activation factors of Industry cooperation through comparison study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dustry cooperation program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9, No.2, pp.187-200, 2014. DOI: https://doi.org/10.16972/apjbve.9.2.201404.187 

  19. H. S. Kim, S. I. Na, Measures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cused on Universit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orea. 

  20. HRD Korea, Manual of Employer initiated Training, HRD Korea, Korea. 

  21. H. M. Treasury, Prosperity for all in the global economy. Leitch review of skills final report, Norwich: TSO. 

  22. P. Huddleston, A. Laczik, A, "Successes and challenges of employer engagement: the new Diploma qualification",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Vol.25, No.4, pp.403-421, 2012. DOI: https://doi.org/10.1080/13639080.2012.708725 

  23. SSDA, Employer engagement action planning guidance (Astrid Flowers Ltd & Simpson Consulting Ltd), Wath-upon-Dearne: SSDA. 

  24. R. Bolden, H. Connor, A. Duquemin, W. Hirsh, G. Petrov, Employer engagement with higher education: Defining, sustaining and supporting higher skills provision. Exeter: HERDA South West and HEFCE. 

  25. J. Payne, "Sector skills councils and employer engagement-delivering the 'employer­led'skills agenda in England", Journal of Education and Work, Vol.21, No.2, pp.93-113, 2008. DOI: https://doi.org/10.1080/13639080802090260 

  26. Y. S. Noh, Y. S. Lee, "An analysis of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50, No.1, pp.179-206, 2018. 

  27. R. Helyer, The work-based learning student handbook. Palgrave Macmillan, 2015. 

  28. R. Z. Goetzel, R. J. Ozminkowski, L. I. Sederer, T. L. Mark, T. L, "The business case for quality mental health services: why employers should care about th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of their employe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44, No.4, pp.320-330,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