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K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영재수업과 발명영재수업 구성과 실천의 특징 비교
Comparing Characteristics in Plan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Gifted Classes and Invention-Gifted Classes Based on PCK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3, 2020년, pp.338 - 352  

차유미 (서울개운초등학교) ,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in plan and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ience-gifted classes and invention-gifted classes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o do this, we selected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conducting elementary...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명영재교육의 목표는? 예를 들어, 과학영재 학생들은 과학 영역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이며 과학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과학적 탐구를 수행하는 데 높은 흥미와 성취를 보이는 학생을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에서는 과학 내용과 탐구 기능에 기반을 둔 과학적 창의성을 활용하여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및 이와 관련된 정의적 특성 등을 길러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권치순과 장성구, 2014; 임성만 등, 2009; 이갑정과 신동희, 2020; Hu & Adey, 2002). 반면 발명영재 학생은 발명과 관련된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과 기질 및 성향을 보이는 학생을 의미하며, 발명영재교육에서는 확산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과 기술적 창의성을 키워주며,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작품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김기열과 김기수, 2014; 이재호 등, 2013; 이재호 등, 2014; 최용준 등, 2019; Hany, 1994). 뿐만 아니라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발명영재 학생은 인지적 특성 및 창의적 성향이나 학습 양식 등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영재교육 영역의 다양화에는 어떤 영역이 있는가? 이 계획에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영재교육 구성은 영재교육 대상의 다양화, 영재교육 영역의 다양화, 영재교육 수준의 다양화로 나뉘어져 있다. 이에 따라, 2020학년도 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에는 영재교육 영역이 수학, 과학, 수·과학, 발명, 정보, 외국어, 음악, 미술, 체육, 인문사회, 융합, 기타(로봇)의 총 12개로 세분화되어 있다.
초등 발명영재 학생과 과학영재 학생의 차이는? 반면 발명영재 학생은 발명과 관련된 과학 및 기술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과 기질 및 성향을 보이는 학생을 의미하며, 발명영재교육에서는 확산적 사고를 통한 문제 해결 과정과 기술적 창의성을 키워주며,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창의적 작품을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김기열과 김기수, 2014; 이재호 등, 2013; 이재호 등, 2014; 최용준 등, 2019; Hany, 1994). 뿐만 아니라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발명영재 학생은 인지적 특성 및 창의적 성향이나 학습 양식 등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사고의 유연성, 관찰 및 이해력, 응용 및 적용력, 수학적 유추, 공간적 사고능력, 융합적 사고 등의 인지적 특성과 민감성, 발명 동기, 공동체 배려 및 윤리의식, 개방성 및 협동심, 숙고성 등의 정의적 특성, 조작과 제작 능력, 설계 능력, 심미적 감각 등의 심미적 특성이 과학영재 학생과 구별되는 발명영재 학생의 특성으로 나타났다(문공주와 황요한, 2017). 또한 과학영재 학생은 인내심이 높으며 발명영재 학생은 호기심과 모험심이 높은 편이다(박문철과 강충열, 2016). 과학영재 학생과 발명영재 학생은 동일한 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사고 양식을 사용하기도 한다(김민서와 여상인, 2014). 즉, 초등 과학영재 학생은 정해진 지침에 따라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발명영재 학생은 창의적인 전략을 사용해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과학영재 학생은 추상적인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지만, 발명영재 학생은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이며 정확성을 요구하는 문제들을 선호한다는 차이점도 있다. 이처럼 과학영재 학생과 발명영재 학생의 특성 및 영재교육 목표의 차이를 고려할 때, 교사들은 각각의 목표에 맞도록 과학영재수업과 발명영재수업을 구성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승희, 윤소정(2015). 공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사고개발, 11(1), 19-44. 

  2. 강호감, 김은주, 최선영(2005). 초등과학영재학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과학교육논총, 18, 107-117. 

  3. 강훈식(2013). 초등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영재 수업에 대한 반성의 특징. 대한화학회지, 57(6), 789-800. 

  4.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5. 권진희, 강훈식(2019).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15-426. 

