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후화된 대학 건물의 단열성능 향상 실험 및 경제성 평가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sulation Performance in Old University Buildings and Economic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287 - 297  

이정민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과) ,  소원호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과) ,  조경찬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과) ,  최동녁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과) ,  이권영 (한동대학교 기계제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후화된 대학 건물의 내부 단열 성능 향상에 대한 것으로, 대학교 건물 내 재실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노후화된 건물의 단열효과를 높이기 위해 진행됐다. 본 논문은 한동대학교 느헤미야홀 건물 내 오피스 재실자의 단열 성능 향상에 대한 지속적인 요청에 응답하여 문제해결을 위해 진행된 연구라는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며, 내부온도가 인접건물의 내부온도와 비교했을 때 낮음을 확인하여 연구 필요성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학교라는 건물의 특성을 고려해 내외부 단열 중 내부 단열을 주제로 단열재를 선택했다. 대학교 교수 오피스를 소형화시킨 모형 방을 만들어 시장에서 사용되는 내부 벽면 단열재를 설치해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가열 시간과 실제 열전달 계수를 측정하여 단열효과를 분석하는 경제성 평가를 실시했다. 경제성 평가는 실험과 이론에 의해, 겨울철과 여름철 기준으로 각각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느헤미야홀 60 개의 오피스에 아이소핑크(30 T)를 내 단열재로 도입하였을 때, 한 달에 겨울철에는 최대 총 1,071,600 원을 절약 할 수 있으며, 여름철에는 총 109,200 원을 절약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ways of improving the internal insulation performance of aging university buildings, and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occupants in university buildings and the insulation effect of aging building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continuous requests for impro...

주제어

표/그림 (2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외벽, 천장, 그리고 바닥의 단열 공사보다는 내벽 단열 시공을 통해 벽체 단열의 효율성을 높이는 연구가 가장 타당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사용되는 단열재로 내벽 단열 공사를 할 때, 단열 성능과 경제성을 판단하는데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1. 벽의 균열을 통한 열 손실이 없다고 가정한다.
  • 3. 실외 온도는 0 ℃로 가정한다.
  • 4. 히터의 효율을 100%라고 가정한다.
  • 5. 옆 방의 실내 온도는 10 ℃이며, 외부 공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단열 상태로 가정한다.
  • 6. 실제 열전달 계수를 통한 경제성 평가 시, 내벽을 구성하는 재료를 최소한으로 가정한다.
  • 입력 열량은 히터의 입력 열량에서 전체 벽을 통한 열 손실을 빼서 계산할 수 있다. 가정된 히터의 소비 전력은 4.5 KW 이다. 느헤미야 홀의 단열성능이 최소로 가정되어 많은 열 손실이 있기 때문에 히터의 용량은 계산의 편의를 위해 4.
  • (6))을 도입 하였다. 기본 챔버의 csaving는 1이라고 가정하였다. csaving은 단열이 된 챔버의 측정된 #을 단열이 되지 않은 기본 챔버의 #의 값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 여름철에는 총 109,200 원을 한 달에 절약할 수 있다. 사무실과 더불어 강의실도 함께 단열한다면 절약 비용이 증가할 것이다. 실험 및 분석이 주어진 실험실 조건에 대해 간단하게 이루어졌지만, 단열재의 필요성은 사무실을 사용하는 재실자에게 미치는 편의성과 학교가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이익을 충분히 도출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2018년 9월 1일 시행되어 건축물의 단열기준을 패시브하우스 수준으로 높이게 한 것은? 에너지 수입과 사용은 나라의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건물 단열성능 향상과 에너지 절약 기준 제고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8년 9월 1일 시행된 "건축에너지절약설계기준"으로 건축물의 단열기준을 독일의 에너지 절약형 주택 모델인 패시브하우스 수준으로 높이고, 지역을 보다 더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지역 요건에 맞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였다[1]. 이것은 건물 단열재를 통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국가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제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세운 가정은? 1. 벽의 균열을 통한 열 손실이 없다고 가정한다. 2. 실내의 초기 온도는 10 ℃이고 목표 온도는 25 ℃이다. 3. 실외 온도는 0 ℃로 가정한다. 4. 히터의 효율을 100%라고 가정한다. 5. 옆 방의 실내 온도는 10 ℃이며, 외부 공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단열 상태로 가정한다. 6. 실제 열전달 계수를 통한 경제성 평가 시, 내벽을 구성하는 재료를 최소한으로 가정한다.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30% 감축하기 위해 시행한 것은? 이것은 건물 단열재를 통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국가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2020년까지 온실가스를 30% 감축하기 위해 2009년 11월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 관리 시스템’을 시행했다[2]. 이러한 측면에서, 에너지 손실을 줄이기 위해 냉난방기기를 제한하여 재실자의 편의성을 저해하기보다, 노후화된 단열재를 재조정하여 편의성과 에너지 손실을 동시에 해결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Green Architecture), "Standard for Energy Saving Design of Buildings", Notice No. 2014-520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2. Ministry of Environment, "Guidelines for the operation of greenhouse gas and energy target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January. 2018. 

  3. M-S. Mohsen, B-A. Akash, "Some prospects of energy savings in buildings", Journal of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42, no.11, pp. 1307-1315, July. 2001. DOI: https://doi.org/10.1016/S0196-8904(00)00140-0 

  4. R. Lollint, B. Barozzi, G. Fasano, I. Meroni, M. Zinzi, "Optimization of opaque components of the building envelope Energy economic and environmental issues", Journal of Building and Environment, vol. 41, no.8, pp. 1001-1013, August. 2006. DOI: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5.11.011 

  5. S-H. Ryu, J-H. Ryu, W-H. Hong, "A Study on Timing Estimation for the Thermal Insulation Remodeling by AnalyzingAnnual Variation of Exterior Walls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in Public Buildings", Journal of the architech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1, no.7, 8, pp. 163-171, July. 2015. DOI: https://doi.org/10.5659/JAIK_PD.2015.31.7.163 

  6. M four Architecture, "Standard table of insulation performance1", Handong Global University GEI New Construction, Drawing number. A0.43-44, 2018. 

  7. E-J. Huh, H-G. Jeong, D-S. Song, "A Study on the Field Test Method for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2 Summer Conference, pp. 185-189, May.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