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무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패턴
Military Life Pattern of Maladjusted Soldi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8, 2020년, pp.501 - 511  

이은주 (한국성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 경험과 패턴을 발견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 장소는 A지역 복무 부적응 병사 치유 프로그램 진행장소이고, 연구 기간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였다.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경험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 입대 초기 영역, 입대 중기 영역, 적응 실패 영역의 3개의 영역과, 5개의 문화적 주제, 12개의 범주, 29개의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영역별 문화적 주제는 '낯선 군 문화에 던져짐', '힘겨운 시간', '집단 속에서 혼자서 버티기', '지울 수 없는 군 생활의 고통', '고통스런 삶을 벗는 마지막 선택' 이었다. 결과적으로 복무 부적응 병사는 현 상황을 벗어나기위한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하였지만, 입대 초기 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 도움이 필요한 시기가 있고, 적응 중기에 미숙한 사건 대처 방법에 대해 가이드가 필요하며, 적응 실패 영역에서 군에서의 삶을 비관하며 죽음을 선택하는 인식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 전략과 정신보건전문가의 근접 도움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복무 부적응 병사를 돕기 위한 정신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살 예방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qualitative research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patterns of military life of service maladaptive soldiers. The research site was the place where the soldiers of the A-adaptive soldiers' healing program were conducted, and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6 to December 2017. M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군 복무 부적응 병사를 대상으로 한국군 문화 속에서 군 생활 경험과 적응 과정에 있어 그 맥락과 패턴을 분석하고, 복무 부적응 병사를 이해하여 부적응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조사한다.
  • 이것은 입대 전 자유로운 시간을 보낸 병사가, 군대라는 새로운 문화 조직에 들어와서 겪는 적응 과정의 어려움이었다. 그것은 국방의 의무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시작된 군 생활에 대한 비관적 인식, 내무실에서 겪는 강압적 환경으로 인한 위축감, 적응하려 노력하지만 미숙한 방법으로 실패, 이로 인한 고립, 극복할 수 없는 현실로부터 도망가기 위하여 자살을 선택하였다.
  • 집중참여 관찰 및 프로그램 활동 중 알게 된 현상에 대한 이해, 통찰과 직관적인 내용은 수시로 연구 노트를 활용하여 연구내용을 작성하였다. 복무 부적응 병사와 관련된 주변 동료 병사, 대대장, 군종 목사, 상담관, 캠프 관리자 등과 비공식 면담을 통해 복무 부적응 병사의 말과 행동이 심층 면담한 내용과 차이가 없는지, 상호작용 속에서 보이는 패턴이 없는지 주의해서 관찰하고 면담하여 연구 노트에 작성하였고, 관련 연구 자료를 수집하며 통찰력을 얻기 위해 노력하였다.
  •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 생활 경험에 대한 심층 면접자료와 참여관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 생활 경험과 적응을 위한 방법을 아래와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군의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일상적인 생활 경험과 삶의 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의 삶의 현장으로 들어가 그들의 관점에서 보고 들은 그대로를 서술하고 분석하여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 생활 경험과 군 문화에 대한 이해를 위한 문화 기술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 수행과정 평가로 Lincoln & Guba(1985)가 제시한 사실적가치(Truthvalue), 적용성(Applicability), 일관성(Consistency), 중립성(Neutrality)의 4가지 기준 충족을 위하여 노력하였다[9].
  • 자살은 복잡한 원인에 의한 현상이고, 자살의 핵심속성으로 반복되는 고통으로 인한 번민과 고통의 정점에서 삶과 죽음을 결단하는 시간이며, 고통 스런 삶을 정지시키려는 것이라 한다[6]. 이에,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군 생활 경험에서 그들이 인식하는 반복적인 고충과 적응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인지 그들의 경험을 통해 확인하고 반복적인 패턴을 발견하고자 한다.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 생활 경험은 독특한 문화적 배경에서 발생된 사건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경험 패턴을 분석한 결과를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연구 장소는 A지역 복무 부적응 병사 치유 프로그램 진행장소이고, 연구 기간은 2016년 9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였다.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경험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 입대 초기 영역, 입대 중기 영역, 적응 실패 영역의 3개의 영역과, 5개의 문화적 주제, 12개의 범주, 29개의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영역별 문화적 주제는 '낯선 군 문화에 던져짐', '힘겨운 시간', '집단 속에서 혼자서 버티기', '지울 수 없는 군 생활의 고통', '고통스런 삶을 벗는 마지막 선택' 이었다.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경험 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영역별 문화적 주제는 '낯선 군 문화에 던져짐', '힘겨운 시간', '집단 속에서 혼자서 버티기', '지울 수 없는 군 생활의 고통', '고통스런 삶을 벗는 마지막 선택' 이었다. 결과적으로 복무 부적응 병사는 현 상황을 벗어나기위한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하였지만, 입대 초기 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 도움이 필요한 시기가 있고, 적응 중기에 미숙한 사건 대처 방법에 대해 가이드가 필요하며, 적응 실패 영역에서 군에서의 삶을 비관하며 죽음을 선택하는 인식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 전략과 정신보건전문가의 근접 도움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복무 부적응 병사를 돕기 위한 정신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살 예방사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기대한다.
영역별 문화적 주제는 무엇인가? 복무 부적응 병사의 군생활 경험 패턴을 분석한 결과로 입대 초기 영역, 입대 중기 영역, 적응 실패 영역의 3개의 영역과, 5개의 문화적 주제, 12개의 범주, 29개의 속성으로 분류되었다. 영역별 문화적 주제는 '낯선 군 문화에 던져짐', '힘겨운 시간', '집단 속에서 혼자서 버티기', '지울 수 없는 군 생활의 고통', '고통스런 삶을 벗는 마지막 선택' 이었다. 결과적으로 복무 부적응 병사는 현 상황을 벗어나기위한 방법으로 자살을 시도하였지만, 입대 초기 군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극적 도움이 필요한 시기가 있고, 적응 중기에 미숙한 사건 대처 방법에 대해 가이드가 필요하며, 적응 실패 영역에서 군에서의 삶을 비관하며 죽음을 선택하는 인식의 오류를 발견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 전략과 정신보건전문가의 근접 도움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basic course of the Korean Army's suicide prevention program. QPR Institute. 2017. 

