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과학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Writing Program : Cultivating Middle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4, 2013년, pp.751 - 762  

황신영 (이화여자대학교) ,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과학창의성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과학 "자극과 반응",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대상으로 총 21차시 분량의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과학 수업의 매 차시 정리 단계 10분 동안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과학글쓰기의 주제는 실생활과 관련된 과학 내용을 바탕으로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의 창의적 사고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을 선정하였으며, 과학글쓰기 유형을 다양하게 구성하였다.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활동지를 통해 진행되었다. 활동지에는 해당 차시의 과학글쓰기와 관련된 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유형, 과학글쓰기 유형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과학글쓰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안내하였다. 또한 활동지에 교사 피드백 란을 두어 학생들이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과학개념과 창의적 사고과정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p< .01). 이는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창의적 사고를 발휘하여 정해진 답이 아닌 다양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과학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과학창의성이 신장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교사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과학개념을 점검하고 창의적 사고를 발달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융통성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p< .01), 독창성과 정교성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다(p> .05). 학생들이 과학글쓰기를 통해 가능한 한 많은 해결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융통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과학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독창성 및 정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학글쓰기의 분량, 내용, 작성 시간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 writ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wenty-one 10-minute long sessions in 2 chapters (stimulus and respons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from the $2^{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창의성 향상을 위한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생들의 과학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과학창의성을 과학지식과 탐구기능을 기반으로 창의적 사고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으로 보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되, 정규 수업 시간에 투입하여 학습의 연속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그리고 과학글쓰기 유형은 실험설계하는 글쓰기에 해당된다. 이 과학글쓰기의 의도는 식물이 잘 자라는 조건 및 식물공장의 입지적 조건을 모두 고려하여 최적의 환경 조건과 지리적인 조건을 찾아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이란? 이처럼 과학교육의 목표가 창의적 인재 양성으로 변화하면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창의성은 기존의 정보를 바탕으로 새롭고, 독창적이며, 유용한 아이디어를 산출해내는 능력을 의미한다(Lubart, 1994).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학습 전략에는 개념도, 마인드 맵, 브레인스토밍, 문제중심학습, 글쓰기 등이 있다(김영채, 2006; 박완숙, 2002).
김승훈(2004)이 개발한 과학창의성 검사지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과학창의성 검사는 김승훈(2004)이 개발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문헌 연구 결과 일반창의성이 아닌 과학창의성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지가 거의 없었는데, 이 검사지는 내용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으며, 채점 기준까지 있어 사용이 용이하였다. 이 검사지는 창의성 요소, 문제상황, 과학내용을 고려한 주관식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2009년에 개정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교육의 목표를 무엇으로 설정하였는가? 학생들이 이렇게 급변하는 사회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존의 정보와 지식을 바탕으로 한 문제해결력을 갖추어야 한다(Spender, 2001).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여 2007년과 2009년에 개정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교육의 목표를 ‘과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성을 갖춘 인재 양성’으로 설정하였다(교육과학기술부, 2007; 교육과학기술부, 2009). 이처럼 과학교육의 목표가 창의적 인재 양성으로 변화하면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3. 구슬기, 박일우 (2010). 초등과학글쓰기 지도 전략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4), 427-440. 

  4. 김미애, 정미영, 문성숙, 권재술 (2004). 실험보고서 평가의 되먹임이 중학생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논문집, 14(1), 138-148. 

  5. 김미진 (2011). 토의식 수업에서 과학글쓰기가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병삼, 여상인, 김영주 (2009). 피드백을 통한 초등학생의 상호작용적 과학일지 쓰기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논총, 22(1), 85-93. 

  7. 김승훈 (2004). 중학생의 과학창의력 측정도구의 개발과 창의력 관련 변인과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8. 김영채 (2006). 창의적 문제 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9. 남경운, 이봉우, 이성묵 (2004). 과학 일기 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10. 문예경, 정영란 (2012). 초등학교 2학년 슬기로운 생활에서 창의적 과학글쓰기 프로그램이 창의성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1(2), 208-215. 

  11. 박완숙 (2002). 창의성 계발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2. 박종원 (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13. 배희숙, 전영석, 홍준희 (2009). 과학 탐구 능력 신장을 위한 과학글쓰기 교수학습 전략 개발. 초등과학교육, 28(2), 178-186. 

  14. 백남권, 정영숙 (2001). 마인드 맵을 활용한 과학과 학습 활동이 아동의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 27, 31-40. 

  15. 손정우 (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16. 우종옥, 김승훈, 강심원 (2000). 과학교육에서의 창의력 수업모형 개발. 창의력 교육연구, 3(1), 1-26. 

  17. 이석희, 김은진, 장현정 (2011).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0(4), 589-600. 

  18. 이호진, 최경희 (2004). 과학글쓰기에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선행 개념 및 오개념. 교과교육학연구, 8(3), 421-435. 

  19. 장혜진, 신영준 (2009). 과학관련 도서 독후활동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8(2), 187-196. 

  20. 정 혁, 정용재, 송진웅 (2004). 빛을 주제로 한 11학년 학생의 과제 유형에 따른 글쓰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08-1017. 

  21. 조석희, 장영숙, 정태희 (2003). 영재판별을 위한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 20(1), 259-296. 

  22. 조연순, 최경희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육과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20(2), 329-343. 

  23. 조연순, 성진숙, 이혜주 (2008).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4. 조혜진, 이형철, 김은진 (2011). Thinking maps를 활용한 과학글쓰기가 초등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66-176. 

  25. 천재훈, 손정우 (2004). 과학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기능의 유형분석-중학교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7(2), 285-304. 

  26. 최경희, 이현주, 남정희 (2000). 형성평가의 피드백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와 태도 및 교사-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479-490. 

  27. 한기순, 신지은, 정현철, 최승언 (2002).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창의적인가?-영재들의 과학창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3(4), 324-333. 

  28. Baker, D. R. (2004). Focus on science Literacy: The role of writing and speaking in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6(2), 1-7. 

  29. Guilford, J. P. (1956). The structure of intellect. Psychological Bulletin, 53, 267-293. 

  30. Hand, B., Hohenshell, L., & Prain. V. (2004). Exploring students'responses to conceptual question when engaged with planned writing experiences: A study with year 10 scienc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2), 186-210. 

  31. Lubart, T. I. (1994). Creativity. In Sternberg, R. J. (Ed.),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an Diego: Academic press. 

  32. Soven, M. K. (1996). Writing to learn: A guide to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Ohio: South-Western College Publishing. 

  33. Spender, D. (2001). What kind of curriculum for out nation? Paper presented in 2001 Curriculum Corporation 8th National Conference, Sydney. 

  34. Sternberg, R. J.,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Free Press. 

  35. Torrance, E. P. (1974).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36. Yorem L. D., Hand, B., & Florence, M. (2004). Scientists's view of science, model of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38-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