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VID-19 감염으로 임시 폐쇄된 서울 종합병원 간호사의 경험
Experiences of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which is temporarily closed due to COVID-19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6 no.4, 2020년, pp.412 - 422  

진달래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  이규영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imed at preparing basic data to increase professionalism in nursing and effective counter-strategies against future infectious diseases. For tha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nurses in a general hospital with an 800-bed size, temporarily closed after 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현재를 지나서 다가올 미래에는 더 복잡하고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감염병이 전파될지 모르는 상황이 올 수도 있기에 이에 대하여 간호사는 환자 안전과 감염병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12]. 따라서 본 연구는 S 시 소재 종합병원에서 COVID-19 환자가 확진되면서 약 2주 동안 임시 폐쇄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 시기에 간호사들은 어떤 경험을 하였는가에 대해 초점을 두고 간호사의 체험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현상학적 방법은 어떤 상황에 처한 인간 경험의 진술을 통하여 주관적 경험의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있는 그대로 밝히고자 하는 귀납적인 방법으로 연구자는 사전에 지각된 개념이나 편견을 배제한 채 참여자의 주관적인 관점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이다[13].
  • 1041078-202004-HRSB-089-01). 또한 편안한 분위기에서 면담을 진행하기 위하여 면담 질문 이외에도 다른 궁금한 사항에 대해 대화 나누는 시간을 가지면서 라포 형성을 위한 노력도 함께 하였다.
  • 본 연구는 COVID-19 감염으로 임시 폐쇄된 S 시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간호 업무에 대한 체험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의 체험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의미와 경험의 구조가 완성될 때까지 분석을 순환적으로 반복한 질적연구이다.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하여 임시 폐쇄된 S 시 소재 대학병원에서 임시 폐쇄 기간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이 시기의 간호 체험의 의미를 탐색한 질적연구이다. 첫 번째 범주는 ‘준비 없이 다가온 COVID-19’ 로서, 참여자들은 근무하고 있는 의료기관에서의 원내 확진자 발생으로 인해 병원이 임시 폐쇄되었고, COVID-19 추가 감염 환자 발생 가능성이 있어 전 환자 간호 시 개인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등 환자 간호 시 어려움에 대해 호소하였다.
  • 또 질적연구 논문을 숙독하고,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자로서의 준비와 노력을 지속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 양적연구의 객관성에 해당하는 중립성은 편견을 배제한 중립적인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괄호 치기’를 통해 연구자의 선 이해나 편견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처음부터 의도적으로 문헌고찰을 하지 않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내 COVID-19 감염 발생으로 재원 환자 치료를 제외한 병원 전체가 임시 폐쇄된 상황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로, 구체적 목적은 COVID-19 병원 내 감염병 발생 시 간호사들의 환자 간호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의미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통해 병원 내 감염병 발생 시 간호사들의 감염병 대응 전략을 탐색하고 향후 의료기관 감염병 발생 시 간호사의 전문적인 역할을 증대시키고 효율적인 감염병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 내 COVID-19 감염 발생으로 재원 환자 치료를 제외한 병원 전체가 임시 폐쇄된 상황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로, 구체적 목적은 COVID-19 병원 내 감염병 발생 시 간호사들의 환자 간호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의미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통해 병원 내 감염병 발생 시 간호사들의 감염병 대응 전략을 탐색하고 향후 의료기관 감염병 발생 시 간호사의 전문적인 역할을 증대시키고 효율적인 감염병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은 [14] 연구 참여자 개개인의 경험적 진술을 좀 더 일반적인 형태로 재진술해 가면서 공통적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기술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COVID-19 환자 확진으로 종합병원을 임시 폐쇄 기간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들의 생생한 감염병 대응 경험이나 환자 간호 경험 등에 대한 의미와 본질을 밝혀 향후 간호사의 감염병 대응 전문성 함양과 아울러 의료기관 내 감염병 발생 시 대응체계를 위한 간호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즉 사실적 가치, 일관성, 중립성, 적용성을 충족하면서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도록 연구자는 면담의 전 과정에서 중립적 태도를 취하면서 임상 근무 경험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입견을 배제(Bracketing) 하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연구 결과에 대한 편견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들은 연구의 시작과 동시에 연구에 대한 이해, 편견, 면담 자료, 문헌 내용 등을 개인이 메모해두고 내용들을 상호 비교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실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자료 수집 과정에서 참여자들이 말하고 보여 주는 그대로의 생동감 있는 자료를 수집하려고 반복해서 들으며 필사본과 대조하여 왜곡되는 부분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ortegiani A, Ingoglia G, Ippolito M, Giarratano A, Einav S.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icacy and safety of chloroquine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Journal of Critical Care 2020;57:279-283. https://doi.org/10.1016/j.jcrc.2020.03.005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ronavirus Disease (COVID-19) Dashboard [Internet]. [updated 2020 August 28; cited August 29, 2020]. Available from: https://covid19.who.int/ 