  2. J. H. Lee, 'Why are the number of people who are disqualified from active duty doubled in a year', 2015. 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29719. 

  3. S. Lee, "An integrated plan to prevent soldiers from committing suici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l University. 2016. 

  4. B. S. Choi,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itary suicide prevention system". Korea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08. 

  5. National Indicator System (K-indicator). Status of Military Deaths. 2018. 

  6. M. H. Ko, M. O. Lee, M. S. Yi, "A phenomenological study on lived experience of suffering in suicide attemp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 Vol.22, No.4, pp.339-348, 2013.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4.339 

  7. M. Leininger, Leininger's theory of nursing : culture care diversity & university. Nursing science Quality. 1, pp.152-160. 1988. DOI: https://doi.org/10.1177/089431848800100408 

  8. J. Spradley, The ethnographic interview. New York: Holt, Rinehoot & Winston. 1980. DOI: https://doi.org/10.1525/aa.1980.82.4.02a00790 

  9. Y.S. Lincoln, E.G.Guba. Effective Evaluation(4th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cation. 1981. DOI: https://doi.org/10.1177/109821408200300406 

  10. J. S. Na, Y. K. Lee, S. Y. Hwang, G. Y. Jung, Y. H. Nam, Y. H. Gwon, "An in-depth interview study on ROK army private soldiers' adaptation to the military life",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26, No.1, pp.1-12, 2008. UCI : G704-SER000015437.2008.26.1.010 

  11. B. H. Song, "The study on the military organization maladjustment prediction",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Journal, Vol.22, No.2, pp.118-223. 2013. UCI : G704-001378.2013.22.2.006 

  12. D. J. Oh, S. D. Lee, "Review of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and suicide-related behavior in military personnel",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 Vol.23, No.1, pp.11-21. 2017. DOI: https://doi.org/10.22802/jksbtp.2017.23.1.13 

  13. Robert, M. H. "Complexity leadership: New comceptions for dealing with soldier suicides", Miltary Review , Vol.91, No.1, pp.36-46. 2011. 

  14. U. S. Army. Leader's Guide for Risk reduction and suicide prevention. TRADOC Pamphlet pp.600-622. 2013. 

  15. U. S. Army. Army 2020; generating health and discipline in the forceahead of the strategic reset. Virginia: U. S. Department of the Army. 2012. 

  16. J. H. Yoo, Maladjustment-inducing characteristics by the suicide risks of soldier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Gyeonggi-do. 2014. 

  17. S. Y. Jeong, D. G. Le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ldiers at suicide risk", Korea Journal of Counseling , Vol.12, No.3, pp.897-914. 2011. DOI: https://doi.org/10.15703/kjc.12.3.201106.897 

  18. S. M. Jeong,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military maladjustment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ungji University, Seoul. 2016. 