  6. 권치순, 장성구(2014). 델파이 기법을 통한 초등과학 영재수업의 목적과 담당교사의 수업전문성 설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99-109. 

  7. 김경한(2019).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개념의 교과교육적 확장 모델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4), 511-542. 

  8. 김기열, 김기수(2014). 발명 창의성의 개념 고찰 및 발명영재의 창의적 성향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169-188. 

  9. 김민서, 여상인(2014). 초등 과학영재와 발명영재의 사고양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3(3), 558-565. 

  10. 김민환, 김성훈, 노태희(2019). 예비과학교사의 비유 사용 수업에 대한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41-456. 

  11. 김용익, 문대영, 박기문, 박수진, 이주호, 전철만(2012). 발명영재교육 내용표준 체계의 재구조화 및 타당성.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281-305. 

  12. 김유정(2011). 과학영재를 위한 비유 생성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14.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하민수, 조희형(2020). 과학 교육론과 지도법. 파주: 교육과학사. 

  15.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16. 맹희주, 서혜애(2010). 발명영재교육 운영체제별 초등 발명영재 수업내용 및 수업활동 분석. 초등과학교육, 29(1), 1-12. 

  17. 문공주, 황요한(2017). 무엇이 발명영재를 과학영재와 구별하는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1), 357-378. 

  18. 문대영(2013). 발명영재를 위한 교육과정 차별화: 내용과 과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3), 77-90. 

  19. 문성환, 성혜경, 이한규(2012). 발명교실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초등교육, 23(2), 231-245. 

  20. 박계화, 정영란(2018). 초임 과학교사의 PCK와 수업에서 발현되는 PCK의 비교에 대한 사례연구. 교과교육학연구, 22(5), 293-304. 

  21. 박광렬, 최호성(2011). 발명 영재 교육기관의 교수-학습 실태 분석. 직업교육연구, 30(4), 281-300. 

  22. 박문철, 강충열(2016). 초등학교 발명영재와 수학.과학영재의 창의적 성향 비교. 초등교육학연구, 23(1), 1-29. 

  23.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2020학년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24. 서혜애, 이선경(2004).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 학습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219-227. 

  25. 이갑정, 신동희(2020).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1), 45-56. 

  26.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안성훈, 진병욱(2013). 3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래지향적 발명영재상 정립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3), 435-452. 

  27.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전미란, 류지영, 이행은, 이윤조, 이경표(2014). 발명영재교육의 정체성 및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24(4), 597-612. 

  28. 이지영, 강훈식(2015).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 그리기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17-827. 

  29.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5). 집단지성을 강조한 과학 기술 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31-442. 

  30.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31.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32. 조은영, 이신동(2019). 하브루타 토론이 영재의 학습유형에 따라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 29(2), 259-279. 

  33. 조환옥, 김영민(2017). 중등 과학영재 수업과 영재교육교사 전문성 요인에 대한 교사 및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27(4), 547-563. 

  34. 최용준, 양정모, 진석언(2019). 잠재프로파일분석(LPA)에 기반을 둔 발명영재학생의 기질 및 성격 분석. 창의정보문화연구, 5(2), 117-134. 

  35. 최유현, 노진아, 이명훈, 이봉우, 문대영, 강경균, 임윤진, 김동하(2012). 초?중?고등학생을 위한 발명 교육 내용 표준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48-168. 

  36. Barendsen, E. & Henze, I. (2019). Relating teacher PCK and teacher practice using classroom observ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5), 1141-1175. 

  37. Corbin, J. & Strauss, A. (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38. Creswell, J. W. & Poth, C. N. (201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39. Csikszentmihalyi, M. (1999).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the study of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Hany, E. A. (1994). The development of basic cognitive components of technical creativity: A longitudinal comparison of children and youth with high and average intelligence. In R. F.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 115-154). Norwood, NJ: Ablex. 

  41.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4. 

  42. McMillan, J. H. (2014). Classroom assessment: Principles and practice for effective standards-based instruction (6th ed). Boston, MA: Pearson. 

  43. Wiener, G. J., Schmeling, S. M. & Hopf, M. (2018). The technique of probing acceptance as a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 PCK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6), 849-875. 

  44.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