  3. Coronavirus Disease-19, Republic of Korea,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Cases in Korea (as of 4pm on Feburuary 23, 2020, data aggregated from January 3) [Internet]. [updated 2020 June 01; cited June 01, 2020]. Available from: http://ncov.mohw.go.kr/tcmBoardView.do?brdId&brdGubun&dataGubun&ncvContSeq353063&contSeq353063&board_id&gubunALL 

  4. Corona 19 outbreak trend and status as seen by statistics - Statistics Korea. [Internet]. [updated 2020 July 29; cited October 5, 20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83419 Statistics Korea 

  5. Lee IB. St. Mary Eunpyeong, the first university hospital to close the hospital, raises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hospital [Internet]. [updated 2020 April 4; cited July 21, 2020]. Available from: https://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33023 

  6. Lee H, Heo JW, Kim SW, Lee J, Choi JH. A lesson from temporary closing of a singl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owing to in-hospital transmission of coronavirus disease 2019.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20;35(13):e145. https://doi.org/10.3346/jkms.2020.35.e145 

  7. Jwa H.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medical delivery system recommendations. Seoul:Korean Medical Association;2018. Report No.: 2018.3, 26-31 

  8. Yang G. There are many areas where there are no nurses, because the metropolitan area is too focused [Internet]. [updated 2016 July] 7; cited July 30, 2016). Available from: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3322 

  9. Kim J. Nurses. Experience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patients car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7;18(10):185-196.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185 

  10. Cha GS, Shin MJ, Lee JY, Chun HK. The Role of infection control nurse during emerging infectious disease epidemic - Focusing on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7;22(1):31-41. https://doi.org/10.14192/kjhaicp.2017.22.1.31 

  11. Yoon YC. Corona 19 nurses must compensate and improve poor working conditions [Internet]. [updated 2020 May 13; cited July 21, 2020]. Available from: https://www.medigatenews.com/news/1751975076 

  12. Aiken LH, Clarke SP, Cheung RB, Sloane DM, Silber JH. Educational levels of hospital nurses and surgical patient mort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3;290(12):1617-1623. https://doi.org/10.1001/jama.290.12.1617 

  13. Knaack P. Phenomenological research. Western Journal of N ursing Research.1984;6(1):107-114. http://doi.org/10.1177/019394598400600108 

  14. Colaizzi PF. Grit: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 48-71. 

  15.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1985. 

  16. Kim K, Lee O. Knowledg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nurses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Response to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6;23(4):402-410. https://doi.org/10.7739/jkafn.2016.23.4.402 

  17. Sun N, Wei L, Shi S, Jiao D, Song R, Ma L, et al. A qualitative study on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caregivers of covid-19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20;48(6):592-598. https://doi.org/10.1016/j.ajic.2020.03.018 

  18. Oh EG. Perspectives on nursing profession for a post-covid-19 new normal.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20;32(3):221-222. https://doi.org/10.7475/kjan.2020.32.3.221 

  19. Lee M-S. Overcoming the covid-19 epidemics with communitie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20;45(1):41-46. https://doi.org/10.5393/JAMCH.2020.45.1.041 

  20. Chung JW. Current issues and countermeasures for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focusing on medical institutions.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olicy Brief. 2020;14(2):14-20. 

  21. Paik H, Kang Jh, Yang SH.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confidence in compliance, and compliance to standard precaution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5;22(2):280-290. 

  22. Roh YS, Lee WS, Chung HS, Park YM.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resuscitation training on nurses'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Nurse Education Today. 2013;33(2):123-128. https://doi.org/10.1016/j.nedt.2011.11.008 

  23. Lin SH, Liao WC, Chen MY, Fan JY. The impact of shift work on nurses' job stress, sleep quality an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Th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5):604-612. https://doi.org/10.1111/jonm.1202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