  19. D. J. Oh, M. Jo, Baik S. C. "Overview of the Unites States Air Force suicide prevention program and implications for Korean Armed Forces",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 Vol.56, No.2, pp.55-60. 2017. DOI: https://doi.org/10.4306/jknpa.2017.56.2.55 

  20. H. K. Yoo,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anxiety and stress of soldiers on their adaptation to military life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2013. 

  21. E. J. Lee, E. G. Yoo.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attempted suicide by maladjusted soldiers". Journal of Korea academis-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9, No.4, pp.329-341.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4.329 

  22. M. H. Kwon, W. I. Kim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alien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ilitary soldiers: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 Vol.22, No.12, pp.493-514. 2015. UCI : G704-000387.2015.22.12.014 

  23. J. S. Kim, I. H. Song, "Comparison of national strategies for suicide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Vol.33, No.1, pp.513-546. 2013.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3.33.1.513 

  24. G. H. Nah, G. S. Han,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covery process of soldiers who experienced suicide-related behavior before joining the arm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Vol.35, No.4, pp.589-615. 2016. DOI: https://doi.org/10.22257/kjp.2016.12.35.4.589 

  25. S. S. Koo, "A study on mental health of new generation soldiers", The Korean Academy of Mental Health Social Work , Vol.24, No.4, pp.64-93. 2006. UCI : G704-000500.2006..24.005 

  26. J. M. Lee, The study on the effective vision camp program for improving the military service adjustment of unadjustable soldiers ,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010. 

  27. M. H. Lee, "A study on the suicidal perception of soldiers who need intensive care in the healing camp",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Vol.33 No.2, pp.75-93. 2018. 

  28. W. C. Jeong, Y. J. Park,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military service adjustment of soldi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 Vol.18, No.1, pp.49-71. 2011. UCI : G704-000387.2011.18.1.007 

  29. D. K. Moon, Y. H. Kim, "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triggering variables of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Korea Journal of Counseling , Vol.12. No.3, pp.945-96. 2011. DOI: https://doi.org/10.15703/kjc.12.3.201106.945 

  30. E. K. Park, K. H. Choi. "The effectiveness of ayurveda program on self-concept and self-realization of teens' moth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 Vol.15, No.2, pp.925-942. 2014. DOI: https://doi.org10.15703/kjc.15.2.201404.969 

  31.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itary suicide prevention system. 2008. 

  32.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current state of suicide in the last 10 years. 2014 

  33. S. H. Lim, "Soldiers' suicidal psychology that appeared in suicide note", The Korean Academy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 Vol.8, No.3, pp.182-188. 2014. UCI : G704-SER000002272.2014.8.3.004 

  34. Y. H. Lee, "A qualitative research about the suicide attempt and the suicide thought which reservists had suffered during military service", Korean Academy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 Vol.5, No.2, pp.61-93. 2011. UCI : G704-SER000002268.2011.5.2.004 

  35. J. T. Oh, Life and death studies & suicide prevention: Ask life and death for directions. Book publishing paper mirror. 2010. 

  36. Martin Monestier. Everything about suicide, Seum. 2015. 

  37. Shelly Kagan. DEATH. Eldorado Publisher. 2012. 

  38. EBS death production team Death, EBS Docuprime Life and death exploration big project "Death". 2014. 

  39. Seoul City Suicide Prevention Center. The suicide and mental illness crisis management protocol. 2016. 

  40. L. Shelef, D. Kaminsky, M. Carmon, R. Kedem, O. Bonne, J. J. Mann, E. Fruchter,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 among Israeli Defense Forces soldier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Affect Disorders.Vol.186, No.2, pp.232-240. 2015. DOI: https://doi.org/10.1016/j.jad.2015.07.016 

  41. L. Shelef, L. Laur, E. Fruchter,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al soldier in the Israeli Defense Force-a review of literature, Disaster And Military Medicine, 10. 2015. DOI: https://doi.org/10.1186/2054-314x-1-10 

  42. U. S. Army. Health Promontion, Risk reduction, and Suicied prevention, Department of the Army Pamphlet pp. 600-624. 2015. 

  43. D. W. Moon, "The problems of Korean military health system and it's reform strategy", Korean Academy of Military Social Welfare , Vol.10, No.2, pp.85-113. 2017. 

  44. A. S. Park, "Effects on job satisfaction of professional job perception,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among nursing offic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30, No.1, pp.112-127. 2012 UCI : G704-SER000015437.2012.30.1.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